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3 우왕 두문자 : 우 화 직 홍 진 황 관 (쓰) 우왕 : 우 화 직 홍 진 황 관 (쓰) 우 : 우왕(1374~1388) 화 : 화통도감설치(1377 최무선) 직 : 직지심체요절(1377 청주 흥덕사) 홍 : 홍산(1376 최영 부여전투) 진 : 진포(1380 최무선 금강 화포 최초등장) 황 : 황산(1380 이성계 남원) 관 : 관음포(1383 정지 남해) 쓰 : 쓰시마 정벌 위 : 1388 위화도 회군(소농왜질) 1. 우왕(1374~1388) 우왕은 고려후기 제32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74~1388년이다. 1374년 공민왕이 시해되자, 이인임 등에 의해 옹립되어 10세에 즉위했다. 즉위 초부터 북원 및 명나라 사이에 복잡한 외교문제가 계속 발생했고 왜구의 침탈이 심각했으나 정사를 돌보지 않고 유희를 일삼았다. 명이 철령위 설치를 일방적으로 .. 2023. 8. 14. 공민왕 두문자 : 공 기 쌍 홍 흥 신 성 자 공민왕 : 공 기 쌍 홍 흥 신 성 자 공 : 공민왕 기 : 기철 숙청 정방폐지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쌍 : 쌍성총관부 탈환(1356 유인우) 홍 : 홍건적 1차 침입(서경함락) 흥 : 흥왕사의 변(1362) 신 : 신돈 전민변정도감 성 : 성균관 중수사업 자 : 자제위 1.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 후기 제31대(재위: 1351~1374) 국왕이다. 1351년(충정왕 3) 10월에 즉위하여 1374년(공민왕 23) 9월에 시해되기까지 23년간 재위하였다. 공민왕의 재위 기간은 원나라 간섭이 계속되는 가운데 명나라가 건국되어 원명 교체의 시기였다. 국내적으로는 왜구의 잦은 침탈과 홍건적 침입으로 토지가 황폐되고 인명 손실이 커서 민생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었다. 공민왕은 이 같은 국내외 정세 속에서 여러 차례.. 2023. 8. 14. 충목왕 두문자 : 목 고 응 정 현 정 기 충목왕 : 목 고 응 정 현 정 기 목 : 충목왕 고 : 고리대금 금지 응 : 응방 혁파 정 : 정치도감(이제현 주도) 정 : 정방혁파 삼 : 기삼만 반발 1. 충목왕 충목왕은 고려후기 제29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44~1348년이다. 어려서 볼모로 원나라에 가 있다가 황음무도를 일삼던 충혜왕이 폐위되자 8세에 왕위를 계승했다. 어머니 덕녕공주가 섭정을 하며 폐정을 바로잡고 백성들을 위무하고 구휼하는 데 힘썼다. 보흥고·덕녕고·응방 등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던 기관을 폐지하여 백성들의 원한을 풀어주었고, 권신들이 빼앗았던 녹과전을 원주인에게 돌려주었다. 또 폐정을 바로잡기 위해 정치도감을 설치하여 민전을 측량하게 했고, 진휼도감을 두어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제했다. 재위 4년 만에 사망했다. 제29대 .. 2023. 8. 14. 충숙왕 두문자 : 숙 제 찰 반 본 충숙왕 : 숙 제 찰 반 본 숙 : 충숙왕 제 : 제폐사목소 찰 : 찰리변위도감 반 : 반전도감(수탈기구) 본 : 본조편년강목 1. 충숙왕 충숙왕은 고려후기 제27대 왕이다. 1313~1330년과 1332~1339년 두 차례에 걸쳐 재위했다. 충선왕의 왕위 선양으로 즉위했다. 안향을 문묘에 배향하고 폐단이 많던 사심관 제도를 폐지했으며, 권세가가 점령한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는 등의 업적이 있다. 원나라의 지나친 세공 요구를 삭감하게 하고 공녀와 환관 징발을 중지하도록 청원했다. 심양왕 왕고의 무고로 원에 불려가 5년 동안 머물렀다. 정치에 싫증을 느껴 세자(충혜왕)에게 양위하고 원나라로 돌아갔으나 충혜왕이 황음무도를 일삼고 정사를 돌보지 않자 다시 복위했다. 1299년(충렬왕 25)에 강릉군(江陵.. 2023. 8. 14. 이전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1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