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백번_매우 여러 번을 강조하는 말
참 뜻 : '골'은 우리나라 옛 말에서 만(萬)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러므로 골백번이란 백 번을 만 번씩이나 더한다는 뜻이 되므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횟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바뀐뜻 : 매우 여러 번을 강조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 어머니, 그 얘기는 골백번도 더 들어서 이젠 더 이상 듣고 싶지도 않다고요.
- 하지 말라고 골백번도 더 얘기했잖아.
골백번-골백가지의 '골'은 무슨 뜻?
"여러 골백번 더 들었다"
"여러 골백가지가 있지"
진주 등 경남 지방에선 이런 문구를 자주 씁니다. '골백번'이 표준말이군요. '여러 번'을 강조하거나 '여러 번'의 속된 말이라는 뜻입니다. '여러 골백번'도 엄청 많음을 강조하는 것이지요. '골'은 옛날에 수치인 만(萬·10000)을 나타내는 토박이말입니다. 본래 뜻은 셀 수 없을 정도로 큰 수를 의미합니다.
골백번의 크기 주장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만(10000)과 백(100)을 곱해 1000000(100만) 즉, 10의 6승이라는 주장입니다.
두번째는 만이 백번이라는 뜻으로 풀이하는 이도 있습니다. 만을 백번 곱하면 10000의 100승이므로 엄청 큰 숫자입니다. 1 뒤에 0이 400개니 붙는 것이라네요.
둘 다 '매우 여러 번'을 과장한 표현이지요.
지금은 만(萬)을 뜻하는 '골'은 사라졌지만 골백번이라는 표현에서 그 흔적이 남아 있는 셈입니다. '골'처럼 사라졌지만 수치를 나타내는 옛 토박이말 '온', '즈믄' '잘'을 살펴봅니다.
온은 백(百·100)입니다. 온나라, 온몸, 온갖의 접두어 '온'은 백(百)을 뜻하는 옛말입니다. '눈이 온 뒤 온세상이 하얗다'에서의 온이 이런 뜻입니다. '백날 가 봐야 소용없다'의 '백'도 이 경우입니다.
즈믄은 천(千·1000)입니다. 즈믄둥이에서 '즈믄'이 천의 의미이지요.
거믄은 골과 같이 만(萬·10000)인데, '이몸이 죽고죽어 골백번 고쳐 죽어'에서 보입니다.
잘은 억(億·100000000)입니다. '억수로 잘 해라이'에서 보듯 경상도 말에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너무 큰 숫자라서 계산기도 에러를 냅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온=백', '즈믄=천', '골, 거름=만', '잘=억'을 뜻합니다. 모두가 수를 나타내지만 수의 직접적인 의미보다 '엄청 많다', '엄청 크다'의 뜻을 지닙니다. 지금도 백·천·만을 수사(數詞)가 아니라 '많다'는 뜻을 나타내는 접두어로 붙여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골백번
골백번. 여러 번을 강조하거나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골백번 설명해도 딴전을 피우면 뭔 소용이 있겠는가", "흡연은 건강에 해롭다며 금연 권고를 골백번은 더 했을 것이다", "국가를 위해 전쟁에 나섰으니 골백번 죽어도 여한이 없다", '골백번'의 '백번(百番)'은 단어 그대로 '백 번'의 횟수를 말한다. 그렇다면 '골'은 무슨 의미인가.
'골'은 횟수 '만(萬)'을 나타내는 우리 옛 토박이말이다. '골백번'을 글자대로 풀이하면 '백 번을 만 번이나 되풀이하다'는 뜻이다. 100에 1만번을 곱하면 되니 1백만번이 된다. 따라서 '골백번'은 '백만 번을 되풀이한 구술(口述)'이 된다. 하지만 백만번이라기보다 여러 번의 행위 등을 과장 비약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그러니까 한 가지 일이나 행동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수 없이 반복한다는 의미다.
골백번은 아주 많은 횟수의 반복을 뜻하지만 앞의 예문에서 보듯 긍정보다 부정적으로 많이 쓰인다. 한두 번이 아닌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수 없이 자주 말했지만 화자(話者)의 말을 상대방이 무시하거니 지적사항을 고치지 않을 때 다소 냉소적으로 또는 자신의 의지를 강력한 행동(또는 주입)으로 표현할 때 '골백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골백번 언급해도 아랑곳하지 않는 인간들이 참으로 많다. 대표적 인간들이 정치인이 아닐까. 그들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정치를 한다고 골백번 말했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사정은 그렇지 않다. 이전투구(泥田鬪狗)가 그들 정치행위의 절반을 넘는다. 그것도 모자라 골백번 사리사욕에 눈 멀기도 한다. 국민들은 그들의 안전(眼前)에 없고 그들의 이해 관심과 당리당략에 골백번 목숨을 건다. 정치 신념이 부족하니 이합집산(離合集散)을 밥 먹듯 골백번 한다. 언제 우리는 바로 선 정치를 경험할 수 있을까. 아마도 골백번 기대하지만 골백번 실망하지 않을까.
큰수의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우리나라의 금년 예산은 대략 240조원이라고 한다. 이처럼 우리는 주변에서 쉽게 ‘억’이나 ‘조’라는 단위를 듣게 되는데, 여러분이 알고 있는 가장 큰 수는 얼마인가?
현대에도 아프리카나 브라질의 어느 원주민들은 ‘하나’ ‘둘’ ‘많다’와 같은 정도의 수만 알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인류 문명이 발달하면서 큰 수가 필요하게 되고, 큰 수를 나타내는 기호와 이름을 만들어 내게 된다. 그러한 기호와 이름에 대한 착상이 재미있고 어떤 시사점을 준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호숫가에 많이 있는 올챙이로 ‘십만’을 나타내고, (너무 많아서) 깜짝 놀라는 사람의 모습으로 ‘백만’이라는 수를 나타내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라.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큰 수의 이름을 살펴보자. 수를 나타내는 순수 우리말에는 열(십), 온(백), 즈믄(천), 드먼(만), 골(경), 잘(정) 등이 있다. 1만 가지 지류를 가졌다는 두만강은 ‘드먼’에서 변하여 두만강이 된 것이며, “이 몸이 죽고 죽어 골백번 고쳐 죽어”와 같은 시조에 나오는 ‘골’은 1 다음에 0이 16개 붙은 수를 나타내는 말이라고 한다. 그러나 수를 나타내는 많은 순수 우리말은 한자말에 밀려 없어지거나 쓰지 않게 되었다. 큰 수를 나타내는 한자말은 다음과 같다.
만(萬), 억(億), 조(兆), 경(京), 해(垓), 자(梯), 양(穰), 구(溝), 간(澗), 정(正), 재(載), 극(極), 항하사(恒河沙), 아승기(阿僧祇), 나유타(那由他), 불가사의(不可思議), 무량대수(無量大數). 이 이름들은 0이 4개씩 붙을 때마다 생긴 이름으로 무량대수는 1 다음에 0이 68개 붙은 수이다. 이 중 ‘조’까지의 수는 중국의 후한 시대에 있었는데, 당나라 때 불교의 영향으로 이렇게 큰 수의 이름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항하사’는 인도의 갠지스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히 많은 수를 의미한다. ‘불가사의’는 인간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는 의미이며, ‘무량대수’는 ‘무량수’라고도 하는데, 아미타불과 그 땅의 백성의 수명이 한량이 없음을 의미한다. 어떤 사람은 글자 수가 많은 ‘항하사’부터는 0이 4개가 아닌 8개가 붙을 때의 이름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렇게 생각하면 무량대수는 0이 88개 붙은 수가 된다.
인간이 100년을 산다 해도 그것을 초로 나타내면 30억초 정도에 불과하고, 우주의 나이인 150억년도 초로 나타내면 50경초에 불과하니, 불가사의나 무량대수가 얼마나 큰 수인지 상상조차 하기 힘들 것이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큰 수는 사용되는 곳도 없고 필요하지도 않아서 이보다 더 큰 수를 만들 필요도 없게 된다.
그런데도 인간은 필요하지도 않은 수에 관심을 가지곤 한다. 그래서 이보다 더 큰 수를 만들어 낸 사람이 있으니, 그는 미국의 수학자 케스너(Kasner)의 9살 난 어린 조카 밀톤 시로타이다. 1938년에 케스너와 조카는 ‘세상에서 가장 큰 수’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구골(googol)과 구골 플렉스라는 이름을 만들어 냈다. 구골은 1 다음에 0이 100개가 붙은 수이며 구골 플렉스는 1 다음에 0이 구골개 더 붙은 수이다. 유명한 검색 사이트인 구글은 구골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려다가 잘못 써서 된 이름이라고 하니, 구골이라는 이름은 이제 모두가 인정하는 수 이름이 된 모양이다.
수학적으로 재능이 있는 어린이는 어릴 적부터 일찍 큰 수에 관심이 많다고 한다. 여러분도 큰 수의 이름을 새롭게 만들어 보면 어떨까?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工夫)_학문을 배워 익히는 일 (0) | 2025.03.16 |
---|---|
곱살이 끼다_남이 하는 데에 끼어서 어떤 일을 쉽게 하려는 것 (0) | 2025.03.16 |
골로 가다_관 속으로 들어간다, 죽는다 (0) | 2025.03.16 |
고추_고초(쓴 풀) (0) | 2025.03.16 |
고수레_고사를 지낼 때 귀신에게 먼저 바친다 (0) | 2025.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