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현대시10

2-2 압도하라!!!!!!! 2-2 압도하라             빛나는 너에게                                                                      - 녹산  채린아, 오늘도 한 걸음씩 나아가네,선혜야, 네 노력은 반짝이며 빛나고,예진아, 작은 노력도 큰 힘이 되니,윤아야, 너의 꿈을 향해 달려가렴.은서야, 해내겠다는 그 마음 잊지 말고,민선아, 끝까지 포기하지 않기를,하은아, 너의 길은 환히 빛날 테니,다은아, 걱정보다는 자신을 믿어 봐.화음아, 조용히 쌓아온 힘이 있기에,혜원아, 너는 분명 해낼 수 있을 거야,슬아야, 피어난 꽃처럼 아름답게,도연아, 네 노력은 결코 헛되지 않아.윤정아, 스스로를 다독이며 걸어가고,태윤아, 오늘도 한 줄의 지식이 쌓이네,예윤아, 네 안의 빛을.. 2025. 3. 30.
0008. 김소월_산유화 김소월_산유화    1. 핵심 정리갈래 : 자유시, 서정시성격 : 관조적, 민요적, 전통적제재 : 산에 피는 꽃주제 : 존재의 근원적 고독특징 : ① 1인과 4연이 내용과 구조 면에서 서로 대응됨.          ② 종결 어미 ‘-네'를 통해 각운의 효과를 얻고 감정의 절제를 보여줌.          ③ 3음보를 여러 행에 걸쳐 배열하거나 한 행에 배열함.출전 : (1925) 2. 시어 풀이저만치 : 저만한 거리를 두고, 또는 ‘저처럼', ‘저렇게'로도 해석함.사노라네 : 산다고 하네 3. 시구 풀이① 갈 봄 여름 없이 : ‘갈'은 ‘가을'을 줄인 말로, ‘가'의 ‘아'와 ‘을'의 ‘으'의 모음 충돌을 없애 ‘가-ㄹ' 로 발음을 자연스럽게 만든 다음, 입이 닫히지 않은 채 ‘봄'과 연결하여 말소리의 .. 2025. 2. 27.
0007. 김소월_먼 후일 김소월_먼 후일     1. 핵심 정리갈래 : 자유시, 서정시성격 : 민요적, 애상적제재 : 떠난 임주제 : 떠난 임에 대한 그리움특징 : ① 3음보의 민요적 율격을 통해 리듬감을 형성함          ② 반어적 진술을 통해 그리움을 강조함.          ③ 가정적 상황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④ 유사한 문장 구조의 반복과 변조가 나타남.출전 : (1922)  2. 시어 풀이나무라면 : '나무라면'의 함경도 방언 3. 시구 풀이① 먼흣날 당신이 ~ 내 말이 “잊었노라.” : 현재 일어나지 않은 일을 가정하여 화자의 반응을 진술하고 있다.② 당신이 속으로 ~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 당신의 질책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별 후에 쉽게 잊은 것이 아니라 무척 그리.. 2025. 2. 27.
0006. 김소월_접동새 김소월_접동새    1. 핵심 정리갈래 : 자유시, 서정시성격 : 전통적, 애상적, 민요적, 향토적제재 : 접동새 설화(서북지방)주제 : 죽어서도 잊지 못히는 혈육의 정한(情‘限)특징 : ① 서북지방의 전설을 제재로 활용함.          ② 의성어를 통해 애상적 분위기를 형성함.          ③ 3음보의 민요조 운율을 사용함.출전 : (1925) 2. 시어 풀이아우래비 : 아홉 오라비. ‘아홉(아웁)'과 ‘오래비'를 합치고 활음조(듣기에 좋은 음질)를 활용하여 접동새 울음소리의 의성어로 변형함. 아우와 오래비의 합성어로 보는 견해도 있음.접동새 : ‘두견'의 방언. ‘소쩍새'로 보기도 함. 접동이, 자규 등으로도 불림. 3. 시구 풀이①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 접동새의 울음소리를 나타낸 것으.. 2025. 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