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35 문왕 대흠무 두문자 : 문 대 보 중 상 동 일 발 국 천 혜 굴 효 벽 문왕 대흠무 : 문 대 보 중 상 동 일 발 국 천 혜 굴 효 벽 문 : 문왕 대흠무 대 : 대흥 보 : 보력 중 : 수도이전 중경 상 : 상경 동 : 동경 일 : 일본과 외교마찰 발 : 발해 국 : 국황제 천 : 천손 혜 : 정혜공주 굴 : 굴식돌방 : 고구려식 효 : 정효공주 벽 : 벽돌무덤 : 중국식 1. 문왕 대흠무 문왕은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3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737~793년이며 무왕의 아들로 이름은 대흠무이다. 발해국이 성장함에 따라 중경현덕부·상경용천부·동경용원부 등 주로 만주 동부에 위치한 요충지로 천도를 거듭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당으로부터 율령을 받아들여 중앙과 지방의 통치제도를 정비했다. 관직에 대응되는 관품제도를 정리하여 관료제를 확립하기도 했다. 문왕이 사용한 대흥보력금륜.. 2023. 8. 13. 무왕 대무예 두문자 정리 : 무 인 산 일 고 부 신 덕 무왕 대무예 : 무 인 산 일 고 부 신 덕 무 : 대무예(무왕) 인 : 인안 산 : 산둥 요서 선제공격(대문예 망명사건) 일 : 일본에 외교문서 고 : 고구려 옛땅 수복 부 : 부여의 유속을 잇다 신 : 신라 덕 : 성덕왕 1. 무왕 대무예(719~737) 무왕은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2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719~737년이다. 본명은 대무예(大武藝)이다. 726년 흑수말갈 토벌과 동생 대문예의 당 망명(당에 자객 보냄) 등으로 당과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732년 요서 지역의 거란을 지원하기 위해 당의 등주를 공격하고 돌궐 및 거란과 연합하여 마도산전투를 벌였다. 무왕대의 활발한 영역 확장 정책으로 문왕대의 황제국 체제를 확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2. 인안 무왕은 연호를 인안으로 정하고 .. 2023. 8. 13. 고왕 대조영 두문자 : 조 고 천 동 진 발 군 신 효 대조영 : 조 고 천 동 진 발 군 신 조 : 대조영 발해건국(698) 고 : 고왕 천 : 천통 동 : 동모산(고구려 유민 + 말갈족) 진 : 진국 발 : 발해 군 : 군왕 신 : 신라 효 : 효소왕 1. 대조영 고왕 발해건국(698) 고왕 대조영은 발해의 건국자(698~719년 재위)로서, 시호는 고왕(高王)이다. 아버지인 걸걸중상 외에 가계는 분명히 알려져 있지 않다. 발해말갈전에서는 “대조영은 고구려의 별종”이라 했고, 발해전에서는 “본래 속말말갈 출신으로 고구려에 붙은 자”라고 되어 있어 고구려에 복속된 속말말갈족의 혈통을 가진 고구려 장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668년 고구려가 멸망된 뒤 아버지 걸걸중상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가 요서 지방의 영주(營州, 지금의 朝陽)에 정착하였다. 당시 영주는.. 2023. 8. 13. 문성왕 두문자 : 문 장 문성왕 : 문 장 문 : 문성왕 장 : 장보고의 난(846) 1. 문성왕 문성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재46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839~857년이다. 장보고의 반란을 진압하고, 균정계와 헌정계의 화합을 꾀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려 하였다. 중국으로 향하는 해상교통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도에 혈구진을 설치하였다. 신무왕은 청해진대사(淸海鎭大使) 장보고(張保皐)와 태종 무열왕계인 김양 등의 도움을 받아 민애왕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재위한 지 얼마되지 않은 839년 7월 23일에 사망하였다. 문성왕은 즉위하자마자, 장보고를 진해장군(鎭海將軍)으로 삼고, 아울러 관복(官服)으로 짐작되는 장복(章服)을 내려주었다. 이는 문성왕이 장보고에게 국왕의 허가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대외교섭을 할 .. 2023. 8. 13. 이전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