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풀이 죽다_활기나 기세가 꺾여 활발하지 못하게 되다

by noksan2023 2025. 3. 29.
반응형

풀이 죽다_활기나 기세가 꺾여 활발하지 못하게 되다

 

 

풀이 죽다

 

 

 

‘풀'은 ‘쌀이나 밀가루 따위의 전분질에서 빼낸 끈끈한 물질'이다. 이 풀이 지니는 끈끈하고 차진 성질을 ‘풀기(-氣)'라고 하는데, 풀기가 있어야 풀이 제 역할을 할수 있다. 풀기가 빠져서 흐물흐물 해지는 것을

 

“풀이 죽다.”

 

라고 한다. 또한 풀기가 빠져 흐느적거리는 것처럼 활기나 기세가 꺾여 활발하지 못한 것을 비유하여 그렇게 표현한다. 이는

 

“기가 죽다.”

 

와 비슷한 의미다. 관용구의 의미로부터 거기에 쓰인 ‘풀'은‘ 세찬 기세나 활발한 기운'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얻는다.

 

“이 참판은 정숙을 생각하고 풀이 없이 우두커니 앉았디가....”(김교제, 모란화)에 쓰인 ‘풀'이 그러한 것이다.

 

 

 

풀이 죽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