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草家三間)태운다
[속담] 손해를 크게 볼 것을 생각지 아니하고 자기에게 마땅치 아니한 것을 없애려고 그저 덤비기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빈대는 긴 주둥이로 사람의 피를 빨아 먹는다. 이로 인해 불쾌한 가려움증이 생기며 잘 낫지도 않는다. 이렇듯빈대는 사람에게 극히 해로운 곤충이다. 그런데 빈대는 잘 잡히지도 않고 또 쉽게 죽지도 않는다. 오죽하면 살고 있는 집을 태워 그 하찮은 빈대를 잡으려고 했을까. 이래서 생긴 속담이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다.” 다.
그러나 이무리 빈대가 성가시다고 하여 집에다 불을 놓아 태워 죽일 수는 없다. 이는 너무나 무모한 짓이다. 빈대를 잡으려고 무모한 짓을 하듯, 손해를 생각지 않고 마땅치 않은 것을 없애려고 마구 덤비기만 하는 경우를 빗대어 이로써 표현한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
빈대에게 지긋지긋하게 당해보신 분들은 잘 아실 겁니다. 모기 물린 가려움은 그 축에도 못 낄 만큼 극심하게 가려운 데다, 수백 마리 빈대를 일일이 잡자면 한도 끝도 없다는 걸. 밤새 피투성이가 되도록 온몸을 긁어대며 이를 부득부득 갈지만 작고 납작해서 벽지, 가구, 벽 틈까지 속속 숨어 이 잡듯 박멸하기란 불가능에 가깝지요.
그래서 ‘연막탄’이라고 불리는 훈증형 살충제를 밀폐시킨 방에 피워 그 연기로 박멸하는 방법을 많이 씁니다. 틈틈이 숨는 녀석들에게 구석구석 스며드는 연기만 한 것이 없으니까요. 하지만 그 후유증이 심합니다. 벽지며 가구, 가전에 배인 역한 냄새가 모두 빠질 때까지 여러 날을 구역질에 시달립니다. 그릇과 옷들도 전부 세척해야 하고요. 그런 고역을 겪어서라도 없애고 싶은 빈대였으니 오죽하면 화재로 ‘초가삼간 다 타도 빈대 죽는 것만 시원하다’고 했을까요. ‘빈대 없는 집은 흉가’라고 할 만큼 옛날에는 사람 사는 집이면 거의 빈대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득효방>에서는 개구리밥을 태워 그 연기로 없앤다 하고, <증보산림경제>나 <규합총서>에는 지네를, 또는 지네와 거미를 꿩 깃털과 함께 태워 없앤다고 적혀 있습니다.
그런데 방안에 불 피워둔 채 문 닫고 나와 있으면 행여 불똥이 튀어 불이 나더라도 자욱한 연기 탓에 알아채기 어렵습니다. 알아차렸을 때면 이미 걷잡을 수 없었을 거고요.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다 태운다’는 속담은, 당장의 마땅찮은 것을 없앨 마음만 앞서 그것이 초래할 위험은 미처 생각지 못한 데서 생긴 말입니다.
요즘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온 나라가 들썩입니다. 닭 진드기는 없애야겠고 수많은 닭과 알을 다른 데 옮겼다가 살충 후 다시 넣기는 힘이 들고. 그래서 몇몇 산란계 농장이 닭과 알을 그대로 둔 채 유독성 살충제를 뿌렸다지요. 그래서 당장의 진드기야 손쉽게 박멸했겠지만, 온 국민들까지도 계란 위로 손쉽게 가지 못하게 되지 않았나요?
의료계가 본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의 의미
오랫동안 학회활동을 하면서 알게 된 의료인 중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테렌스 리 박사(심장내과 전문의)가 있다. 그는 한의사가 주축인 '대한발효해독학회'라는 학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 명문의대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심장 분야를 전공했다. 미국 맨해튼에 대규모의 클리닉을 운영 중인 데다 의료보험회사의 CEO기도 하다. 테렌스 리 박사는 "미국의 의사들이 아무리 약을 쓰고 방법을 찾아봐도 갈수록 늘어나기만 하는 대사질환 환자들 때문에 점점 지쳐가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도 심장스텐트 수술의 권위자로 알려진 명의이지만 힘들게 스텐트 수술로 막힌 혈관을 뚫어놓고 심장병예방약을 복용시켜도 얼마 후 또 다른 혈관이 막혀 수술을 반복하는 사례로 이어지고, 급성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사망하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치료의 한계를 실감한 그는 'A Doctor in You'라는 책을 출간해 청혈해독 치료를 전파하고 있다.
사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동맥경화, 뇌졸중, 치매 등의 대사질환은 약을 쓰고 조절하면 건강이 유지되는 줄 아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수치 조절에 매달리는 것으로 건강이 회복되거나 유지될 수 없다. 결국 병을 유발할 수밖에 없는 몸의 상태를 바로 잡아야 한다. 청혈해독 치료는 생활습관 교정이나 전통 한의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약과 주사를 끊고 건강을 회복하는 사례가 의외로 많다. 여기서의 약은 양약(洋藥), 즉 화학약품을 말하는 것이다. 원래 약(藥)이라는 용어는 몸과 마음을 즐겁게(樂)하는 풀(草)이라는 뜻으로 우리가 지금 접하고 있는 화학약품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한약을 지칭하는 말이다. 영어이름도 다르다. 사실 한약은 'Herb'라 표기하고 양약은 'Drug'라고 표기한다. 화학약물인 양약을 편의상 그동안 우리가 써왔던 전통용어 '약(藥)'으로 사용하고 있을 따름이다.
한의학에서는 화학약품은 장기간 복용하면 인체에 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본다. 약국을 영어로 'Pharmacy'라 하는데 그 어원은 희랍-라틴어의 독(毒)에서 유래했다. 그만큼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농부가 살충제, 제초제, 화학비료를 많이 쓸 경우 우선 농사가 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오래 쓰다 보면 나중에는 땅이 산성화되고 황폐화 된다. 결국 농사가 잘 안되고 나중에는 퇴비를 만들어 뿌리거나 심한 경우 아예 흙을 바꾸는 객토작업을 해야 한다.
화학약품이 필요 없다는 말이 아니다. 꼭 써야 하지만 무분별하게 장기복용이나 남용을 하면 각종 부작용을 나타낸다는 말이다. 여기에 적절한 비유가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말이다. 화학약품을 장에 계속 뿌려대는데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은 당연하고 이를 분해하는 간이나 신장에도 큰 부담이 된다. 우리나라에서 투석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현실도 이와 관련이 있다. 잘못된 생활습관을 바꾸고 약에서 점차 벗어날 수 있도록 내 몸을 변화시키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다.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맑은 물에 고기 안 논다_너무 청렴, 깨끗하면 사람 재물이 따르지 않는다. (0) | 2025.02.24 |
---|---|
늙은 말이 콩 더 달란다_늙어 갈수록 사람의 욕심이 더 많아짐 (0) | 2025.02.24 |
열사 vs 의사 _ 무기 없이 의사, 무기 가지고 의사 (0) | 2025.02.23 |
질문 vs 자문_쓰임새 (0) | 2025.02.20 |
신체어_ 복사뼈, 횡경막, 갈매기살 (0)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