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35 신석기 시대 특징 두문자 : 모 공 폐 외 평 신석기 특징 : 모 공 폐 외 평 모 : 모계사회 공 : 공유생활 폐 : 폐쇄사회 외 : 족외혼 평 : 평등사회 1. 모계사회 : 씨족사회 + 고구려의 데릴사위제(서옥제) + 화랑도의 원화 (1) 씨족 씨족(氏族, clan)은 조상이 같거나 같다고 여겨지는 혈연 공동체를 말한다. 그 구성원은 특별하고 밀접한 권리의무 관계에 있으며, 근친상간을 방지하기 위해 씨족 내에서는 결혼하는 일이 극히 드물다. 씨족 내 결혼을 하는 경우는 집안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인 경우가 많다. 지역적 단위에서는 흔히 마을을 이루기도 한다. 수렵·채집·어로의 채집 경제에서 농경 목축의 생산 경제로 이행하여 촌락이 형성되자 공동체는 군(群)에서 단계(單系) 혈연 집단(씨족)으로 변천했다고 한다. 토지(土地)는 씨족의 공동체에 의해.. 2023. 8. 8. 신석기 유적지 두문자2 : 신 봉 남 신석기 유적지2 : 신 봉 남 신 : 신석기 유적지 봉 : 봉산 지탑리 남 : 평양 남경 1. 신석기 유적지 : 농경시작 + 토기 사용 2. 봉산 지탑리 : 조 피 수수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팽이형토기·도끼·그물추 등이 출토된 집터. 지탑리의 신석기문화는 신석기시대 전기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북으로는 궁산 조개더미, 남으로는 한강변의 암사동·미사리문화와 한 문화영역을 이루고 있다. 특히, 한강변의 신석기문화는 이 문화의 전파·이주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제2호 움집터에서 출토된 돌보습·돌낫과 탄화곡물은 그 당시 주민의 경제생활이 수렵·어로 외에 이미 원시적인 농경에도 바탕을 두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 되고 있다. 팽이형토기문화는 출토된 유물상에서 볼 때 팽이형토기로.. 2023. 8. 8. 신석기 유적지두문자 : 고수(는) 암오동(가서) 미궁(에 빠졌다) 신석기 유적지 : 고수 암오동 미궁 고 : 제주 한경면 고산리 수 : 김해 수가리 암 : 서울 암사동 오 : 강원도 양양 오산리 동 :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 미 : 경기 하남 미사리 궁 : 평남 온천 궁산리 1. 제주 한경 고산리 수월봉 앞 해안단구 대지에 넓게 형성되어 있는 신석기시대 전기의 선사유적이다. 신석기시대는 원시농경과 목축을 기반으로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인류문화 발달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 시기이다. 발굴 결과 나온 유물로는 석기 99,000여 점, 토기조각 1,000여 점이 있는데, 특히 원시형 적갈색 섬유질 토기조각은 독특한 토기형태로 고산리식 토기라고 불린다. 당시 사람들이 사용했던 유물 조합을 통해 후기 구석기 말엽의 수렵채집 집단이 석기 전통을 계승하며, 초보적인 형태의 토기를 .. 2023. 8. 8. 사람 화석(인골) 두문자 암기법 : 승 상 만 두 인골 : 승 상 만 두 승 : 덕천 승리산 동굴 상 : 단양 상시리 바위 그늘 동굴 만 : 평양 만달리 동굴 두 : 청원 두루봉 동굴 1. 덕천 승리산 동굴 승리산 유적 동굴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구석기시대의 인류 화석이 출토되어 한민족 기원에 대한 여러 사실을 알려주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했다. 사람 뼈는 동물 화석이 집중적으로 출토된 기본 화석층의 바로 아래층인 적갈색 자갈층에서 큰 어금니 2점과 어깨뼈 1점이 동굴 하이에나와 함께 묻혀 있었다. 이곳은 동굴 입구에서 18m 떨어진 지점이다. 2점의 어금니는 크기와 형태, 마모 정도로 보아 같은 사람으로 보이며, 어깨뼈는 오른쪽 것으로 밝혀졌다.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고인(古人, 슬기 사람) 단계의 사람뼈로 유적이 위치한 지명에 따라 ‘덕천 사.. 2023. 8. 8. 이전 1 ···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