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1

혜공왕 두문자 : 혜 대 지 성 혜공왕 : 혜 대 지 성 혜 : 혜공왕 대 : 대공 대렴의 난(96 각간 768) 지 : 김지정의 난(780) 성 : 성덕대왕 신종 1. 혜공왕(765~780) 혜공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6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765~780년이며, 8세에 즉위하여 왕태후가 섭정했다. 태종 무열왕의 직계손으로 계승된 신라 중대왕실의 마지막 왕이다. 전제왕권에 대한 귀족들의 반란이 잇달아 일어나 귀족중심사회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였다. 재위 16년 동안 11회의 사절단을 당에 보내 왕권회복을 위해 힘썼으나 오히려 777년 상대등 김양상의 신랄한 비판을 받기에 이르렀다. 친혜공왕파가 김양상 일파를 제거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으나 난을 진압하는 와중에 왕비와 함께 살해되고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했다. 2. 대공 대렴.. 2023. 8. 12.
경덕왕 두문자 : 경 국 태 석 불 녹 부 민 한 경덕왕 : 경 국 태 석 불 녹 부 민 한 경 : 경덕왕(742~765) 국 : 국학을 태 : 태학으로 석 : 석굴암 불 : 불국사 완성 녹 : 녹읍 부 : 부활 민 : 민정문서(755) 한 : 중국식 지명 관직명 변경(제2의 한화정책) 1. 경덕왕(742~765) 경덕왕은 742~765년에 재위한 신라의 제35대 왕으로서, 이름은 김헌영이다. 재위 기간에 여러 관부와 관직을 신설했고, 패강(浿江) 지역에 군현을 설치하여 다스렸다. 관료 급여제도로서 월봉을 폐지하고 녹읍을 부활했고, 관호와 지명을 중국식으로 바꾸는 개혁을 실시했다. 경덕왕(景德王)의 성은 김, 이름은 헌영(憲英), 시호는 경덕(景德)이다. 성덕왕의 아들이고 효성왕의 동생인데, 효성왕이 아들이 없어 739년(효성왕 3)에 태자가 되었다가 .. 2023. 8. 12.
성덕왕 두문자 : 덕 정 발 전 문 상 공 성덕왕 : 덕 정 발 전 문 상 공 덕 : 성덕왕 정 : 정전지급(722) 발 : 발해와 전 : 전쟁 문 : 김대문(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악본) 상 : 상원사 동종(최고) 공 : 공자화상 도입(국학에 안치) 1. 성덕왕(702~737) 성덕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3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702~737년이며, 신문왕의 둘째 아들로서 형 효소왕이 후사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왕으로 추대했다. 즉위 후 축성과 민생안정 사업에 주력했다. 잦은 수해와 전염병 만연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고 정전제를 실시하여 민생 안정과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꾀했다. 발해와 당의 대립을 기회로 당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패강 이남 지역에 대한 영유권도 인정받았다. 유교적 예제를 정비하고 국가불교도 고취하여 신라 천년의.. 2023. 8. 12.
효소왕 두문자 : 효 서 남 발 건 효소왕 : 효 서 남 발 건 효 : 효소왕(692~702) 서 : 서시 남 : 남시 설치 발 : 발해 건 : 건국 1. 효소왕(692~702) 효소왕은 신라 제32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692∼702이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이홍(理洪) 또는 이공(理恭). 신문왕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김흠운(金欽運)의 딸 신목왕후(神穆王后)김씨(金氏)이다. 691년(신문왕 11)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692년 즉위 후, 좌우이방부(左右理方府)의 ‘이(理)’자가 왕의 이름과 같으므로 피휘(避諱)하여 좌우의방부(左右議方府)로 관부의 명칭을 고치기도 하였다. 또한 대아찬(大阿飡) 원선(元宣)을 집사부(執事部) 중시(中侍)에 임명하여 국정을 위임하였다. 같은 해에는 고승 도증(道證)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천문도(天文圖)를.. 2023.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