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꾼이 알려 준 백제의 미소
1959년 당시 충청남도 서산군 용현리에서 보원사 터 발굴 조사를 하던 중, 당시 국립부여박물관장은 지나가던 한 나무꾼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는다.
"저 인 바위에 가믄 환하게 웃는 산신령님이 한 분 있는디유, 양 옆에 본마누라와 작은 마누라도 있지유. 근디 작은 마누라가 의자에 다리를 꼬고 앉아서는 손가락으로 볼따구를 찌르구 슬슬 웃으면서 용용 죽겄지하구 놀리니께 본마누라가 짱돌을 쥐어 박을라고 벼르구 있구만요. 근디 이 산신령 양반이 가운데 서 계심시러 본마누라가 돌을 던지지두 못하고 있지유."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 바로 사진 속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이다. 중앙에 자리한 석가 여래 입상은 얇고 넓은 코, 은행알처럼 생긴 눈, 입가에 살짝 미소를 띤 얼굴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흔히 "백제의 미소"라 불린다. 또한 '중생에게 두려움을 덜어 주고 소원을 들어준다'는 의미의 손 모양(시무외 여원인)을 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당시 불교가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추측하게 한다.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미소의 모습이 달라지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한때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의 보존을 위해 보호각을 설치하였지만, 이슬이 맺히거나 바위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 등이 생기고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바뀌는 미소도 보기 어려워지자 2000년대 들어 철거하였다.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이 바라보는 방향은 동짓날 해가 뜨는 곳과 일치한다. 또한 바위가 80º로 기울어진 곳에 불상을 새겨 비바람이 정면으로 들이치지 않는다. 이는 불상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과학적으로 매우 정교하게 제작되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이유로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이 당시 선진 기술을 가진 석공들이 제작하였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에서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태안 백화산에도 마애 삼존불이 있다. 또한 용현리 동쪽에 있는 예산의 봉산면에도 비슷한 시기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사면 석불이 있다. 왜 이곳 주위의 여러 장소에 불상을 만들었던 것일까? 태안반도 지역은 백제의 수도인 사비성과 중국을 연결하는 길목이었다. 그래서 중국으로 가는 배의 안전을 기원했거나, 불교가 전래하는 과정에서 부처의 힘을 과시하기 위한 상징물이 아니었나 추측한다. 사실 여부를 떠나 당시 백제가 태안반도를 통하여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의 발견으로 우리는 백제 불상의 모습을 알게 되었다. 이어 일본 호류사에 있는 백제 관음상 등이 백제계 불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서산 용련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라 함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마애불을 가리킨다. 물론 국보이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8m. 서산시 운산면은 중국의 불교 문화가 태안반도를 거쳐 부여로 가던 행로상에 있다. 즉 태안반도에서 서산마애불이 있는 가야산 계곡을 따라 계속 전진하면 부여로 가는 지름길이 이어지는데, 이 길은 예로부터 중국과 교통하던 길이었다. 이 옛길의 어귀가 되는 지점에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있는데, 이곳은 산세가 유수하고 천하의 경승지여서 600년 당시 중국 불교 문화의 자극을 받아 찬란한 불교 문화를 꽃피웠던 것이다.
묵중하고 중후한 체구의 입상인 본존(本尊)은 머리에는 보주형(寶珠形) 두광(頭光)이 있으며, 소발(素髮)의 머리에 육계(肉髻)는 작다.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는 미소가 있고 눈은 행인형(杏仁形)으로 뜨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없고 법의(法衣)는 두꺼워서 거의 몸이 나타나 있지 않다. 옷주름은 앞에서 U자형이 되고 옷자락에는 Ω형의 주름이 나 있다. 수인(手印)은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으로 왼손의 끝 두 손가락을 꼬부리고 있다. 발밑에는 큼직한 복련연화좌(覆蓮蓮華座)가 있고, 광배 중심에는 연꽃이, 둘레에는 화염문이 양각되었다. 이에 대하여 우협시보살(右脇侍菩薩)은 머리에 높은 관을 쓰고 상호(相好)는 본존과 같이 살이 올라 있으며, 눈과 입을 통하여 만면에 미소를 풍기고 있다. 목에는 짧은 목걸이가 있고 두 손은 가슴 앞에서 보주(寶珠)를 잡고 있다. 천의는 두 팔을 거쳐 앞에서 U자형으로 늘어졌으나 교차되지는 않았다. 상체는 나형(裸形)이고 하체의 법의는 발등까지 내려와 있다. 발밑에는 복련연화좌가 있다. 머리 뒤에는 보주형 광배가 있는데, 중심에 연꽃이 있을 뿐 화염문은 없다. 좌협시보살은 통식(通式)에서 벗어나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을 배치하였다. 이 보살상은 두 팔에 크게 손상을 입었으나 전체의 형태는 충분히 볼 수 있다. 머리에는 관을 썼고 상호는 다른 상들과 같이 원만형(圓滿形)으로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다. 상체는 나형이고 목에는 짧은 목걸이를 걸쳤다. 허리 밑으로 내려온 옷자락에는 고식의 옷주름이 나 있다. 발밑에는 큰 꽃잎으로 나타낸 복련대좌(覆蓮臺座)가 있다. 머리 뒤에는 큰 보주형 광배가 있는데, 그 형식은 우협시보살의 광배 형식과 같다.
이 삼존상은 『법화경』의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 즉 석가불·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을 나타낸 것이다. 『법화경』 사상이 백제 사회에 유행한 사실을 입증해 주는 가장 중요한 사료이다. 따라서 이 불상은 백제 불교사 내지 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시대 사찰에 건립된 응진전(應眞殿) 수기삼존불의 가장 오래된 원조로서의 의의가 있다.
백제의 미소, 그 천년의 여운
수도권에서 서해안고속국도를 타고 1시간 남짓 달리면 서산나들목에 다다른다. 그 다음 가야산 상왕봉으로부터 발원한 물길이 서산시 운산면의 용현계곡을 만들며 굽이쳐 흘러드는 용현리 입구까지는 30분이면 충분하다. 용현계곡의 물소리가 잦아드는 한쪽 골짜기를 찾아들면, ‘백제의 미소’로 알려져 있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국보 제84호]이 모습을 드러낸다. 중앙의 소탈한 모습의 본존불상과, 좌우의 반가 사유상과 보살 입상은 첫인상에서부터 일반적인 삼존불상에서 찾아볼 수 없던 형식의 파괴, 즉 초탈함을 느끼게 한다.
그 이름도 유명한 ‘백제의 미소’라는 말은 한국 역사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한 고 김원용 박사의 저서 『한국미의 탐구』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마애불을 방문한 사람들은 누구나 고개를 끄덕이며 그 말에 공감하였다. 때문에 현재는 ‘백제의 미소’가 서산 마애삼존불을 가리키는 별칭이 된 것이다. 그리고 서산 마애삼존불이 갖고 있는 ‘온화하고 고졸한 미소’와 ‘형식의 파격’은 다른 어떤 백제의 문화유산보다 백제스러움을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한국인들의 뇌리에 각인되었다.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진정한 가치는 조각의 아름다움에서 오는 것만은 아니다. 신이 아닌 이웃집 아저씨 같은 지극히 일상적이고 친근한 불상의 얼굴과 더불어, 하루의 태양의 조도에 따라 바뀌는 본존불과 좌우 협시불의 미소는 천오백 년의 시간을 건너뛰어 당시 살아 움직이는 백제인들의 소탈한 미소를 현대인에게 전달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른 아침 살짝 미소만 머금다가 오후의 내리쬐는 햇빛 아래서는 입꼬리를 올려 활짝 웃는다. 해가 저물고 달이 뜨면 불상 아래에 켜진 촛불과 함께 다시 불상 본연의 근엄한 얼굴로 돌아간다. 이렇듯 백제의 미소는 천년을 이어 왔고, 다시 앞으로 천년의 시간이 지난 후에도 그 미소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산신령으로 화한 백제의 부처
보면 볼수록 깊은 맛이 우러나오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발견된 지 겨우 50여 년밖에 안 되었다. 1959년 당시 국립부여박물관장이었던 홍사준 박사의 의뢰로 고 황수영·김재원 박사가 현장 조사를 하여 마애불상을 발견하였는데, 홍사준 박사의 불상 발견과 관련된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진다.
원래 서산은 ‘백암사(白菴寺)’ 전설이 전해질 정도로 가야산 일대를 중심으로 불교가 꽃핀 지역이다. 그런데 현장 조사를 갔던 홍사준 박사는 아무리 찾아봐도 불상은커녕 탑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모든 것을 체념한 홍사준 박사는 지나가던 나무꾼에게 혹시 불상이 있는지를 물었다.
그러자 나무꾼은 “부처님이나 탑 같은 것은 못 봤지만유, 저 인바위에 가믄 환하게 웃는 산신령님이 한 분 있는디유. 양옆에 본마누라와 작은마누라도 있지유. 근데 작은마누라가 의자에 다리 꼬고 앉아서 손가락으로 볼따구를 찌르고 슬슬 웃으면서 용용 죽겠지 하고 놀리니까 본마누라가 장돌을 쥐어박을라고 벼르고 있구만유. 근데 이 산신령 양반이 가운데 서 계심시러 본마누라가 돌을 던지지도 못하고 있지유”라고 느릿느릿한 서산 지역의 사투리로 ‘산신령과 두 마누라[?]’의 이야기를 해 주었던 것이다. 그 나무꾼의 말을 듣고 찾아간 계곡의 암벽 가운데에 바로 서산 마애삼존불상이 있었다.
불상을 자세히 보니 나무꾼의 설명대로 중앙의 본존불과 좌우 협시불이 새겨진 삼존불이 틀림없었다. 그런데 더욱 웃음을 참지 못했던 것은 나무꾼의 마애불에 대한 설명이 그 어떤 묘사보다도 정확하였다는 점이다. 중앙의 본존불은 산신령이었고, 본마누라는 본존불 우측에 서 있는 보살, 작은마누라는 좌측의 다리를 꼬고 턱을 괴어 앉아 있는 반가 사유상이었던 것이다. 이렇듯 가야산 계곡의 한쪽 귀퉁이에서 보살을 마누라로 두면서 산신령 노릇을 하던 백제 부처는 세상에 알려지면서 다시금 백제의 서산 마애삼존불상으로 화하게 되었다. 그런데 백제의 몇 되지 않는 부처가 왜 도읍지도 아닌 가야산 깊은 계곡에 은거하고 있었던 것일까? 그것은 백제 시대 서산 지역의 중요성과 관련이 있다. 일찍부터 백제 중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서산 지역은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한강 유역을 상실한 백제는 이전 시기 중국과의 교섭 창구였던 한강 유역의 기항지를 잃어버리게 된 것이다. 따라서 백제는 중국으로 갈 수 있는 새로운 항구를 모색하였고, 그 결과 서산 지역이 그 대상으로 부상하였다.
서산 지역이 위치한 태안반도는 중국과의 거리가 우리나라에서 직선거리로는 가장 가까운 곳이다. 당시에 직항로가 사용되었을지는 의문이지만 중국과의 항로에 중요한 지표가 되는 덕적도와는 불과 30㎞에 불과하여, 이전 시기 항로와 가장 유사한 경로로 항해가 가능하였다. 이렇듯 대중국 교섭의 기항지이자 기착지로 서산 지역이 부상하면서, 자연스레 백제로 들어오는 선진 문물이 서산 지역에 내려진 후 육로를 통해 도읍이 위치한 충청남도 내륙 지역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런데 서산 지역에서 충청남도 내륙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동쪽의 가야산을 중심으로 하는 험준한 산지를 넘어야만 가능하였다. 바로 서산에서부터 공주·부여 지역으로 이동하는 유일한 통로가 지금의 서산 마애삼존불이 위치하고 있는 가야산 협곡이었던 것이다. 당시 중국의 남북조와 백제, 그리고 서산 지역과 공주·부여 지역을 오가던 백제의 상인들은 수없이 가야산 협곡을 오갔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당시의 국제 문화의 흐름을 주도하던 불교문화도 바로 이 경로를 통해서 도읍으로 들어갔을 것이다. 많은 이들은 아마도 이 가야산 협곡에 부처가 터를 잡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백제 중앙에서는 고구려·신라와의 해상 접경지가 된 서산 지역이 불법의 힘으로 호국과 민심을 수습하기를 바랐을 것이다. 6세기 말~7세기 초 위덕왕(威德王)에서 무왕(武王)에 이르는 시기는 백제 불교의 극성기였다. 부처의 힘을 빌려 나라를 지키고 왕실의 안전을 기원하고자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익산 미륵사(彌勒寺)와 같은 대 불사를 진행하였다. 왕실에서는 선진 문물의 중요한 통로인 가야산 협곡에 미륵사와 마찬가지로 보원사(普願寺)를 건립하고, 서산 마애삼존불상을 조성하였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실제 가야산 일대에 위치한 예산 수덕사(修德寺) 등에서 백제 시대 고승인 혜현(慧顯)이 몸을 담는 등 가야산은 백제 시대 불교문화의 성지로 꽃피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서산 지역과 중국을 오가며 무역을 하는 주민들은 속을 알 수 없는 바다에 몸을 던지며 멀리서 가야산을 바라보고 항해가 끝났음을 알 수 있었다. 가야산관련항목 보기은 바다에 몸을 맡긴 뱃사람들이 자신이 비로소 살아 있음을 확인하는 증거였다. 이들은 가야산에 부처가 터를 잡고 언제까지든 자신들의 안전과 부의 축적을 도와주길 기원하였을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모든 이들의 기원을 바탕으로 새겨진 것이 바로 서산 마애삼존불상일 것이다. 왕에서 민초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평화로운 세계, 바로 백제인들이 바라는 불국토에 존재하는 부처의 모습이 이러한 모습이 아닐까 한다.
부처가 된 백제인의 얼굴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언제부터인가 서산 지역의 대표적인 명소로 부각되었다. 타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끊이지 않고 찾아오는데, 그들은 하나같이 백제를 보기 위해 마애불을 찾아왔다고 한다. 그 이유를 물어보면, 서산 마애삼존불상이 “가장 백제적인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서산 마애삼존불상 때문에 당대 백제의 도읍이었던 공주·부여가 아닌 서산을 찾고 있는 것이다. 옛 백제의 도읍이었던 공주와 부여에는 수많은 백제의 문화유산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아름다운 탑과 훌륭한 왕의 무덤들, 그리고 왕궁 터에 이르기까지. 한 나라의 수도라는 것은 정치·문화·경제의 중심지이기에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그런데 백제와 관련된 것 가운데 공주와 부여에는 없고 서산에만 있는 것이 있다.
일국의 도읍에도 없던 것이 서산에만 남아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백제 사람’이다. ‘백제 사람’이란 옛 도읍지에 남아 있는 수많은 찬란한 문화유산을 남긴 이들일 것이다. 천오백 년이 지난 지금 ‘백제 사람’은 없고, 그들이 남긴 것들만 우리 곁에 자리한다. 그런데 서산 지역에는 공주와 부여에 비해 많은 백제 문화유산은 없지만 ‘백제 사람’이 있다. 바로 서산 마애삼존불상 그 자체가 ‘백제 사람’의 모습과 삶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주변의 어디에서나 봄직한 우리 주변의 이웃집 아저씨와 같은 본존불의 모습은 우리가 백제인의 혈육임을 증명하고 있다. 근엄한 얼굴로 인생의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구출해 줄 것 같은 신의 모습이 아니라, 밤새 술잔을 나누면서 이야기를 들어주고 또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것 같은 인간의 모습이다. 좌우의 보살도 근엄한 얼굴이 아니라 ‘김치’하면서 웃는 자연스러움이 배어 있다. 이 모든 것들이 어우러진 큰 바위 얼굴은 보면 볼수록 감칠맛이 우러나는 우리의 장맛과 같은 감동을 선사해 주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백제 사람들의 성격을 설명할 때 흔히들 진취성과 개방성, 그리고 여유와 온화함, 부드러움, 자유분방함 등을 든다.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소박한 새김 기법과 자유로운 불상의 배치에서는 백제인들의 틀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사고를 엿볼 수 있다. 또한, 마애불의 순박하고 푸근한 미소에서는 시종일관 여유로움과 부드러움을 잃지 않는 철학이 묻어난다.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조성된 마애불은, 한편으로는 바다를 무대로 활동하는 백제 사람의 진취성과 역동성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당대 서산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백제인들의 개방성에 기인하였다. 당시 바다는 선진 문물과 문화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통로가 되었으며, 바다와 육지를 이어 주는 요충지라는 지역적 특수성은 서산 지역 백제인의 개방성을 함양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을 것이다. 마애불이라는 당대 유행하던 문화 양식을 받아들인 것 자체도 이러한 개방성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서산의 백제인들은 당대 어느 지역의 백제인들보다 국제 사회의 유행을 잘 알고 있었고, 새로운 문물을 가장 빨리 접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마애불을 조성하면서 그 불상의 얼굴에 자신의, 혹은 자신의 부모와 친척, 이웃의 얼굴을 새겨 넣음으로써 자신들의 모습과 문화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불상의 법의 아래로 보이는 바지의 일자로 트인 밑단과 도련의 덧댐 흔적은 바로 백제인들의 옷 바로 그것이다. 백제의 옷을 입은 그 사람은 다름 아닌 ‘백제 사람’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긴 시간을 넘어 현대인과 소통하고 있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천오백 년 전 3명의 백제 사람과 다름없다. ‘백제’가 아닌 ‘백제 사람’을 보고 싶다면 서산으로 방향을 잡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백제의 미소’ 서산 용현리 계곡의 ‘마애여래삼존불상’
내포문화숲길의 서산 운산면 마애삼존불로 65-13(용현리)의 용현계곡에는 국보 제84호인 ‘마애여래삼존불상(磨崖如來三尊佛像)’이 있다. 가야산(伽倻山)의 화강암 절벽에 새겨진 높이 2.8m의 백제 후기의 마애불이다. ‘마애(磨崖)’란 암벽에 조각했다는 뜻이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으로 지정됐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됐다. 서산 마애석불 또는 서산 마애불, 운산 마애석불이라고도 부른다.
서산 운산 용현리의 백제 때 창건돼 통일신라와 고려시대를 품은 ‘한때 승려 1000여 명이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는 사찰, 보원사지에서 2km가량 가면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磨崖如來三尊像)’ 입구에 다다른다. 입구에서 계곡물을 건너 200m가량 비탈을 올라가면 ‘마애여래삼존상’을 친견할 수 있다. 용현계곡 입구 왼쪽 층암절벽에 새겨진 삼존불은 국내 마애불 중 가장 오래되고 조각미가 걸출한 불상으로 꼽힌다. 1958년 처음 발견했고, 4년만인 1962년 국보로 지정됐다. 삼존불은 가운데 여래입상, 오른쪽 보살 입상, 왼쪽 반가사유상으로 추정되는 세 보살상으로 구성됐다. 여래입상이 현재를 상징하는 석가, 반가사유상이 미래 부처인 미륵, 오른쪽 입상이 과거불인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이다.
■ ‘백제의 미소’로 칭송
고학자이자 미술사학자인 고 김원룡(金元龍, 1922~1993) 박사가 ‘한국미의 탐구’라는 저서에서 ‘백제의 미소’라고 칭송한, 흔히 ‘서산 마애삼존불’로 불리던 백제시대 마애불이다. ‘따뜻하고 넉넉한 미소 머금은 제화갈라보살 입상, 장쾌하고 넉넉한 미소를 머금은 석가여래상, 천진난만한 소년의 미소를 담은 미륵반가사유상’이라 안내판에 쓰여 있다. 불상의 미소가 빛이 비추는 방향에 따라 다른 모습 보여준다. 아침에는 밝고 평화로운 미소, 저녁에는 은은하고 자비로운 미소를 볼 수 있다. 탁월한 조각기술, 뛰어난 예술성, 아름다운 독창성이 돋보이는 1500년 세월을 견뎌온 ‘삼존불’이다.
서산 운산면은 중국의 불교 문화가 태안반도를 거쳐 부여로 가던 행로상에 있다. 즉 태안반도에서 서산마애불이 있는 가야산 계곡을 따라 계속 전진하면 부여로 가는 지름길이 이어지는데, 이 길은 예로부터 중국과 교통하던 길이었다. 이 옛길의 어귀가 되는 지점에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있는데, 이곳은 산세가 유수하고 천하의 경승지여서 600년 당시 중국 불교 문화의 자극을 받아 우리나라의 찬란한 불교 문화를 꽃피웠다.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중앙에 여래 입상의 거구(巨軀)를 양각(陽刻)하고 여래의 오른쪽에 보살 입상을, 왼쪽에 반가사유형 보살좌상을 배치했다. 삼존(三尊)에 나타난 고졸(古拙)한 미소는 백제 불상의 특이상(特異相)으로도 지적된다. 이 삼존상(三尊像)은 ‘법화경’의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 즉 석가불(釋迦佛)·미륵보살(彌勒菩薩)·제화갈라보살(提和竭羅菩薩)을 나타낸 것이다. ‘법화경’ 사상이 백제 사회에 유행했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가장 중요한 사료이자 유물이다. 또한 조선시대 사찰에 흔히 건립된 응진전(應眞殿)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의 원조로 의의가 있다. 수덕사(修德寺)에 주석했던 혜현(慧顯, 573~630) 스님도 법화와 삼론(三論)에 통달했다고 전해진다.
서산 마애석불과 태안 마애석불의 두 마애석불은 깊은 산의 암벽을 택해 조형됐으며, 부근에 소암(小庵)을 경영하고 있어서 한국 석굴사원(石窟寺院) 조영(造營)의 시원적 형태를 보인다. 소발(素髮, 장식 없는 민머리)에 낮은 육계(肉髻, 정수리가 불룩 솟아오른 것, 부처의 몸에 갖춰져 있는 팔십수형호의 하나)를 갖췄으며, 백호(白毫,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터럭) 구멍이 있다.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 눈썹은 초생달 모양, 눈은 행인형(杏仁形;은행 씨 모양)이고, 코는 얇고 넓으며, 입가에 살짝 미소를 띠었다. 두광(頭光)은 머리 바로 위에는 연화문을 두었고, 그 바깥에 원권문을 돌리고, 가장 바깥에 화염문을 장식했다. 거기에 화불(化佛, 작은 부처상) 3구를 새겼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없고, 수인(手印)은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을 하고 있다. 법의(法衣)는 통견(양쪽 어깨를 모두 덮음)이고 가슴에 옷의 띠 매듭이 있고, 옷 주름은 U자형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무릎 아래까지 드리웠다. 발가락이 정면으로 드러나 있고, 발밑에는 단판의 큼직한 복련연화좌(覆蓮蓮華座)가 조각돼 있다. 광배 중심에는 연꽃이, 둘레에는 화염문이 양각돼 있다. 이에 대해 우협시보살(右脇侍菩薩)은 머리에 높은 관을 쓰고 상호(相好)는 본존(本尊)과 같이 살이 올라 있으며, 눈과 입을 통해 만면에 미소를 풍기고 있다. 목에는 짧은 목걸이가 있고 두 손은 가슴 앞에서 보주(寶珠)를 잡고 있다.
천의는 두 팔을 거쳐 앞에서 U자형으로 늘어졌으나 교차되지는 않았다. 상체는 나형(裸形)이고 하체의 법의(法衣)는 발등까지 내려와 있다. 발밑에는 복련연화좌(覆蓮蓮華座)가 있다. 머리 뒤에는 보주형(寶珠形) 광배가 있는데, 중심에 연꽃이 있을 뿐 화염문은 없다. 좌협시보살(左脇侍菩薩)은 통식(通式)에서 벗어나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을 배치했다. 이 보살상은 두 팔에 크게 손상을 입었으나 전체의 형태는 충분히 볼 수 있다. 머리에는 관을 썼고 상호는 다른 상들과 같이 원만형(圓滿形)으로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다. 상체는 나형(裸形)이고 목에는 짧은 목걸이를 걸쳤다. 허리 밑으로 내려온 옷자락에는 고식의 옷주름이 나 있다. 발밑에는 큰 꽃잎으로 나타낸 복련대좌(覆蓮臺座)가 있다. 머리 뒤에는 큰 보주형(寶珠形) 광배가 있는데, 그 형식은 우협시보살(右脇侍菩薩)의 광배 형식과 같다.
■ 용현계곡 인바위에 새겨
서산 마애삼존불은 1959년 4월 홍사준이 보원사지에 유물조사를 나왔다가 발견해 국보고적보존위원회에 보고한 후 국보로 지정됐다. 서산 마애불은 용현계곡의 인바위에 새겨져 있다. 인바위라는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인근 사람들이 마애불(磨崖佛)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마애불의 발견으로 백제 불상의 진면목이 밝혀졌다고 한다. 금동미륵반가상이나 일본 고류지의 목조반가사유상, 호류지의 백제관음 등은 백제계 불상이라는 추정을 해왔는데, 서산 마애불의 발견으로 그 관련성이 드러났다는 평가다.
용현계곡의 바위에 새겨진 세 부처의 온화하고 은은하며, 넉넉한 미소는 ‘백제의 미소’라고 불린다. 서산마애여래삼존상의 미소는 자연 빛의 방향과 각도에 따라 보는 사람에게 표정이 다른 미소를 선사하는 잔잔한 감동을 준다고 한다. 아침 햇살을 받은 오전 10시경의 표정이 가장 아름답다고 하는데, 과연 범인이 그 아름다운 미소를 포착할 수 있을까.
'한국사 두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임시대통령 이승만 탄핵 결의안_1925년 공부 제42호 (2) | 2024.12.01 |
---|---|
2024.04.01. 대통령 담화_관련 종합 정리 (0) | 2024.04.02 |
장고형 고분_한일 고대사의 연결 고리 (0) | 2024.01.22 |
금동 연가 7년명 여래입상_12시간 행방불명의 미스터리 (0) | 2024.01.22 |
조선상고사_제2장_역사의 3대 원소와 옛 조선사 결점 (1) | 2023.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