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5

고대국가 성립기 특징 두문자 : 일 이 태 고 천 한 고대국가 성립기 특징 : 일 이 태 고 천 한 일 : 1세기 이 : 2세기 태 : 태조왕(소노부 < 계노부 왕위 변경) 고 : 고국천왕 천 : 고국천왕 한 : 중국 한나라 1. 1세기~2세기 : 고구려 고대국가 진입기 고구려 고구려는 이미 태조왕 때부터 인근 부족과의 연맹을 확대하고, 요동군, 현도군과 자주 충돌하면서 고대 국가 세력을 형성하였다. 고구려가 각 부족의 통솔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무역을 통하여 각 부족들을 분열시키려는 중국의 정책도 효과를 거둘 수 없었다. 그 뒤 3세기 동천왕 때에는, 중국이 위, 촉, 오의 삼국으로 대립하고 있던 시대로서, 오는 요동군의 실권자인 공손 연과 통교하여 위를 견제하였고, 뒤에는 고구려와도 교류하였다. 중국의 군현만 상대로 싸우던 고구려는, 이때부터 국제 관계.. 2023. 8. 9.
고대국가의 특징 두문자 : 왕 율 불 정 관 고대국가의 특징 : 왕 율 불 정 관 왕 : 왕위세습(형제세습 > 부자세습) 율 : 율령반포(체제 완성) 불 : 불교수용(사상통합) 정 : 정복활동 관 : 관리와 군대 파견 1. 왕위세습(형제세습 > 부자세습) 군주의 지위를 세습하는 제도를 세습군주제(世襲君主制)라고 하며, 이 중 왕권을 세습하는 것을 왕위 세습(王位世襲)이라고 하며, 왕위 세습을 통해 왕권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군주의 지위가 계속 세습되는 나라를 세습 군주국(世襲君主國)이라고 한다. 고구려 : 태조왕(형제상속) > 고국천왕(부자상속) 백 제 : 고이왕(형제상속) > 근초고왕(부자상속) 신 라 : 내물마립간(형제상속) > 눌지마립간(부자상속) 2. 율령반포(체제 완성) '율(律)’은 현재의 형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어떠한 행위.. 2023. 8. 9.
고조선 멸망 두문자 : 우 입 거 섭 비 동 살 1차 패 참 살 성 항 멸 108 고조선 멸망 : 우 입 거 섭 비 동 살 1차 참 살 성 항 멸 108 우거왕의 고조선 입조 거부 : 109년 섭하 조선 비왕 살해 섭하 요동 동부도위에 임명 우거왕의 섭하 살해 한의 무제 1차 침입 : 육군 5만과 수군 7천 패함 주화파 니계상 참이 우거왕 살해 주전파 대신 성기 끝까지 항전 고조선의 수도 왕검성 함락 고조선 멸망 : 108년 1. 우거왕 위만(衛滿)의 손자이다. 위만이 즉위한 뒤, 고조선은 우세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많은 지역을 정복하면서 세력이 더욱 강대해졌다. 우거왕은 이것을 배경으로 중간무역의 이익을 독점하기 위해 한강 이남에 있는 진국(辰國) 등 여러 나라가 한(漢)나라와 직접 교통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당시 몽고에서 만주로 뻗어오던 흉노가 고조선과.. 2023. 8. 9.
위만조선 두문자 : 위 창 우 임 진 흉 창 중 위만조선 : 위 창 우 임 진 흉 창 중 위 : 위만조선 창 : 창왕(아들) 우 : 우거왕(손자) 임 : 임둔 진 : 진번 흉 : 흉노와 연결 창 : 창해군 설치 중 : 중계무역 한 : 한나라 무제 침입 1. 위만조선 위만조선은 초기 국가시대에 위만이 집권한 서기전 2세기 초부터 한나라의 공격으로 멸망한 서기전 108년까지의 조선이다. 위만 집권 이전을 고조선으로, 이후를 위만조선으로 부른다. 14세기에 이성계가 세운 조선과 구분하기 위하여 고조선과 위만조선을 합쳐서 고조선으로 부르기도 한다. 위만조선의 영역을 구체적으로 전하는 문헌 사료는 없지만, 위만조선이 멸망한 뒤, 그 땅에 사군(四郡)을 설치하였다는 기록을 근거로, 대체로 사군의 범위와 위만조선의 영역을 연결시킨다. 한편, 위만조선의 영역에 관한.. 2023.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