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종 : 현 예 해 기 서 인 기 남
현 : 현종(1659~1674)
예 : 예송논쟁(서인 VS 남인)
해 : 기해예송(1659)
기 : 기년복
서 : 서인승리
인: 갑인예송(1674)
기 : 기년설
남 : 남인승리
1. 현종(1659~1674)
현종은 조선후기 제18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659~1674년이며, 효종의 맏아들이다. 즉위하자마자 효종의 상에 인조 계비인 조대비가 어떤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를 둘러싸고 서인과 남인 사이에 치열한 대립이 있었고, 어머니 인선왕후가 죽자 다시 대립했다. 예론을 둘러싼 정쟁은 정권 쟁탈 수단이 되어 재위 기간 내내 붕당대립이 극심했다. 호남지방에 대동법을 실시했고 동활자 주조, 혼천의 제작, 지방관 상피법 제정 등의 업적이 있다. 효종 대에 계획한 북벌을 중단했지만 숭명 경향은 더 강해졌다. 능호는 숭릉으로 구리시 동구릉에 있다.
2. 예송논쟁(서인 VS 남인)
1659년(현종 즉위)에 일어난 1차 예송 논쟁인 기해예송(己亥禮訟)은 효종의 죽음으로 인해 효종의 계모인 장렬왕후가 기년복(朞年服)을 입을 것인가, 3년복(쇠년복)을 입을 것인가를 두고 벌인 논쟁이었다.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르면 장자(長子)가 죽으면, 그 어머니는 3년복(만2년)을 입고, 차자(次子) 이하 아들이 죽으면 기년복(1년)을 입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서인은 효종이 소현세자의 동생이므로 기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남인은 국왕의 지위를 갖고 있는 효종은 일반 백성의 예(禮)와는 다르게 3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효종을 장자로 볼 것이냐, 차자로 볼 것이냐는 국왕의 지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국왕과 함께 사대부를 통치의 주체자로 인정하는 서인 측은 천하동례(天下同禮)를 주장하여 국왕의 특별한 지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반면 성리학 이 외의 육경(六經) 고학(古學)을 두루 섭렵했던 남인 측은 ‘왕자례부동사서(王者禮不同士庶)’, 곧 왕의 지위에 있는 사람의 예는 사대부와 일반 백성과는 다르다고 주장하여 왕권에 대한 우월적 지위를 인정하였다.
기해예송 때는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장자와 차자 모두 기년복을 입는다는 규정에 따라 장렬왕후는 1년 동안 상복(喪服)을 입었다. 표면적으로는 서인이 승리하였으나 효종의 지위 문제가 완전히 마무리되지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언제든지 문제가 다시 불거질 수 있었다. 결국 1674년(현종 15) 효종 비 인선왕후의 죽음으로 또다시 장렬왕후가 상복을 입어야 하는 상황에서 복상 기간을 둘러싼 2차 논쟁, 갑인예송이 벌어졌다.
장자의 며느리가 죽었을 경우에는 기년복을, 차자의 며느리가 죽었을 때는 9개월만 상복을 입는 대공복(大功服)을 입어야 하는 상황에서 또다시 복상 기간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현종은 효종을 차자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공표하면서 남인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는 숙종 즉위 초 남인 정권이 들어서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
3. 기해예송(1659) 기년복 서인승리
1659년(현종 즉위) 5월 효종이 서거하자, 자의대비가 입을 상복을 두고 서인과 남인이 예설 논쟁을 벌이게 되었다. 서인들은 효종이 인조의 차자임을 들어 기년복을 주장하였고, 남인들은 효종이 왕위를 계승하여 인조의 장자에 해당한다고 하여 삼년복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영의정 정태화는 <경국대전> 을 근거로 장자와 차자를 구분하지 않는 기년복의 시행을 주장하였다. 현종은 몇 번의 수의(收議)를 거쳐 기년복으로 확정하였다. 그러자 남인 윤선도가 서인들의 기년설을 ‘효종을 낮추고 종통과 적통을 이분화’한 것이라고 공격하였다. 이에 서인들이 격분하여 윤선도를 유배시키고 예송에 가담한 남인들을 조정에서 축출하였다.
4. 갑인예송(1674) 기년복 남인승리
갑인예송은 1674년(현종 15) 효종 왕비 인선왕후의 국상에 자의대비가 입을 상복을 두고 일어난 예송 사건이다. 인선왕후가 장자의 부인인가 차자의 부인인가에 따라 자의대비는 기년복 혹은 대공복을 입어야 했는데, 이는 효종이 장자인가 차자인가 하는 효종의 정통과도 연관된 문제였다. 현종은 효종의 종통을 문란하게 만든 서인의 대공복 논리에 분노하여 복제를 기년복으로 개정하고 서인을 처벌하였다. 복제 개정 후 한 달여 만에 현종이 승하하자 14세의 나이에 즉위한 숙종은 장례 후 과감히 서인들을 조정에서 축출하고 남인을 등용하여 정국을 개편했다.
5. 동활자 주조 혼천의 제작 상피제
'한국사 두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종 두문자 : 경 신 소 축 인 (0) | 2023.08.14 |
---|---|
숙종 두문자 : 숙상대환 금장안 백만대 (0) | 2023.08.14 |
효종 두문자 : 효 북 송 양 집 시 나 하 총 북 수 남 기 설 (0) | 2023.08.14 |
인조 두문자 : 인 반 산 대 영 상 어 벨 괄 정 병 (0) | 2023.08.14 |
광해군 두문자 : 광북 폐실 이한유허 창오동대파기 (0) | 2023.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