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되다 _ 어원 자료
‘박(朴)'씨 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한자 ‘박(朴)'의 새김을 물어 보면 ‘바가지 박'으로부터 시작하여 심지어는 ‘박정희 박'까지도 등장할 정도로 그 대답이 다양하다. 문서편집기인 ‘한글의 ‘박(朴)'의 석음을 보면 엉뚱하게도 ‘후박나무 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朴'은 원래 ‘숫될 박'이었었다. 즉 ‘숫 되다'의 의미를 가진 한자가 ‘朴'인 셈이다. ‘숫되다'란 ‘순진하고 어수룩하다, 깨끗하고 순진하다, 약삭빠르지 않고 순박하다' 등의 뜻을 가진 단어 인데, 나이 지긋한 사람들은 ‘그 사람은 숫배기다(숫보기다), 그 사람은 숫티가 난다' 등에서 보는 ‘숫배기(숫보기), 숫티' 등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썼던 말이었지만, 요즈음의 젊은이들에게는 생소한 단어가 되어 버렸다. 그래서 ‘朴'의 석음인 ‘숫될 박'은 잊혀 가고, ‘숫되다'와 유사한 뜻을 가진 한자어 ‘순박하다'로 대치되어 ‘박(朴)'이 ‘순박할 박'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한자 ‘朴'의 새김이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살펴보면 대번에 알 수 있다. 그 석음의 변천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숟도욀 박<1576신증유합(초간본), 하, 2b>
등걸 박<1664칠장사판(유합), 20b>
쉬낼 박<1700영장사판(유합), 20b>
숟도욀 박<1711신증유합(중간본), 하, 2b>
등걸 박<1730송광사판(유합), 20b>
검박 박<18xx무신간판본 유합, 16b>
순박 박<18xx증보천자, 4b>
검박 박<1903유몽천자, 1, 62>
등걸 박<1909언문, 12>
질박할 박<1918초학요선, 29>
슌박할 박<1923한일선작문천자, 28b>
슌박할 박<1928조선역사천자문, 38>
‘숫도욀 박'에서 ‘검박 박, 질박 박' 등을 거쳐 ‘순박할 박'으로 변화한 과정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숫되다'는 16세기 문헌에 ‘숟도외다'로 나타난다. ‘숟도욀 박'의 ‘숟도욀은 ‘숟 + 도외- + ㄹ'로 분석되는데, ‘도외다'는 현대국어 ‘되다'의 옛날 형태다. ‘되다'는 ‘다뵈다 > 다외다> 도의다(또는 ‘도외다') > 되다' 등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그런데 ‘숟'은 무엇일까? ‘숟'은 후에 ‘숫'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에 ‘숫'을 ‘숫놈'의 ‘숫'으로 연상하기 쉽다. 그도 그럴 것이 ‘숫되다'에 대비되는 ‘암되다'란 단어가 있기 때문이다. ‘암되다'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지만, 한글학회의 「우리말큰사전」과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는 등재되어 있는데, ‘남자의 성격이 여성적이고 소극적이다, 남자의 성격이 남자답지 못하고 어줍다'란 뜻을 가진 단어다. 이 ‘암되다'란 단어가 존재하니까 이 단어와 대립적인 ‘숫되다'의 ‘숫'을 ‘수 + ㅅ'으로 분석해서 ‘암되다'의 ‘암'과 대립되는 ‘수'로 해석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쩌랴? 그렇다면 ‘숫되다'의 의미가 ‘암되다'와 대립되어야 하는데, ‘숫되다'나 ‘암되다'나 그 뜻이 유사하니 말이다. ‘암되다'가 ‘소극적이고 여성적'이라면 ‘숫되다'는 ‘남성적이고 적극적'이란 뜻을 지녀야 하는데, 오히려 ‘순진하고 어리석다'란 뜻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 ‘숫'은 무엇일까? ‘숫의 정체를 알기 위해 우선 ‘숫'이 ‘숫되다'의 ‘숫'과 유사한 뜻으로 사용된 어휘들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이보도록 한다. 그런데 ‘숫되다'는 사라져 가고 있지만 ‘숫되다'의 ‘숫'과 연관된 단어 가 예상 외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숫것(손을 대거나 변하지 아니한 본디의 순수한 것)
숫국(숫된 사람이나 새것대로 있는 물건을 이르는 말)
숫눈(눈이 와서 쌓인 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눈)
숫두리왜(너무 숫되고 어리벙벙한 짓을 잘하는 사람)
숫백성(거짓을 모르는 순박한 백성)
숫사람(거짓이 없고 순진하여 어수룩한 사람)
숫색시(숫처녀)
숫음식(만든 채 고스란히 있는 음식)
숫제(순박하고 진실하게)
숫처녀(남지와 성적 관계가 한 번도 없는 여자)
숫총긱(여자와 성적 관계가 한 번도 없는 총각)
숫티(순진하고 어수룩한 몸가짐이나 모양)
숫보기 (순진하고 어수룩한 사람)
숫스럽다(순진하고 어수룩한 듯하디)
슷접다(순빅하고 진실하다)
숫지다(순박하고 인정이 두텁다)
이들 어휘들은 ‘숫 + 명사'의 구조를 지니고 있든, ‘숫 + 동사'의 구조를 지니고 있든 간에 ‘숫'은 모두 ‘더렵혀지지 않은', ‘순수한', ‘세상 물정을 모르는', ‘어수룩한' 등의 뜻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숫되다'나 ‘숫총각, 숫처녀'의 '숫'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숫되다'는 16세기에 ‘숟도외다'로 나타났다. 따라서 ‘숫되다'의 초기 형태는 ‘숟다뵈다'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 형태는 문헌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다. 대신 ‘숟'의 형태는 다른 어휘에서 ‘숟도외다'의 ‘숟'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었다.
숟갇나희가 니믈리기가 올히 갓 열여스신 숟갇나해라<1517번역박통사, 상, 45a>
‘숟갇나희'는 오늘날의 ‘숫처녀'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다. 이 ‘숟'은 18세기에 이미 ‘숫'으로 변화하였다. 그리하여 ‘숫도외다'는 ‘숫되다'로 변화한다. 이후 ‘숫되다'는 오늘날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어서 모든 국어사전에 ‘숫되다'를 싣고 있다.
뎌런 호걸이 엇디 도로혀 삼일 신부도곤 붓그려하나냐 그 숫된 양이 더욱 사랑홉다<17xx후수호뎐, 277>
숫되다(純專) <1895국한회어, 192>
영환은 교의에 안진 채 눈을 떠러트리고 안저 잇는 것이 마치 시골처녀와 가티 숫되게 보엿다<1937찔레꽃, 240>
윤수는 시굴 농토에 처백 혀서 숫되기 짝이 없든 순남이가 어느 틈에 저렇듯 되엇는지 매사가 놀라웠다. <1938신개지, 41>
그래도 아직 ‘숟(또는 ‘숫)'의 정체를 파악하였다고 하기 힘들다. 이 ‘숫'의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숫되다'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X되다' 로 되어 있는 단어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1음절 고유어'에 ‘되다'가 통합되어 ‘사람의 심성' 등을 표현한 어휘(특히 형용사)들이 많아서 그들의 구조를 살펴보면 ‘숫'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1음절 고유어에 ‘되다'가 붙어서 사람의 심성을 표현하는 단어들을 몇몇 찾아보도록 한다.
늦되다, 다되다, 덜되다, 데되다, 뒤되다, 막되다, 못되다 새되다, 순되다, 쑥되다 안되다, 앳되다, 얼되다, 엇되다, 올되다, 일되다, 잘되다, 좀되다, 참되다, 풋되다, 헛되다, 호되다, 흠되다
이들 'X + 되다'로 구성된 어휘들에서 'X'는 대부분이 부사(다, 덜, 막, 못, 잘 등)거나, 접두사(늦, 풋, 좀, 참, 헛 등) 거나 명사(얼, 뒤, 순)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숫되다'의 ‘숫'은 그 중 어디에 해당하는 것일까? ‘숫'은 독립된 명사나 부사로 쓰인 예가 없어서 ‘숫'은 접두사로 처리하기 쉽다. 실제로 ‘숫총각, 숫처녀'의 ‘숫'은 접두사임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접두사가 연결되는 어기로 ‘되다'를 설정할 수가 있는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다른 해석을 해야 한다.
마침 ‘숫하다'란 동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숫'을 어근으로 상정할 수 있다. ‘숫하다'는 ‘순박하고 진실하다'란 뜻이다. 그러므로 ‘숫되다'의 ‘숫'도 어근으로 해석해 버리면 쉽게 해결될 것이다. 어근 중에는 이러한 어근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야 ‘숫스럽다'를 해석할 수 있다. ‘숫'을 접두사라고 판정하면 ‘숫(접두삼) + -스럽다(접미사)'의 이상한 단어 구조를 설정하여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숫되다'의 ‘숫'과 동일한 형태로서 ‘숫기가 없다'에 보이는 ‘숫기(활발하여 부끄러워하지 않는 기운)'의 ‘숫'은 ‘숫되다'의 ‘숫'과는 다른 ‘숫'일 것인지, 아니면 ‘숫되다'의 ‘숫'과 같은 것인데, 그 쓰임이 반대로 되어 ‘숫기가 없다'란 용법 때문에, 다른 의미의 ‘숫'으로 된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마치 ‘주책이야'와 ‘주책이 없다'의 ‘주책'이 같은 단어인 것처럼 말이다.
[오늘 토박이말] 숫되다
[뜻]거짓이나 꾸밈이 없고 어수룩하다.
[보기월] 뛰어나게 잘 만들었다기보다 좀 숫된 듯했지만 그 어떤 것보다 멋있어 보였습니다.
구름이 하늘을 가려 흐린데 바람까지 부니 많이 서늘했습니다. 긴옷을 입고 나갔지만 옷이 얇다는 느낌이 바로 들었습니다. 아침 다모임을 할 때 빗방울까지 떨어져서 더 추웠지요. 두꺼운 옷을 입고 온 아이들을 보니 이제 더위 이야기를 할 일은 없을 것 같고 겨울이 머지 않았다 싶었습니다.
토박이말 어울림 한마당 잔치를 앞두고 갖출 것들을 하나씩 챙기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 도움을 주시지만 그래도 챙겨야 할 게 많기는 많습니다. 곳곳에 펼침막이 걸렸고 널알림(광고)도 하고 있습니다. 이름처럼 많은 사람들이 어울리는 한마당 잔치가 될 수 있도록 마음을 쓰고 있습니다.
일을 마치고 집으로 와서 똑들말틀(스마트폰)을 보다가 엄청 반갑고 기쁜 일이 있었습니다. 토박이말과 아랑곳한 여러 가지 동아리 가운데 푸름이(청소년)들이 모이는 곳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저희들끼리 이야기도 나누고 알거리도 주고받는 곳입니다. 그곳에 류가령이라는 아이가 올린 움직그림이 저를 기쁘게 해 주었습니다.
짧은 움직임과 몇 마디 말로 사람 눈을 끌게 만들어 놓은 걸 보며 어른들이 배워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뛰어나게 잘 만들었다기보다 좀 숫된 듯했지만 그 어떤 것보다 멋있어 보였습니다. 돈이 아닌 앎과 솜씨로 얼마든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 같았지요. 무엇보다 시키지도 않았는데 스스로 했다는 것이 참 대견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는 눈매가 순진해서 숫되어 보이는 사내였다.(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그 사람도 숫되고 세상 물정 모르는 여느 아낙들과 다를 바가 없다.(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에서 동사 ‘되다’가 접미사로 쓰이는 경우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그 첫 번째는 서술성을 가진 일부 명사 뒤에 붙어서 피동의 뜻을 더해 주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가결되다, 사용되다, 형성되다’ 같은 것입니다.
두 번째는 몇몇 명사나 어근 또는 부사 뒤에 붙어서 형용사를 만드는 것인데, ‘거짓되다, 참되다, 막되다, 못되다, 숫되다’와 같은 경우지요. 이 가운데 ‘숫되다’는 ‘수’ 밑에 ㅅ 받침을 쓰는 것으로 ‘수컷’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말입니다. 여기서 ‘숫-’은 ‘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결국 ‘숫되다’는 ‘순진하고 어수룩하다’는 뜻의 형용사지요.
이와 같은 구조의 형용사로 ‘암되다[암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암되다’는 ‘남자가 성격이 소극적이며 수줍음을 잘 타는 데가 있다’는 뜻인데, 이것은 ‘수컷’과 관계없는 표현인 ‘숫되다’와는 달리 ‘암컷’과 관련된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암되다’와 비슷한 표현으로 ‘암띠다’도 있습니다. ‘암띠다’는 ‘수줍은 성질이 있다’는 뜻으로, ‘그는 너무나 암뗘서 여자 앞에서는 말도 못한다.’와 같이 말할 수 있지요.
"할아버지, 날도 더운데 무서운 얘기 좀 해주세요!"
한여름 밤, 시골집에 모인 손주들이 할아버지께 무서운 이야기를 해달라고 졸랐습니다.
"좋아! 할애비가 젊었을 적에 겪은 이야기를 해줄까? 저 산마루에 지금의 공동묘지가 생기기 전에도 누구나 그곳에 산소를 만들었단다. 그런데 산 너머 마을에서 집으로 돌아오려면 꼭 그곳을 지나와야 했단다."
손주들은 모두 침을 꿀꺽 삼켰습니다.
"그날, 산 너머 친구 집에 생일 초대를 받아 놀러 갔다가 늦게 돌아오게 된 거야."
눈이 휘둥그레져서 듣고 있던 큰 손주가 물었습니다.
"으, 벌써 무서워! 그 산소들 앞을 지나야 했어요?"
"그렇지. 마을의 불빛만 보고 계속 앞으로만 가는데 어둠 속에서 웬 청년이 다가오는 거야. 그리고는 씨름을 하자는 거야. 얼떨결에 씨름을 하는데, 도대체 승부가 나지를 않는 거야!"
"한밤중에 씨름을 하셨다고요?"
"그러게 말이다. 그런데 날이 훤히 밝아오기 시작하니까 씨름을 하던 청년이 갑자기 푹 주저앉는 거야. 자세히 보니 글쎄…."
"그게 뭐였어요? 귀, 귀신이에요?"
"허허. 그게 아니라 빗자루였어. 내가 바로 도깨비한테 홀렸던 거야! 그걸 본 순간 온몸이 수꿀해졌지. 도깨비들은 빗자루에 숨어들어서 사람처럼 모습을 바꾼 다음 사람과 씨름을 한다는구나."
■수꿀하다
‘무서워서 몸이 으쓱하다’라는 뜻을 가진 재미있는 우리말입니다.
생쥐들이 부엌을 드나들다가 선반 위의 꿀 항아리를 밀쳐 떨어뜨리고 말았습니다.
“와당탕탕!”
요란한 소리에 놀란 쥐들은 날쌔게 도망을 쳐버렸습니다.
“어, 이게 무슨 냄새지?”
사방으로 퍼지는 달콤한 꿀 냄새를 귀신같이 맡은 파리들이 몰려들기 시작했습니다.
“웬 꿀이야?”
“저런 어리숙한 생쥐 녀석들, 이 좋은 것을 놔두고 도망을 가다니!”
“상관없잖아? 우리가 다 먹어치우면 되지, 뭐!”
똥파리 쉬파리 할 것 없이 모여 한바탕 꿀 잔치가 벌어졌습니다.
“아, 배부르다. 이제 슬슬 다른 곳으로 날아가 볼까?”
“어? 이게 왜 이러지? 내 발이 어떻게 된 거야?”
파리들은 실컷 꿀을 먹고 나서 다른 곳으로 날아가려고 했지만 그 자리에서 꼼짝도 할 수 없었습니다.
“으~ 생쥐들아, 우리 좀 살려줘!”
달콤한 꿀이 파리들의 온몸과 발에 달라붙어버렸던 것입니다. 날아 보려 계속 움직여 보았지만 나중에는 날개까지 꿀범벅이 되어버렸습니다.
그 광경을 멀리서 지켜보던 생쥐 한 마리가 어슬렁거리며 다가와 이렇게 한마디했습니다.
“꿀맛이 어때? 죽는 줄도 모르고 단것만 좋아하더니. 정말로 숫된 녀석들은 우리가 아니라 바로 너희란다.”
■숫되다
‘순진하고 어수룩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우리말입니다.
박씨부인전 박씨전
박씨인 여자가 결혼하면 박부인이 된다. 그리고 남편의 성이 이씨이면 이씨부인이라 일컫는다. 일본이나 서양에서도 결혼한 후부터는 남편의 성을 붙여 쓴다. 병자호란의 치욕에 대한 보복으로 씌어진 박씨전 을 박씨부인전이라고도 일컬어지는 것은 이러한 호칭의 혼동에서 온 잘못이다.
박씨란 성을 가진 주인공은 이시백의 부인이 되었으므로 박부인 이나 이씨부인이라 부를지언정 박씨부인은 맞지 않다. 요즈음 같으면 박여사나 박씨 아주머니라고 부를 것이다. 그러므로 박씨부인전은 마땅히 박씨전 으로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진실되다 진실하다
너는 학생 때부터 진실되게 보였어 나도 진실된 사랑을 해 보고 싶어 따위에 쓰인 진실되다 란 말은 진실하다 로 고쳐 써야 한다. 참되다란 말은 있어도 진실되다란 말은 없다. 마찬가지로 용서되다 허황되다 란 말도 있을 수 없으니, 용서될 수 없는 일 공부는 않고 허황된 꿈만 꾸고 있다 는 용서할 허황한으로 써야 한다.
-되다 가 붙는 말로 '숫되다, 고되다, 욕되다, 망녕되다' 들이 있긴 하지만 서양말법에서 피동 구조가 우리말에 들어오자 분별없이 아무데나 '-되다'를 붙여 쓰고 있다.
불경기가 극복되어야 한다 악법은 개정되어야 옳다 학생시위 악용돼서야 들은 앞에 오는 체언에 -을(를) 를 붙이고 뒤의 서술어는 극복해야,개정해야,악용해서야 따위로 고쳐써야 한다. 국민 교육 헌장의 영광된 통일 조국의 앞날을 내다보며, 란 구절도 영광스러운> 로 해야 우리말다운 말이 된다.우리말에 영광스럽다 는 있어도 영광되다 란 말은 없다.
숫되다, 암되다
우리말에서 동사 ‘되다’가 접미사로 쓰이는 경우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그 첫 번째는 서술성을 가진 일부 명사 뒤에 붙어서 피동의 뜻을 더해 주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가결되다, 사용되다, 형성되다’ 같은 것입니다.
두 번째는 몇몇 명사나 어근 또는 부사 뒤에 붙어서 형용사를 만드는 것인데, ‘거짓되다, 참되다, 막되다, 못되다, 숫되다’와 같은 경우지요.
이 가운데 ‘숫되다’는 ‘수’ 밑에 ㅅ 받침을 쓰는 것으로 ‘수컷’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말입니다. 여기서 ‘숫-’은 ‘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결국 ‘숫되다’는 ‘순진하고 어수룩하다’는 뜻의 형용사지요.
이와 같은 구조의 형용사로 ‘암되다[암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암되다’는 ‘남자가 성격이 소극적이며 수줍음을 잘 타는 데가 있다’는 뜻인데, 이것은 ‘수컷’과 관계없는 표현인 ‘숫되다’와는 달리 ‘암컷’과 관련된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암되다’와 비슷한 표현으로 ‘암띠다’도 있습니다. ‘암띠다’는 ‘수줍은 성질이 있다’는 뜻으로, ‘그는 너무나 암뗘서 여자 앞에서는 말도 못한다.’와 같이 말할 수 있지요.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기 _ 어원 자료 (0) | 2025.01.30 |
---|---|
숨바꼭질 _ 어원 자료 (0) | 2025.01.30 |
잠 _ 다양한 표현 자료 (0) | 2025.01.30 |
애꿎다 _ 어원 자료 (0) | 2025.01.30 |
양말, 양철 _ 어원 자료 (2) | 2025.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