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 vs 의사 _ 무기 없이 의사, 무기 가지고 의사
열사[명] 나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
일제강점기에 활약한 항일 선열이라도 누구는 ‘열사(烈士)' 라 하고, 누구는 ‘의사(義士)'라 하여 구분한다. 예를 들어, “이준 열사”, “유관순 열사”라고 하고, “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 사”라고 한다.
사전에서는‘열사'를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사람'으로, ‘의사'를 ‘의로운 지 사'로 기술하고 있다. 사전적 의미만으로는‘열사'와 ‘의사'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국가보훈처에서는 '열사'는‘맨몸 으로써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는 사람'으로, ‘의사' 는‘무력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사람'으로 정의해 놓았다. 맨몸으로 싸웠느냐, 무력으로 싸웠느냐가 중요한 판별기 준이 되는것이다. 이에 따라 맨몸으로 항거한 이준, 유관순은 ‘열사'가되고, 무기를 들고 항거한 안중근, 윤봉길은 ‘의사'가 된다.
의사(義士), 열사(烈士), 지사(志士)
‘안중근 열사’ ‘유관순 의사’. 뭔가 어색함을 느낄 수 있다. 의사·열사·지사도 각각 어울리는 자리가 있기 때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의사’는 ‘의로운 지사’, ‘열사’는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이라고 풀이돼 있다. ‘지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가진 사람’이라 설명하고 있다.
‘의사’는 ‘의로운 지사’
‘열사’는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
‘지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가진 사람’
국가보훈처는
‘의사’를 ‘무력(武力)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
‘열사’를 ‘맨몸으로써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사람’
이라 정의했다.
이에 따르면 ‘의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항거하다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성패에 상관없이 무력을 통해 적에게 대항한 사람을 가리킨다.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 일왕에게 폭탄을 던진 윤봉길 의사, 이봉창 의사 등이 대표적 예다.
‘열사’는 나라를 위해 저항하다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주로 맨몸으로 싸우다 돌아가신 분들을 일컫는다. 또한 강력한 항의의 뜻으로 자결을 선택한 사람도 ‘열사’라 할 수 있다. 3·1운동의 상징으로 열여덟 꽃다운 나이에 옥사한 유관순 열사가 대표적이다. 헤이그 특사로 파견됐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자결한 이준 열사, 을사늑약에 반대해 자결한 민영환 열사 등도 여기에 속한다. ‘의사’와 ‘열사’가 순국한 뒤 붙일 수 있는 이름이라면 ‘지사’는 살아 있을 때도 쓸 수 있다.
의열사 열전을 쓰는 이유
독립운동가의 호칭에는 몇 가지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선생, 의사, 열사, 지사, 선열 등이다. 예컨대 선생은, 김구 선생, 안창호 선생 등이고, 의사는, 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사 등, 열사는 유관순 열사·이준 열사 등이다. 지사는, 독립운동가 모두를 호칭하며 선열도 비슷하다. 그렇다고 호칭이 법률적인 급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역사학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의사와 열사에 대한 용어에 관심을 보여왔다. 1958년 출간된 오재식의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은 의사와 열사는 분명하게 구별하여 기술하고 있다. 몇몇 독립운동가의 약력을 소개하면서 열사로는 헤이그 밀사였던 이준, 종로서 습격 후 자결한 임상독, 일본 군사시설과 경찰서를 습격하다가 체포돼서 무기형을 선고받은 후 옥사한 오동진, 동양척식회사와 식산은행에 폭탄 투척 후 포위망 속에서 자결한 나석주 등을 거명했다.
의사로는 안중근·이봉창·윤봉길·백정기·편강렬·강우규·송학선·전명운·장인환 등을 언급했다. 여기에 열사로 분류된 사람들은 대체로 의열단 관계자로 거사 현장에서 자결로 죽음을 맞는 경우였다. 참고로 유관순은 '순국처녀'였다.
세계 식민지배 역사상 가장 잔학했다는 평이 따른 일제에 맨 몸으로 혹은 소수인의 조직으로 저항하기는 쉽지 않았다. 목숨을 내걸지 않고서는 가능한 일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우리의 선열들은 줄기차게 왜적을 향해 몸을 던졌다. 의열사가 그치지 않았고 일제는 마침내 두 손을 들어 항복했다.
흔히 미국의 원자폭탁 세례로 일제가 항복한 것으로 인식하지만, 우리 독립지사들이 국내외에서 줄기차게 의열투쟁을 전개함으로써 '한국의 독립'이 국제회의에서 인정된 것이다.
필자가 여기서 다루고자 한 독립운동가는 의열사(義烈士)의 편이다. 국가위난기에 의거를 통해 위기를 막고자 몸을 던져 순국한 분들을 의열사라 한다. 성리학적 의리관의 산물이기도 하지만, 사람이 사는 세상 어디에서든 있는, 그러나 흔하진 않는 일이다. 어느 때나, 누구에게나 자신의 생명은 소중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항일 순국지사 가운데 누구를 의사로, 누구는 열사로 호명하게 된 것일까?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의사'가 주로 무력이나 행동을 통해 큰 공적을 세운 사람을 가리킨다면 '열사'는 직접적인 행동은 하지 않았으나 죽음으로 정신적 저항의 위대성을 보인 사람을 가리킨다."
최근 뉴라이트들이 득세하면서 독립운동이 폄훼되고 심지어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의 국적이 일본이라는 망언이 서슴치 않게 회자되었다. 강도한테 집을 빼앗겼다고 해서 그 집이 강도의 것이 아님에도 정부의 장관이란 사람이 떠드는 망발이다.
심지어 어떤 전직 교수는 일제강점기 "친일파 아닌 사람은 화전민·노예뿐"이라는 망언을,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마련한 국제 포럼에서 발제하고, 포럼을 주도하는 진행자가 "정말 훌륭한 발제였다"고 동조했다.
한민족 모두가 친일파였으니 굳이 '친일파'를 비판하지 말라는 물타기 수법이다. 어쩌다 광복 80돌을 앞두고 우리 사회가 이토록 타락했는가 묻게 된다.
헤이그 특사의 일원이었던 일성 이준 열사의 <사생관(死生觀)>에 의열사들의 정신이 오롯이 담겨진다.
사 생 관
사람이 죽는 다는 것은 무엇을 죽는다 이르며
사람이 산다 하는 것은 무엇을 산다 이르는가
죽어도 죽지 아니함이 있고
살아도 살지 않는 것이 있다
그릇 살면 죽음만 같지 못하고
잘 죽으면 도리어 영생한다
살고 죽는 것이 다 나에게 있음이여
모름지기 죽고 삶을 힘써 알리라.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 vs 자문_쓰임새 (0) | 2025.02.20 |
---|---|
신체어_ 복사뼈, 횡경막, 갈매기살 (0) | 2025.02.19 |
약주_윗사람이 마시는 술 (0) | 2025.02.14 |
도장을 찍다_다양한 의미 (0) | 2025.02.13 |
너무_쓰임새 (0) | 2025.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