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3 최우 두문자 : (우 양) 처 삼 팔 금 정 서 최우 : (우 양 ) 처 삼 팔 금 정 서 우 : 최우 양 : 진양후 처 : 처인성 전투 삼 : 삼별초 항쟁 팔 : 팔만대장경 금 : 금속활자(상정고금예문 1234) 정 : 정방(인사기구) 서 : 서방(숙의기구) 1. 최우(진양후) 최우(崔瑀)는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서 그가 죽은 1219년(고종 6년) 이후로 1249년(고종 36)까지 집권한 최씨 무인정권의 2대째 집정자이다. 최우는 그의 첫 이름이고, 나중에는 최이(崔怡)로 개명하였는데, 언제 바꾼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고려사』에도 ‘최우’라는 이름과 ‘최이’라는 이름이 동시에 등장하지만, 열전에는 ‘최이’라는 이름으로 올랐다. 여기서는 편의상 최우로 통일하여 표기하겠다. 그의 집권 기간 중 고려는 몽골의 고려침입을 받아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 2023. 8. 14. 최충헌 두문자 : 진 흥 봉 수 이 교 최충헌 : 진 흥 봉 수 이 교 진 : 진강후 흥 : 흥녕부 봉 : 봉사 10조 수 : 수선사 결사(지눌) 이 : 이규보(동국이상국집) 교 : 교장도감 1. 최충헌 최충헌은 고려시대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에 이어 무신정권의 최고 권력자가 되어 교정별감을 역임한 관리이자 무신집권자이다. 1149년(의종 3)에 태어나 1219년(고종 6)에 사망했다. 이의민과 그 일당 및 잔당을 대량 학살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60년 최씨정권을 세운 인물이다. 실권을 장악한 후 4명의 왕을 갈아치웠으며, 친동생을 비롯한 수많은 반대세력의 저항과 민란을 평정하며 71세의 천수를 누리기까지 실권자의 자리에 앉아 국정을 전횡했다. 이규보를 등용하여 무신정권으로 쇠퇴했던 문운의 진흥을 꾀한 치적은 있다. 최충헌은 1149.. 2023. 8. 14. 무신정권 최고기구 : 중 도 중 도 교 무신정권 최고기구 : 중 도 중 도 교 중 : 중방 도 : 도방 중 : 중방 도 : 도방 교 : 교정도감 정 : 정방 서 : 서방 1. 중방 고려시대 이군육위(二軍六衛)의 지휘관인 상장군·대장군으로 구성된 회의기관이다. 중방의 설치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이군육위의 군사제도가 완성된 현종 무렵으로 추측된다. 전체 구성원은 16인인데, 반주(班主)라고 불리는 응양군(鷹揚軍)의 상장군이 중방회의의 장을 담당했으며, 궁궐·도성의 수비와 치안 등 이군육위의 임무와 관련된 주요 안건을 다루었다. 그러나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이의방(李義方) 등이 정변을 일으켜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자, 문신이 권력을 독차지한 고려 전기 때와는 달리 중방은 막강한 정치권력 기관이 되었다. 즉 집.. 2023. 8. 14. 무신집권기 두문자 : 정 경 이 최 중 도 중 도 교 무신집권기 : 정 경 이 최 중 도 중 도 교 정 : 정중부 경 : 경대승 이 : 이의민 최 : 최충헌 최우 중 : 중방 도 : 도방 중 : 중방 도 : 도방 교 : 교정도감 1. 정중부 정중부는 고려시대 무신정변을 일으킨 주모자로 무신이다. 1106년(예종 1)에 태어나 1179년(명종 9)에 사망했다. 주의 군사였다가 개성에서 공학금군에 편입되면서 무관의 길을 걸었다. 문벌 귀족의 나라 고려에서 무관에 대한 차별이 심화되자 이고·이의방 등 무인들과 함께 대소 문신들을 죽이고 의종과 태자를 유배지로 보낸 뒤 명종을 옹립하여 무신정권을 수립했다. 김보당의 의종 복위운동과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고 쿠데타 동조세력인 이의방 도당까지 제거한 후 탐학을 일삼는 무신독재 정치를 일삼다가 1179년 경대승에게 살해당.. 2023. 8. 14. 이전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