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46

신석기 유적지 두문자2 : 신 봉 남 신석기 유적지2 : 신 봉 남 신 : 신석기 유적지 봉 : 봉산 지탑리 남 : 평양 남경 1. 신석기 유적지 : 농경시작 + 토기 사용 2. 봉산 지탑리 : 조 피 수수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팽이형토기·도끼·그물추 등이 출토된 집터. 지탑리의 신석기문화는 신석기시대 전기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북으로는 궁산 조개더미, 남으로는 한강변의 암사동·미사리문화와 한 문화영역을 이루고 있다. 특히, 한강변의 신석기문화는 이 문화의 전파·이주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제2호 움집터에서 출토된 돌보습·돌낫과 탄화곡물은 그 당시 주민의 경제생활이 수렵·어로 외에 이미 원시적인 농경에도 바탕을 두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 되고 있다. 팽이형토기문화는 출토된 유물상에서 볼 때 팽이형토기로.. 2023. 8. 8.
신석기 유적지두문자 : 고수(는) 암오동(가서) 미궁(에 빠졌다) 신석기 유적지 : 고수 암오동 미궁 고 : 제주 한경면 고산리 수 : 김해 수가리 암 : 서울 암사동 오 : 강원도 양양 오산리 동 :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 미 : 경기 하남 미사리 궁 : 평남 온천 궁산리 1. 제주 한경 고산리 수월봉 앞 해안단구 대지에 넓게 형성되어 있는 신석기시대 전기의 선사유적이다. 신석기시대는 원시농경과 목축을 기반으로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인류문화 발달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 시기이다. 발굴 결과 나온 유물로는 석기 99,000여 점, 토기조각 1,000여 점이 있는데, 특히 원시형 적갈색 섬유질 토기조각은 독특한 토기형태로 고산리식 토기라고 불린다. 당시 사람들이 사용했던 유물 조합을 통해 후기 구석기 말엽의 수렵채집 집단이 석기 전통을 계승하며, 초보적인 형태의 토기를 .. 2023. 8. 8.
사람 화석(인골) 두문자 암기법 : 승 상 만 두 인골 : 승 상 만 두 승 : 덕천 승리산 동굴 상 : 단양 상시리 바위 그늘 동굴 만 : 평양 만달리 동굴 두 : 청원 두루봉 동굴 1. 덕천 승리산 동굴 승리산 유적 동굴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구석기시대의 인류 화석이 출토되어 한민족 기원에 대한 여러 사실을 알려주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했다. 사람 뼈는 동물 화석이 집중적으로 출토된 기본 화석층의 바로 아래층인 적갈색 자갈층에서 큰 어금니 2점과 어깨뼈 1점이 동굴 하이에나와 함께 묻혀 있었다. 이곳은 동굴 입구에서 18m 떨어진 지점이다. 2점의 어금니는 크기와 형태, 마모 정도로 보아 같은 사람으로 보이며, 어깨뼈는 오른쪽 것으로 밝혀졌다.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고인(古人, 슬기 사람) 단계의 사람뼈로 유적이 위치한 지명에 따라 ‘덕천 사.. 2023. 8. 8.
구석기 후기 유적지 두문자 : 동 빌 수 만 두 창 구석기 후기 : 동 빌 수 만 두 창 동 : 종성 동관진 빌 : 제주 빌레못 동굴 수 : 단양 수양개 만 : 평양 만달리 동굴 두 : 청원 두루봉 동굴 창 : 제천 창내 1. 종성 동관진 북한 함경북도 종성군 종성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동물화석·석기·골각기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이다. 1933년에 실시된 철도공사로 대지가 절단된 곳에서 쥐의 이[齒]가 발견되어 비로소 알려지게 되었다. 1934년 일본인 모리[森爲三]에 의해 발굴되어 여러 종의 포유류 화석과 고인류(古人類)의 유물 2점이 출토되었다. 이듬 해에 다시 모리와 도쿠나가[德永重康]에 의해 발굴되어 다량의 포유류 화석과 고인류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소개된 구석기시대 유적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종성 동관진 : .. 2023. 8.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