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3

중종 두문자 : 중반 조개 유경여 승소현 낭통자 공균수소 백주이신훈 군 중종 : 중반 조개 유경여 승소현 낭통자 공균수소 백주이신훈 군 중 : 중종(1506~1544) 반 : 반정 조 : 조광조 개 : 개혁정치 유 : 유향소폐지 경 : 경재소폐지 여 : 여씨 향약 승 : 승과 폐지 소 : 소격서 폐지 현 : 현량과 설치 낭 : 낭청권 통 : 통청권 자 : 자대권 공 : 공안폐지 균 : 균전제 수 : 수미법 주장 소 : 소학보급운동 백 : 백운동서원 주 : 주자대전 이 : 이륜행실도 신 : 신증동국여지승람 훈 : 훈몽자회 군 : 군적수포제 1. 중종(1506~1544) 중종은 조선전기 제1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506~1544년이다. 성종의 둘째 아들이며,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을 쫓아낸 뒤 왕으로 추대되었다. 즉위 초에는 문벌세가를 누르고 왕도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 2023. 8. 14.
연산군 두문자 : 연 언 신 홍 무 조 갑 폐 연산군 : 연 언 신 홍 무 조 갑 폐 연 : 연산군(1494~1506) 언 : 신언패 신 : 신문고 폐지 경연 폐지 홍 : 홍길동 무 : 무오사화 조 : 김종직의 조의제문 갑 : 갑자사화 폐 : 폐비윤씨 1. 연산군 연산군은 조선시대 제10대 국왕이다. 1483년(성종 14년) 2월 7세 때 세자로 책봉되었다. 12년간 재위하면서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일으켜 많은 인명을 살상하고 지나친 연회·사냥·음행 등 폭정을 자행하다가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었다. 연산군이 즉위하였을 무렵 형성된 중앙 정치의 중요한 변화는 삼사가 중요한 관서로 떠올랐다는 것이었다. 그런 현상은 성종 중반부터 나타났다. 성종은 세조 때부터 공신과 주요 관직을 독점하면서 강력한 세력으로 자리 잡은 훈구 대신들을 견제하기 위해 삼사를 지원하.. 2023. 8. 14.
성종 두문자 : 사 유 홍 도 관 경 선 사 재 성종 : 사 유 홍 도 관 경 선 사 재 사 : 사림등용(훈구파 견제) 유 : 유향소 설치 홍 : 홍문관(옥당, 집현전 기능 대행) 도 : 도첩체 폐지(1492) 관 : 관수관급제(1470) 경 : 경국대전 완성 선 : 동문선 사 : 사창제 폐지 재 : 재가 금지법 1. 성종( 1469~1494) 성종은 조선전기 제9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469~1494년이며, 1469년에 예종이 죽고 그 아들이 아직 어리자, 정희대비가 대신들과 의논해 즉위시켰다. 『경국대전』 완성·반포, 『대전속록』 완성 등 통치의 전거가 되는 법제를 완비했고, 토지의 세습·겸병 및 관리들의 수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수관급제를 실시하여 민생 안정을 도모했다. 사림세력을 대거 등용하여 조선 중기 이후 사림정치의 기반을 조성했다. 관.. 2023. 8. 14.
세조 두문자 : 6 면 보 경 동 직 유 간 전 사 세조 : 육 면 보 경 동 직 유 간 전 사 6 : 6조 직계제 면 : 면리제(5가 작통법 향소부곡 소멸) 보 : 보법(진관체제 완성) 경 : 경국대전 착수(호전 형전 완성) 동 : 동국지도(양성지 실측지도 인지의 규형) 직 : 직전법(수신전 휼양전 폐지) 유 : 유향소 폐지(이시애의 난 : 함경도 차별) 간 : 간경도감(불경 간행) + 원각사(1464) 전 : 전폐(팔방통보 유사시 화살촉) 사 : 사시찬요(농서) 1. 세조(1455~1468)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455~1468년으로, 1453년 계유정난을 일으켜 국정을 마음대로 처리하다가 1455년 단종을 핍박하여 왕위를 물려받았다.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의정부의 서사제를 폐지하고 육조 직계제를 시행했다. 경연을 없앴고 집현전.. 2023.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