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두박질 어원자료
우리는 몸이 갑자기 거꾸로 내리 박힐 때 ‘곤두박질’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가령 “사다리가 옆으로 넘어가면서 그의 몸이 곤두박질쳐졌어” 정도가 된다. 국어사전도 ‘곤두박질’에 대해 ‘몸을 번드치어 갑가지 거꾸로 떨어지는 것’이라는 설명을 하고 있다. 이때의 동사 ‘번드치다’는 어떤 것이 뒤집혀 지는 모습을 보일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곤두박질, 어디서 온 표현일까? 오늘 문제를 풀려면 우리말 접미사 ‘질’의 활용법을 예습할 필요가 있다. 우리말은 명사 뒤에 접미사 ‘질’이 붙을 경우 어떤 ‘노릇’이나 ‘짓’을 의미하게 된다. 언뜻 생각해도 가위질, 바느질, 도둑질 등의 단어가 떠오르고 있다. 그러니 곤두박질도 언뜻보면 이런 유형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앞말 ‘곤두박’에 명사 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국어사전에서 암만 ‘곤두박’이라는 명사를 찾아도 이를 발견할 수 없다. 이는 ‘곤두박질’의 ‘질’이 접미사 ‘질’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오늘 문제의 정답이 아니다.
의외지만 오늘 문제 ‘곤두박질’은 한자식 표현인 ‘근두박질’이 변한 말이다. 국어사전을 펴면 ‘힘줄 筋’(근), ‘말 斗’(두), ‘엎드러질 撲’(박), ‘넘어질 跌’(질) 자를 만날 수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은 이해되지 않는 면이 있다. 훈을 아무리 조합을 해도 지금의 ‘곤두박질’ 뜻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국어학자들은 앞말 ‘근두’를 ‘발꿈치 근’ 자와 ‘머리 頭’(두)' 자로 보고 있기도 하다. 이 경우는 보다 뜻이 명확해 진다. 직역하면 ‘발꿈치와 머리가 뒤바뀌어 갑자기 떨어지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증거는 ‘곤두서다’라는 표현에서도 만날 수 있다. 우리는 어떤 것이 거꾸로 꼿꼿히 설 때 ‘곤두서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가령 ‘신경이 곤두서다’하면 ‘신경이 거꾸로 꼿꼿히 선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기까지가 전부이다. 더 이상의 논리전개는 되지 않고 있다. 아무튼 ‘곤두박질’은 순우리말이 아닌 한자에서 온 말임에는 틀림없어 보인다.
‘곤두박질'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몸을 번드쳐 갑자기 거꾸로 내리박히는 일'로 뜻풀이가 되어 있다. ‘돌에 걸려 곤두박질을 했다, 주가가 곤두박질하다, 곤두박질치듯 뛰어나왔다'처럼 주로 ‘하다'나 ‘치다'와 결힙하여 쓰인다.
‘곤두박질'의 ‘-질'이야 ‘바느질, 싸움질, 톱질, 딸꾹질' 등에서 쓰이는 접미사 ‘-질'임이 분명하다. 여느 어원사전과 상당수의 국어사전에 ‘곤두박질'의 어원을 ‘근두박질(筋斗撲跣)'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접미사 ‘-질'의 존재
를 부인한 것일 뿐만 아니라 그 근거도 명확하지 않아서, 그 설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 접미사 ‘-질'로 보아서 ‘곤두박질'은 ‘곤두박'에 '-질'이 결합된 것으로 보기가 쉽다. 그런데 ‘곤두박'에서 ‘박'은 ‘곤두'와 밀접히 결합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질'에 더 잘 연결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달음박질, 뜀박질, 숨박질' 등은 ‘달음박, 뜀박 숨박'에 ‘-질'이 결합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각각 ‘닫[走] + -음+-박+-질', ‘뛰[躍] + -口 + -박+-질', ‘쉬[息] +-口 + -박+-질'로 분석되지만, ‘박'은 오히려 ‘달음, 뜀, 숨'에 연결되었다고 하기보다는 ‘달음, 뜀, 숨'과 접미사 ‘-질'사이에 별도로 들어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달음질, 뜀질, 숨질'이란 단어가 ‘달음박질, 뜀박질, 숨박질'과 같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곤두박질'이 출현하는 초기 형태를 보면 이러한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곤두박질'이 역사적으로 출현하는 초기 형태는 ‘근두질'이다.
내 이제 드러가 모욕 하리라 하고 오살 벗고 한번 근두질 하여 뛰여 기람 가온대 드러가 갓모욕하고져 하더니 발셔 보디 못할러라(我如今入去洗潗 脫了衣裳 一箇眼阻 跳入油中 纜待洗潗 却早不見了) <1677박통사언해, 하, 23a>
근두질하다(跟陡)<1690역어유해, 하, 24a>
여기에서 ‘근두질'은 오늘날의 ‘재주넘기'와 유사하다. 즉 ‘몸을 공중에 날려 위아래로 휘돌리는 일'을 ‘재주넘기'라고 한다면, ‘근두질'은 재주넘기를 하기 위한 이전의 행동, 즉 ‘몸을 뒤집어 갑자기 거꾸로 내리박히는 일'
을 밀한다. ‘재주넘기'가 몸을 한 바퀴 완전히 돌리는 것이라고 한다면, ‘곤두박질'은 몸을 돌리기 위해 머리를 아래쪽으로 내리박는 행위를 말한다. 결국은 ‘몸을 거꾸로 내리박는 행동'이 곧 ‘근두질'인 것이다.
‘근두질'에 나타나는 ‘근두'는 한자어다. 그런데 이 한자가 처음에 등장할 때와 후에 등장할 때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근두(跟阧)'였는데, ‘근두(跟㪷)', ‘근두(跟陡)', ‘근무(筋斗)' 등으로 보이다가, 후대에는 ‘근무(筋斗)로 표기된다.
그 젹은 어린 아해를 한 번 근두치게 하고(那小孩子打了一寸固幼斗)<1884년경, 홍루몽, 29, 17>
근두딜하다<1748동문유해, 하, 33a>
근두질하다<1768몽어유해, 하, 26b> <1778방언유석, 해부방언, 2b>
근두박질(筋斗) <18xx광채물보, 物性, 1a>
‘근(跟)'은 ‘발뒤측 근'이고, ‘두(陡)'와 ‘두(抖)'는 ‘가파를 두'인데 비해서 ‘근(肋)'과 ‘근(筋)'은 모두 ‘힘줄 근'이다. ‘근두(跛陡)'나 ‘근두(跛㪷)'는 ‘발뒤측을 들어 앞쪽으로 가파르게 몸을 던지는 것'이어서, ‘근두질'의 의미와 상통할 수 있지만, ‘근두(筋斗)'와 ‘근두(觔斗)'는 단지 ‘근육'과 연관된 것이어서 ‘근두 질'과는 거리가 멀다. 이것은 후대에 ‘근두에 쉬운 한자를 취음하여 붙인 결과밖에는 해석할 길이 없어 보인다.
이 ‘근두'는 ‘-질'이란 접미사 없이도 시용되었다. 즉 ‘근두 치다'나 ‘곤두 치다' 등으로 쓰였다.
잘못 보앗던가 자시 보리라 하고 곤두쳐 아아히히 나라 년원졍의 니르러 늙은 잣낟긔 학이 되여 안잣더니 <18Xx명듀보월빙, 5, 166>
둔갑쟝군 가달이 몸을 곤두쳐 번신코자 하거늘 <18xx.옥누몽, 3, 86b>
몸을 근두쳐 놉흔 봉의 올나 동졍을 보랴 하더니 <18xx김원전, 8a>
홀연 가달이 월도를 엽희 끼고 몸을 근두쳐 변하여 냥개 다회 되여 다라드니 <18xx옥누몽, 3, 81a>
이 ‘근두질'은 19세기에 와서 아직은 그 정체를 분명히 밝히기 어려운, ‘-박'이 첨가된다. 그래서 ‘근두박질'이 등장한다. ‘근둑박질'도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근이 후행하는 ‘두'의 모음의 영향을 받아 ‘곤'으로 변화하여
‘곤두박질'로 나타나는네, 이것도 19세기에 일어난 변화다.
근두박질하다(跳躍)<1880한불자전, 169>
근두박질(筋斗)<18Xx광재물보, 物性,1la>
근두박질을 친다<1949이상의 시, 3>
헝겁지겁 근두박질을 하야 밖으로 뛰어 나왓다<1935떡, 75>
근둑박질(顚倒) <1895국한회어, 45>
곤두박질하다(顚倒)<1895국한회어, 28>
안협집은 곤두박질을 하면서 마젓다<1925뽕, 371>
다리의 풀이 빠진 사람처럼 곤두박질을할 듯 하엿다<1925지형근, 3, 101>
발이 밋그러지거나 돌에 채이면 나는 곤두박질을 하야 나무ㅅ짐속에 든다. <1925탈출기, 30>
물결에 강 한복판으로 집어던져 빙글빙글 곤두박질흐며 한뎡업는 바다로 흘려 보낸다<1918무정, 3, 585>
몸이 앞으로 곤두박질을 할 만큼이나 뒤축이 높은 캥커루우 구두를 신었다<1933영원의미소, 83>
이처럼 어기와 접미사 '-질' 사이에 '-박'이나 ‘-막'이 나타나는 시대는 빠른 것은 17세기, 늦은 것은 19세기이다. ‘숨질'이 ‘숨박질'이나 ‘숨막질'로 나타나는 것은 17세기이지만, ‘달음질'이 ‘달음박질'로, ‘뜀질'이 ‘뜀박질'로,
그리고 ‘근두질'이 ‘근두박질'이나 ‘곤두박질'로 나타나는 것은 19세기에 와서이다.
숨박질(迷藏)<1657어록해, 9a>
녀름내 숨막질 하나니<1517번역박통사, 상, 18b>
다람박질하다(急步)<1880한불자전, 461>,
다람박질(急走)<1895국한회어, 66>
깡충깡충 뛰고 미끄럼을 타고 뛰염박질을 하다 못 해서, 펄떡펄떡 재주를 넘으며 <1936상록수, 2, 253>
그런데 이상한 것은 ‘근두하다'의 형식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근두'는 동사로 쓰일 때에는 ‘근두치다'만 등장하였었다. 그 행위는 ‘근두질'로 나타나다가 ‘근두질하다, 근두질치다'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보매 그 범이 근두치며 셜즁 길노 뛰여가난지라<17Xx진쥬탑, 46>
즉시 금패와 향노을 가지고 근두쳐 남쳔문의 올나가니<18Xx셔유긔, 하, 19b>
또 잰말 뜬말 놀라는 말 근두질하난 말 앏 것치난 말<1790몽어노걸대, 5, 12a>
그런데 이 ‘근무'는 19세기부터 부사로 나타나기 시직한다. 그리하여 ‘곤두 서다(곤두 세우다), 곤두 박히다(곤두 박이다)' 등이 쓰인다.
마루 바닥도 탁 치며 혹 가래춤을 곤두 올녀 놉흔퇴 마리 별악 치듯 빗기도 하고<1918삼션긔, 255>
앳다 하고 어린애를 내밀면서 좀 입어 주어라 하고서 어린애를 곤두 세운다.<1923행링자식, 120>
이걸 보면 고대 먹었던 밥풀이 고만 곤두스고 만다. <1937따라지, 282>
걸핏하면 농촌운동, 농촌운동 하지마는, 그래 그낏놈들이 운동 아니라 곤두를 서 보시오. <1932흙, 165>
몸이 터럭이 있는 대로 죄다 곤두 설 노릇이었다. <1932민족의죄인, 441>
시뻘건 불길을 하늘로 치뿜는 분화구 속에 곤두 박혀서 더러운 육체를 재도 남기지 않고 태워 버리는 것도 해롭지 않을 것 같으나<1933영원의미소, 258>
이렇게 부사로 쓰이던 ‘곤두'는 ‘곤두라지다'로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아마도 작가가 개인어로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할 수 있다.
방바닥에 곤두라진 청아는 바늘로 찌르는 듯이 운다.<1939어머니, 1, 182>
역시 ‘곤두기침'이란 단어도 쓰이고 있다.
비렁뱅이 령감은 그래도 그젼 긔습이 남앗든지 곤두기침을 올니며 눈이 붉어 날치난 방가의 소매를 잔뜩 붓들고<1911목단화, 131>
현대국어 ‘곤두박질'은 한자어 ‘근두'에 접미사 ‘-질'이 연결된 파생어 ‘근두질'에서 온 것이다. 이 ‘근두질'이 19서기에 ‘-박'이 들어가서 ‘근두박질'이 되었고, ‘근두박질'의 ‘근'이 ‘두'의 모음의 영힝:으로 ‘곤'으로 변화하
면서 ‘곤두박질'로 변화히여 현재까지 쓰이는 것이다. 그리고 ‘곤두'는 오늘날 ‘(머리털이) 곤두서다, (신경을) 곤두세우다, (담을 넘다가 땅바닥에) 곤두박이다' 등의 합성어에 쓰이고 있다.
현대 방언에서 이 ‘곤두박질'은 더 많은 어형을 보여 준다. ‘숨박질'이 ‘숨막질'과 함께 나타나듯, ‘곤두박질'도 ‘곤두막질'로도 나타난다(평북, 중국 요녕성). 그리고 ‘까꾸래미'나 ‘까꾸박질, 꼬꾸박질, 꼬구막질'은 ‘곤두박질'
과는 그 어원을 달리하는 것이다. 이것은 ‘꺼꾸러지다'나 ‘거꾸로'와 연관되어 생겨난 어휘인 것이다.
'곤두박질'은 '곤두+박(다)+질'로 이루어진 말이다.
'곤두'는 '곧다'는 뜻을 가진 '곧+우'가 변한 것이다.
'우'는 '바투'(맞+우). '''마주(맞+우). '너무(넘+우)에서와 같이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이다.
'박질'은 '달음박질', '뜀박질' 등에서도 쓰이는데,
꽂혀진다는 뜻을 가진 동사 '박다'의 어근 '박'에 행동을 나타내는 접미사 '질'이 붙은 것이다.
그러므로 '곤두박질'은 '가꾸로 곧게 내려박히는 일'이란 뜻이다.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낭떠러지 vs 벼랑의 어원자료 (0) | 2025.01.24 |
---|---|
꼿꼿하다 vs 꿋꿋하다 어원자료 (0) | 2025.01.24 |
결혼하다와 혼인하다의 어원자료 (0) | 2025.01.11 |
개나리 어원자료 (0) | 2025.01.11 |
개안_안 보이던 눈이 보이게 되는 것 (2) | 2024.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