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 : 무 갑 기 을 조 폐 조 윤
무 : 무오사화
갑 : 갑자사화
기 : 기묘사화
을 : 을사사화
조 : 조의제문
폐 : 폐비윤씨
조 : 조광조의 개혁정치
윤 : 윤원형 VS 윤임
1. 사화(士禍)
사화는 조선 전기 조신 및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몰려 참혹한 화를 입은 정치적 사건이다. 발생한 해의 간지를 따라 1498년(연산군 4)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불린다. 1970년대 이후 현대 한국사 연구에서는 ‘훈구파(勳舊派)’가 ‘사림파(士林派)’를 탄압한 사건으로 평가해 왔으며, 1990년대부터는 대간(臺諫)의 활동과 위상 변화에 초점을 맞춰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조선 전기의 네 사화는 동일한 이름으로 묶여 있지만 개별적 성격은 서로 달랐다. 무오사화 · 기묘사화는 국왕과 대신이 한편에 서서 신진 관원을 숙청한 사건이었고, 갑자사화는 국왕이 일방적으로 가혹한 폭정을 자행한 사태였다. 을사사화는 외척을 중심으로 형성된 신하들 사이의 대립이었다. 기묘사화까지 세 사화를 관통한 주제는 대간이었다. 갑자사화는 조금 달랐지만, 갈등과 충돌은 『경국대전』에 보장된 대간의 기능이 현실에 적용되는 과정과 범위를 둘러싸고 촉발되었다.
사화의 발발과 전개에 국왕이 중요한 영향을 행사하였고, 을사사화에서는 대리청정한 문정왕후가 중요한 영향을 행사하였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무오사화와 갑자사화에서 연산군의 역할과 기묘사화와 을사사화에서의 중종의 밀지(密旨)와 문정왕후의 처결은 사건을 주도한 핵심적 동력이었다. 그동안 주류적 학설이었던 ‘ 훈구파’와 ‘ 사림파’의 대립은 물론 국왕과 삼사의 역할에 주목해 사화를 실증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으며, 그런 방향으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2. 무오사화 : 조의제문
무오사화는 『성종실록』의 편찬 과정에서 김일손의 사초에 세조(世祖, 재위 1455~1468)와 관련된 불경한 내용이 적혀 있다는 사실이 폭로된 것을 시작하여, 이후 김일손과 교류했던 청요직 인사들의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이 붕당을 결성한 행위로 인식되며 확대되었다. 김일손의 사초 가운데 문제가 된 부분은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수록한 일이었는데, 「조의제문」은 항우(項羽)에게 죽은 초나라 회왕(懷王), 즉 의제(義帝)를 단종(短宗, 재위 1452~1455)에 비유하여 세조의 찬탈을 풍자하는 내용이었다. 김종직이 제자들과 함께 붕당을 결성해 역심(逆心)을 품었던 것으로 해석되며 사건이 확대되었다.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문제 삼았던 것은 이극돈(李克墩)과 유자광(柳子光)이었다. 실록청 당상관이었던 이극돈은 김일손의 사초에 자신의 비행이 기록된 것을 보고 삭제를 요구하였으나 김일손은 거절하였다. 이에 이극돈은 유자광에게 의논하였으며, 유자광은 노사신(盧思愼)⋅윤필상(尹弼商)⋅한치형(韓致亨) 등과 모의하여 김일손의 사초에 문제가 있음을 연산군(燕山君, 재위 1494~1506)에게 고발하였다. 유자광은 무오사화의 전개 과정에서 김일손과 김종직의 연결점을 부각시켜 이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서 탄핵했다. 그 결과 이미 고인이 된 김종직은 대역죄로 부관참시형(剖棺斬屍刑)에 처해졌고, 김일손⋅권오복(權五福)⋅권경유(權景裕)⋅이목(李穆)⋅허반(許磐) 등 사초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사람들은 능지처참(凌遲處斬)을 당하였다. 이 외에도 김종직의 제자로 분류된 사람들이 유배형에 처해지거나 관직에서 쫓겨났다. 무오사화는 성종(成宗, 재위 1469~1494) 대 이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던 사림 세력이 훈구 세력과의 충돌 속에서 나타난 정치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즉위 초부터 대간(臺諫)들과 대립했던 연산군이 사초 문제를 이용해 언론을 탄압하며 정치적 입지를 확대한 사건이기도 했다.
3. 갑자사화 : 폐비윤씨
성종(成宗, 재위 1469~1494)과 연산군(燕山君, 재위 1494~1506)의 재위기 동안 조선에서는 사간원(司諫院), 사헌부(司憲府), 홍문관(弘文館)의 3사(三司)가 담당하고 있던 언론 기능이 크게 강화되었다. 연산군은 정치적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3사의 기능을 제한하고 사대부들의 힘을 약화시키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무오사화(戊午士禍)가 발생했다. 이후 연산군의 전횡이 심해지자, 3사는 연산군에 대한 간쟁의 수위를 높여 갔고, 대신들 또한 연산군의 실정에 대해 논하며 시정을 요구했다. 결국 연산군은 임금을 능멸하는 행위와 폐비 윤씨 사건의 보복이라는 명분으로 갑자사화를 일으켰다. 우선 연산군은 국왕에게 불경한 행위를 했다는 명분으로 홍귀달(洪貴達)을 강원도 영월로 귀양 보냈다. 이후 성종의 후궁들은 물론 윤씨의 폐위와 사형에 찬성했던 윤필상(尹弼商)⋅이극균(李克均)⋅성준(成俊)⋅이세좌(李世佐)⋅권주(權柱)⋅김굉필(金宏弼)⋅이주(李胄) 등을 처형했다. 이미 죽었던 한치형(韓致亨)⋅한명회(韓明澮)⋅정창손(鄭昌孫) 등의 인물들은 부관참시(剖棺斬屍)했다. 갑자사화의 규모와 처벌 방식은 매우 크고 참혹했다. 현직 대신과 3사의 신하들은 물론 이미 사망한 사람들에게까지 피해가 미쳤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지나치게 잔혹한 처벌들이 시행되면서 사건의 참혹성을 증가시켰다. 갑자사화를 통해 성종의 재위기에 형성되었던 신진 사림들이 수난을 당하면서 이들의 정치⋅학문적 활동이 크게 위축되었다.
4. 기묘사화 : 조광조 개혁정치
기묘사화란 1519년(중종 14) 조광조(趙光祖, 1482~1519) 등을 대표로 한 신진 사림들이 남곤(1471~1527) 등의 훈구 재상들에게 정치적으로 공격을 받아 실각하게 된 사건을 가리킨다. 반정(反正)으로 연산군(燕山君, 재위 1494~1506)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中宗, 재위 1506~1544)은 신진 사림을 등용해 개혁의 동력으로 삼고 아울러 성리학을 장려하면서 국정의 분위기를 새롭게 만들고자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광조 등의 신진 사류들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조광조는 1515년(중종 10) 성균관 추천으로 6품직(조지서 사지)을 제수받기도 했으나, 과거를 통해 정식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중종의 신임을 받아 다양한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현량과(賢良科)를 설치해서 과거 제도의 폐단을 고치려고 했으며, 신진 사류를 많이 등용해 이상적 유교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다. 소학(小學)의 보급, 향약(鄕約)의 시행, 여악(女樂)의 폐지 등과 같은 개혁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조광조의 청렴함과 원리 원칙에 충실한 태도는 남곤⋅심정(沈貞) 등으로 대표되는 훈구 재상들과의 대립을 불러왔다. 이들의 위훈(僞勳)을 삭제하면서 대립 양상이 더욱 심화되었다. 결국 남곤과 심정⋅홍경주(洪景舟) 등은 밀의를 거듭해 조광조 일파를 축출하고자 했다. 이들은 한밤중에 궁궐에 들어와, 왕명을 통해 조광조 등을 삭탈관직하는 방식으로 권력을 장악하였다.
중종은 조광조 등의 세력을 통제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남곤 등과 손을 잡고 이들의 제거에 동참하였다. 기묘사화로 조광조는 사사를 당하고, 김식(金湜)은 망명한 뒤 자결했으며, 김정(金淨)⋅기준(奇遵)⋅한충(韓忠) 등은 1521년(중종 16) 안처겸의 옥사 때 추죄되어 죽음을 당하였다.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처벌을 받은 사람들을 가리켜 기묘사림(己卯士林)이라 부르고 있다.
5. 을사사화 : 문정왕후의 섭정
을사사화는 조선의 4대 사화(士禍) 중 하나로 1545년(명종 즉위년) 명종(明宗, 재위 1545~1567)이 즉위하면서 모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와 외척들이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을 말한다. 을사사화는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己卯士禍)와 함께 ‘4대 사화’로 지칭된다. 기묘사화 이후 사림(士林)으로 분류되는 인물들은 대부분 조정에서 활동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1538년(중종 33) 김안로(金安老) 일파가 실각하면서 다시 요직에 기용되었고, 이에 훈구와 사림의 대립 양상이 또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중종(中宗, 재위 1506~1544)이 죽은 뒤 즉위한 인종(仁宗, 재위 1544~1545)이 병 때문에 1년도 안되어 죽고, 다시 명종이 즉위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종과 명종을 중심으로 한 외척들 사이에 정치적 갈등이 발생하였다. 중종의 첫 번째 계비(繼妃)였던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는 인종을 낳았고, 두 번째 계비였던 문정왕후 윤씨는 명종을 낳았다. 또한 중종은 김안로 일파를 제압하는 과정에서 외척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에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진 상황이었다. 이 과정에서 세자 책봉 문제 등을 둘러싸고 문정왕후의 형제였던 윤원형(尹元衡, ?~1565) 세력과 장경왕후의 아우였던 윤임(尹任) 세력이 대립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윤임 세력을 대윤(大尹), 윤원형 세력을 소윤(小尹)이라 불렀다.
을사사화는 윤원형 세력이 명종의 즉위와 함께 문정왕후의 밀지(密旨)를 받아 일으켰던 사건이었다. 당시 윤원형은 자신의 첩이었던 난정(蘭貞)에게 문정왕후에 대한 역모를 고발하도록 시켰다. 이 고발로 인해 대윤 일파에 속했던 주요 인물 대부분이 처형되거나 유배되어 몰락하였다. 을사사화를 계기로 문정왕후와 윤원형을 중심으로 한 소윤 세력이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지만, 파행적인 국정이 거듭되는 가운데, 결국 척신 정권이 붕괴되고 붕당 정치가 시행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사 두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VS 일본 두문자 : 삼 계 삼 임 사 정 을 (0) | 2023.08.14 |
---|---|
조광조의 개혁 정치 두문자 : 유 여 승 소 현 낭 균 공 수 소 (0) | 2023.08.14 |
명종 두문자 : 명 을 직 소 보 구 정 을 임 (0) | 2023.08.14 |
중종 두문자 : 중반 조개 유경여 승소현 낭통자 공균수소 백주이신훈 군 (0) | 2023.08.14 |
연산군 두문자 : 연 언 신 홍 무 조 갑 폐 (0) | 2023.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