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두문자227 정도전 저서 두문자 : 심 양 남 조경 경육 경문 고 불 진 정도전 저서 : 심 영 제 조경 경육 경문 고 불 진 심 : 심문천답록 양 : 금남잡영 남 : 금남잡제 조경 : 조선 경국전(최초 법전 + 사찬) 경육 : 경제육전(최소 성문법) 경문 : 경제문감(조선전기 정치조직 초안) 고 : 고려국사(편년체 제상중심) 불 : 불씨잡전(숭유억불) 진 : 진법(독자적 전술 정리 = 요동정벌론) 1. 심문천답록 심문천답록은 1375년 문신 · 학자 정도전이 불교의 인과응보에 대한 유교적 비판과 변호의 내용을 문답식으로 서술한 종교서로 유교서이다. 1375년(우왕 1) 나주의 회진(會津)에 유배가 있을 때 지었다. 1394년(태조 3)권근(權近)이 상세한 주석과 서(序)를 달아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었는데, 『삼봉집』에는 이 합본이 실려 있다. 마음은 이렇게 운을 뗀다. “을.. 2023. 8. 14. 태조 이성계 두문자 : 태 한 도 의 중 숭 사 태조 이성계 : 태 한 도 의 중 숭 사 태 : 태조 이성계(1392~1398) 한 : 한양천도(1394) 도 : 도첩제(승려면허제) 의 : 의흥삼군부 설치 중 : 중농억상 숭 : 숭유억불 사 : 사대교린 1. 태조 이성계(1392~1398) 태조는 조선전기 제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92~1398년이다. 이름은 이성계이며 고려말 홍건적·왜구 등의 침략을 격퇴하는 과정에서 큰 세력으로 성장했다. 위화도회군을 계기로 개경에 돌아와 최영을 제거하고 우왕을 폐한 뒤 창왕을 옹립해 정치·군사적 실권을 장악했다. 신진사대부들의 적극적인 호응에 힘입어 신흥 정치세력의 대표로서 기반을 닦아 공양왕을 내쫓고 새 왕조의 태조로 즉위했다. 국호를 조선으로 바꾸고 한양으로 천도하여 새 시대를 열었으나 왕위계승권을 둘러.. 2023. 8. 14. 조선 초기 명과의 관계 두문자 : 종 표 여 조 조선 초기 명과의 관계 : 종 표 여 조 종 : 종계변무(이성계 아버지 이름 수정) 표 : 표전문제(정도전 외교문서 문제) 여 : 여진쇄환 조 : 조공횟수(1년 3공 VS 3년 1공) 1. 종계변무 고려 말 1390년(공양왕 2) 이성계의 정적이던 윤이(尹彛)·이초(李初)가 명나라로 도망가서 이성계를 타도하려는 목적으로, 공양왕이 고려 왕실의 후손이 아니고 이성계의 인척이라 한 적이 있다. 이 때 윤이 등은 이들이 공모해 명나라를 치려고 한다면서, 이성계의 가계에 관해 고려의 권신 이인임(李仁任)의 후손이라고 한 일이 있었다. 그 뒤 명나라는 이 이야기를 믿고, 그 내용을 명나라의 《태조실록》과 《대명회전 大明會典》에 그대로 기록하였다. 조선에서 이러한 종계(宗系)의 기록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 2023. 8. 14. 조선건국과정 두문자 : 우 철 위 폐 과 역 조 한 경 조선건국과정 : 우 철 위 폐 과 역 조 한 경 우 : 우왕집권(1374) 철 : 철령위 통보 위 : 위화도 회군(1388) 폐 : 폐가입진(1389) 과 : 과전법(1391) 역 : 역성혁명(1392) 조 : 조선 국호 사용(1393) 한 : 한양 천도(1394) 경 : 경복궁 건립(1395) 1. 우왕집권(1374) 우왕은 고려후기 제32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74~1388년이다. 1374년 공민왕이 시해되자, 이인임 등에 의해 옹립되어 10세에 즉위했다. 즉위 초부터 북원 및 명나라 사이에 복잡한 외교문제가 계속 발생했고 왜구의 침탈이 심각했으나 정사를 돌보지 않고 유희를 일삼았다. 명이 철령위 설치를 일방적으로 통고해오자 최영의 주장에 따라 요동정벌을 단행했으나 이성계 세력의 위화도회군으로 .. 2023. 8. 14.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