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5

구석기 후기 유적지 두문자 : 동 빌 수 만 두 창 구석기 후기 : 동 빌 수 만 두 창 동 : 종성 동관진 빌 : 제주 빌레못 동굴 수 : 단양 수양개 만 : 평양 만달리 동굴 두 : 청원 두루봉 동굴 창 : 제천 창내 1. 종성 동관진 북한 함경북도 종성군 종성면에 있는 석기시대 구석기의 동물화석·석기·골각기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이다. 1933년에 실시된 철도공사로 대지가 절단된 곳에서 쥐의 이[齒]가 발견되어 비로소 알려지게 되었다. 1934년 일본인 모리[森爲三]에 의해 발굴되어 여러 종의 포유류 화석과 고인류(古人類)의 유물 2점이 출토되었다. 이듬 해에 다시 모리와 도쿠나가[德永重康]에 의해 발굴되어 다량의 포유류 화석과 고인류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소개된 구석기시대 유적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종성 동관진 : .. 2023. 8. 8.
구석기 중기 유적지 두문자 : 굴 양 승 상 구석기 중기 : 굴 양 승 상 굴 : 웅기 굴포리 양 : 강원도 양구 상무룡리 승 : 덕천 승리산 동굴 상 : 단양 상시 동굴 1. 웅기 굴포리 북한 함경북도 웅기 군에 있는 석기시대 이후 움집터와 움무덤·민무늬토기 등이 발굴된 복합유적. 유적은 두만강 하구에서 서편으로 약 30㎞ 떨어진 해안가의 구릉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1947년 북한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어 1960년부터 1964년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정식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북한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의 구석기 1기를 구석기 중기(10여 만 년 전), 2기를 후기(3만∼4만 년 전)로, 신석기 1 기층은 서기전 5000년기 말∼4000년기 초, 2기층은 서기전 4000년기 후반기, 3기층은 서기전 3000년기 전반기, 4·5기층은 서기전 2.. 2023. 8. 8.
구석기 전기 유적지 두문자 : 금 검 연 석 점 구석기 전기 : 금 검 연 석 점 금 : 단양 금굴 검 : 상원 검은모루동굴(평남) 연 : 연천 전곡리 석 : 공주 석장리 점 : 제천 점말 동굴 1. 단양 금굴 : 구석기 상한선 결정(70만 년 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구석기 문화 유적으로 전기 구석기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거의 모든 시기의 유물층이 발견되어 각 문화층의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1980년 충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지역에 실시된 문화유적 지표조사에서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임이 확인되었다. 이후 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여러 시기에 걸쳐 문화가 형성되었음이 밝혀졌으며, 출토된 유물을 통해 구석기시대 문화가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굴의 규모는 입구 높이 8m, 넓이 7∼10m이며 확인된 동.. 2023. 8. 8.
조선 궁궐 두문자 : 복덕(방에서) 경희(가) 운(다) 조선 궁궐 : 복덕(방에서) 경희(가) 운(다) 복 : 경복궁(태조) 덕 : 창덕궁(태종, 성종) 경 : 창경궁(태종, 성종) 희 : 경희궁(광해군) 운 : 경운궁(선조, 광해군) = 덕수궁(순종) 1. 경복궁 조선의 법궁 경복궁 정문 광화문 경복궁(景福宮)은 태조 4년(1395년)에 창건된 조선의 법궁(法宮)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입니다.경복궁(景福宮)의 ‘景福’이란 말은 조선의 학자 정도전이 『시경(詩經)』, 「주아(周兒)」편에 나오는 ‘기취이주(旣醉以酒) 기포이덕(旣飽以德) 군자만년(君子萬年) 개이경복(介爾景福)’에서 발췌하여 이름 지었습니다. ‘이미 술에 취하고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우리.’라는 구절에서 따온 ‘경복(景福)’의 의미는 길이길이 크게 복을 누린다는 말로 .. 2023. 8.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