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왕 : 효 서 남 발 건
효 : 효소왕(692~702)
서 : 서시
남 : 남시 설치
발 : 발해
건 : 건국
1. 효소왕(692~702)
효소왕은 신라 제32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692∼702이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이홍(理洪) 또는 이공(理恭). 신문왕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김흠운(金欽運)의 딸 신목왕후(神穆王后)김씨(金氏)이다. 691년(신문왕 11)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692년 즉위 후, 좌우이방부(左右理方府)의 ‘이(理)’자가 왕의 이름과 같으므로 피휘(避諱)하여 좌우의방부(左右議方府)로 관부의 명칭을 고치기도 하였다. 또한 대아찬(大阿飡) 원선(元宣)을 집사부(執事部) 중시(中侍)에 임명하여 국정을 위임하였다. 같은 해에는 고승 도증(道證)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천문도(天文圖)를 왕에게 바쳤다. 천문도는 고구려에 전래된 진탁(陳卓)의 성도(星圖)와 같은 것으로서 왕실권위의 상징으로 이용되었다. 또한 이 무렵에 의학교육기관인 의학(醫學)을 설립하여 의학박사를 두고 ≪본초경 本草經≫·≪침경 針經≫·≪맥경 脈經≫ 등의 중국 의학서를 교수하게 하였다.
현재의 효소왕릉에 대해서는 이견이 제기되어 있다. 무덤 앞에 있는 혼유석(魂遊石)이 빈약하고 무덤의 규모도 작아 통일신라기의 왕릉으로는 생각할 수 없어 효소왕릉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그리고 지금의 효소왕릉은 현재의 망덕사터의 남남동 방향 약 8㎞ 거리에 해당하므로 망덕사 바로 동쪽에 장사지냈다는 기록과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의 망덕사터에서 동으로 200m 미만의 가까운 거리에 인접해 있는 사적으로 지정된 신문왕릉이 효소왕릉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신문왕릉은 경주 남산에 있는 황복사지 3층석탑(皇福寺址三層石塔)에서 동편으로 약 250m 거리에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 이는 능의 위치로나 둘레돌의 축조상태로 보아서 부합된다는 것이다. 특히 둘레돌은 자연석을 다듬은 소형 석재로 바뀌고 갑석(甲石)과 지대석이 처음으로 갖추어지고 기단식으로의 이행단계에 있으며 삼각형에 가까운 구형(矩形)의 버팀석이 처음으로 출현한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2. 서시전 남시전 설치
695년에 서시전(西市典)과 남시전(南市典)을 두었다. 이것은 지증왕대에 설치된 동시전(東市典)과 더불어 왕경(王京)의 3대 시전으로서 물화의 유통을 쉽게 하였다. 이 해에 자월(子月 : 음력 11월)을 정월로 정했다가 700년에 다시 인월(寅月 : 음력 1월)을 정월로 바꾸었다. 698년에 일본국(日本國)의 사신을 접견했으며, 699년에는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해 조공(朝貢)함으로써 양국과의 우호적인 외교관계도 유지하였다. 700년에 이찬(伊飡) 경영(慶永 또는 慶玄)의 반란에 연좌되어 698년에 중시로 임명되었던 순원(順元)이 파면되었다. 반란의 구체적인 원인은 알 수 없다. 다만, 어려서 즉위한 효소왕의 유약함과 왕자가 없음을 이유로 다음의 왕위계승을 위해 일어난 것으로 짐작되며 쉽게 평정되었다. 702년 7월에 죽으매 망덕사(望德寺) 동쪽에 장사지냈다. 능은 경주 낭산(狼山) 동남쪽에 있다.
3. 발해 건국
발해는 698~926년, 한반도 북부에서 중국 동북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과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 걸쳐 존속하며 통일신라와 함께 남북국을 이루었던 고대국가이다. 대조영이 698년에 건국하였고, 초기 국명은 진국이다. 건국 초에는 신라와 교류하며 대아찬 직을 받았고, 이후 신라도를 설치하였다. 713년에 당나라에서 발해군왕을 받은 뒤 국명을 발해로 변경하였다. 제3대 문왕 대에 황제국 체제를 갖추었고, 9세기에는 해동성국으로 불렸다. 925년 12월에 거란의 대대적인 침공을 받고 926년 초에 멸망하였다.
대조영은 나라를 세우고 곧바로 돌궐과 신라에 사신을 보내 교류하였다. 신라는 나당전쟁 이후 당나라와 사이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였다. 최치원의 글에 따르면 이때 신라는 대조영에게 대아찬 관등을 주었다고 한다.
'한국사 두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덕왕 두문자 : 경 국 태 석 불 녹 부 민 한 (0) | 2023.08.12 |
---|---|
성덕왕 두문자 : 덕 정 발 전 문 상 공 (0) | 2023.08.12 |
신문왕 두문자 : 신 달 정 교 토 (0) | 2023.08.12 |
문무왕 : 문 통 임 안 부 화 의 효 (0) | 2023.08.12 |
무열왕 두문자 : 진 갈 사 중 백 (0) | 2023.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