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5

삼국통일 과정 두문자 : 웅 계 안 소 천 매 기 통 삼국통일 : 웅 계 안 소 천 매 기 통 웅 : 웅진도독부 계 : 계림도독부 안 : 안동도호부 소 : 소부리주 설치 천 : 천성 전투 매 : 매소성 전투 기 : 기벌포 전투 통 : 삼국통일 1. 웅진도독부 백제를 멸망시킨 당은 백제 고토를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사비도성에는 백제도호부를 설치하여 낭장 유인원을 주둔시켰고, 지방에는 백제 지방통치의 거점에 5도독부를 설치하고 그 밑에 주현을 두어 통치하려고 하였다. 웅진도독부는 백제 북방의 요충지인 공주에 설치하였고 왕문도를 도독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도독부의 도독과 주현의 관리들은 백제인들을 발탁하여 지배하려고 했다. 그러나 백제 전역에서 일어난 유민들의 거센 저항과 부흥운동의 전개로 당의 백제 고토 통치계획은 도상 계획에 그치게 되었다. 실제.. 2023. 8. 12.
의자왕 두문자 : 의 해 당 대 멸 부 주 임 의자왕 : 의 해 당 대 멸 부 주 임 의 : 의자왕(641~660) 해 : 해동증자 칭송(소문난 효자) 당 : 고구려와 협력 당항성 탈취(642) 대 : 대아성 전투(진흥왕 딸과 사위 살해 643) 멸 : 백제 멸망(660) 부 : 부흥운동 주 : 주류성 복신 도침 임 : 임존성 흑치상지 1. 의자왕(641~660) 의자왕은 삼국시대 백제의 제3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41~660년이며 무왕의 맏아들이다.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들과도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라 불렸다. 대내적으로는 유교를 통해 집권력을 강화하고 대외적으로는 고구려와 연합해 신라를 고립시키고자 했다. 신라의 40여 성을 빼앗고 대야성을 함락시켜 신라를 위기에 빠뜨렸다. 그런데 고구려 공략에 실패한 당이 신라와 나당연합군을 형성하여 백제를 .. 2023. 8. 12.
백제 무왕 두문자 : 무 미 왕 익 서 사 무왕 : 무 미 왕 익 서 사 무 : 무왕(600~641) 미 : 미륵사 창건 왕 : 왕흥사 창건 익 : 익산 천도 실패 서 : 서동요 주인공 사 : 사택지적비 1. 백제 무왕(600~641) 무왕은 삼국시대 백제의 제30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00~641년이며, 제29대 법왕의 아들이자 제31대 의자왕의 아버지이다. 『삼국유사』에 인용된 서동설화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다. 재위 초부터 서진정책에 주력하여 신라의 여러 지역을 함락시켰다. 수·당·왜와 외교관계를 유지했으나 수나라의 고구려 침입 때는 신라의 역습을 우려하여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 사비궁 중수나 왕흥사·미륵사 창건 같은 대규모 역사가 시행될 정도로 왕권이 안정·강화된 시기였다. 신라에 대한 압박은 신라와 당이 결합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요인.. 2023. 8. 11.
고구려 보장왕 두문자 : 보 안 연 멸 부 고 검 안 보장왕 : 보 안 연 멸 부 고 검 안 보 : 보장왕(642~668) 안 : 당의 침입 안시성 전투(645 양만춘) 연 : 연개소문 도교 수입 불교 탄압 보덕 열반종 도현 일본세기 멸 : 고구려 멸망(668) 부 : 부흥운동 고 : 고연무 검 : 검모잠 안 : 안승 1. 보장왕(642~668) 보장왕은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28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642~668년이고 고구려의 마지막 왕이다. 영류왕을 죽이고 권력을 장악한 연개소문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나 그의 그늘에 가려 왕으로서 실권을 갖지 못했다. 도교 진흥책도 연개소문의 의지에 따른 것이었다. 초기에는 당의 침략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지만 연개소문이 죽고 그 아들 형제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면서 결국 나당연합군에 의해 평양성이 함락당했다. 당나라로 잡.. 2023.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