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논어2

학이(學而)_2 有子曰 其爲人也孝弟요 而好犯上者鮮矣니 不好犯上이요 而好作亂者未之有也니라 君子는 務本이니 本立而道生하나니 孝弟也者는 其爲仁之本與인저 有子ㅣ 갈오대 그 사람이론디 孝하며 弟하고 上을 犯함을 好할 자ㅣ 적으니 上을 犯함을 好치 아니하고 亂을 作함을 好할 자ㅣ잇지 아니하니라 君子는 本을 힘쓸지니 本이 셤애 道ㅣ 生하나니 孝弟난 그 仁할 本이저 유자가 말하였다.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우애가 있으면서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할 자가 적으니,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을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가 있지 않다. 군자는 근본을 힘쓰니, 근본이 바로 서면 도가 생기니 효성과 우애는 인(仁)을 행하는 근본인 것 같다." 有子 : 공자의 제자. 이름은 약(若) 孝 : 부모를 잘 섬김 弟 : 형과 어른을 잘 섬김 .. 2024. 2. 22.
학이(學而)_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아 子 ㅣ 갈아샤대 學하고 時로 習하면 또한 깃브디 아니하랴 벗이 遠方으로부터 오면 또한 즐겁디 아니하랴 사람이 아디 몯하야도 慍티 아니하면 또한 군자ㅣ 아니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벗이 먼 곳으로부터 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성내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子 : 선생님. 에서의 자는 공자를 가리킴. 習 : 새가 자주 나는 모양. 배우기를 그치지 않음을 마치 새가 자주 나느 것과 같이 하는 것. 悅 : 기뻐함慍 : 노여움을 품은 뜻君子 : 덕을 완성한 이의 명칭 배운다는 것은 배워서 알고, 안 뒤에는 행하는 것을 겸하여야 함을 말한다. 배.. 2024.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