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35

성덕왕 두문자 : 덕 정 발 전 문 상 공 성덕왕 : 덕 정 발 전 문 상 공 덕 : 성덕왕 정 : 정전지급(722) 발 : 발해와 전 : 전쟁 문 : 김대문(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악본) 상 : 상원사 동종(최고) 공 : 공자화상 도입(국학에 안치) 1. 성덕왕(702~737) 성덕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3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702~737년이며, 신문왕의 둘째 아들로서 형 효소왕이 후사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왕으로 추대했다. 즉위 후 축성과 민생안정 사업에 주력했다. 잦은 수해와 전염병 만연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고 정전제를 실시하여 민생 안정과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꾀했다. 발해와 당의 대립을 기회로 당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패강 이남 지역에 대한 영유권도 인정받았다. 유교적 예제를 정비하고 국가불교도 고취하여 신라 천년의.. 2023. 8. 12.
효소왕 두문자 : 효 서 남 발 건 효소왕 : 효 서 남 발 건 효 : 효소왕(692~702) 서 : 서시 남 : 남시 설치 발 : 발해 건 : 건국 1. 효소왕(692~702) 효소왕은 신라 제32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692∼702이다.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이홍(理洪) 또는 이공(理恭). 신문왕의 태자이며, 어머니는 김흠운(金欽運)의 딸 신목왕후(神穆王后)김씨(金氏)이다. 691년(신문왕 11)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692년 즉위 후, 좌우이방부(左右理方府)의 ‘이(理)’자가 왕의 이름과 같으므로 피휘(避諱)하여 좌우의방부(左右議方府)로 관부의 명칭을 고치기도 하였다. 또한 대아찬(大阿飡) 원선(元宣)을 집사부(執事部) 중시(中侍)에 임명하여 국정을 위임하였다. 같은 해에는 고승 도증(道證)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천문도(天文圖)를.. 2023. 8. 12.
신문왕 두문자 : 신 달 정 교 토 신문왕 : 신 달 정 교 토 신 : 신문왕 달 : 달구벌 천도 계획 정 : 정치제도 완성(9주 5소경) 교 : 교육제도 완성(682 국학 설치) 토 : 토지제도 완성 관 : 관료전 지급(687) 녹 : 녹읍 폐 : 폐지(689) 강 : 강수(불교는 세외교) 설 : 설총(화왕계 이두 정리) 만 : 만파식적(피리) 보 : 보덕국 폐지(안승 : 익산) 1. 신문왕(681~692) 신문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81~692년이며 문무왕의 장자이다. 즉위하던 해에 일어난 귀족세력의 반란을 진압하고 철저히 숙청함으로써 왕권을 공고히 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앙관제의 정비, 5소경제와 9주 및 군현제의 완성 등 지방통치체제 정비를 통해 전제왕권 중심의 통치질서를 완비했다. 9서당제 군사.. 2023. 8. 12.
문무왕 : 문 통 임 안 부 화 의 효 문무왕 : 문 통 임 안 부 화 의 효 문 : 문무왕 김범민 통 : 통일 완성 임 : 임해전(통일 궁궐) 안 : 안압지 부 : 부석사(676 의상) 화 : 화장(대왕암) 의 : 의상 효 : 원효 웅 : 웅진도독부 계 : 계림도독부 안 : 안동도호부 소 : 소부리주 설치 천 : 천성 전투 매 : 매소성 전투 기 : 기벌포 전투 통 : 삼국통일 1. 문무왕(661~681) 문무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0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61~681년이며 태종무열왕의 원자이자 김유신의 누이인 문명왕후의 아들이다. 즉위 전부터 외교활동과 백제와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 즉위 초에는 백제 부흥세력 소탕에 주력했고 666년에는 당과 연합해 고구려를 멸망(668)시켰다. 이후 삼국 전체를 자국 영토로 삼으려는 당의.. 2023.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