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1 고려 경종 두문자 : 경 반 시 고려 경종 : 경 반 시 경 : 경종(975~981) 반 : 반동정치 시 : 시정 전시과 1. 경종(975~981) 경종은 고려전기 제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975년~981년이며, 태평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즉위 초에 왕선을 집정으로 삼아 정권을 맡겼는데 전횡을 일삼자 귀양 보냈고, 980년의 왕승의 모반도 제압하여 위기를 넘겼다. 976년 전시과를 제정하여 고려 토지제도의 기초를 다졌고, 과거제도를 다시 시행했으며, 송과의 국교도 돈독히 했다. 981년 병이 위독해지자 사촌동생인 개령군 왕치에게 왕위를 넘겼다. 여러 가지 치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사에 뜻이 없고 오락과 여색을 탐하고 바둑을 좋아해 정치와 교화가 쇠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 반동정치(숙청된 구세력 사면령) 975년 광종이 .. 2023. 8. 13. 고려 광종 두문자 : 광 주 안 과 복 제 칭 송 고려 광종 : 광 주 안 과 복 제 칭 송 광 : 광종(949~975) 주 : 주현공부법 안 : 노비안검법(956) 과 : 과거제(958) 복 : 4색 공복제(960 자단비녹) 제 : 제위보 칭 : 칭제건원 : 광덕 준풍 송 : 송과 수교(962) 1. 광종(949~975) 광종은 고려전기 제4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949년∼975년이며, 정종이 친동생인 그에게 선위함에 따라 왕위에 올랐다. 956년에 노비안검법을 실시했고 958년에는 과거제도를 시행했다. 960년에는 백관의 공복도 제정했다. 호족세력의 반발을 철저하게 제압하며 진행된 개혁조치들은 왕권강화를 위한 정책이었다. 특히 과거제도와 독자적으로 육성한 시위군졸은 문무 양면에서 왕권을 강화하고 뒷받침하는 세력기반이 되었다. 중국 여러 왕조와의 활.. 2023. 8. 13. 고려 정종 두문자 정리 : 정 서 광 고려 정종 : 정 서 광 정 : 정종 서 : 서경천도 실패 광 : 광군사 1. 정종 정종은 혜종의 뒤를 이어 945년에 즉위하여 서경의 진장(鎭將) 왕식렴(王式廉)의 도움으로 왕규(王規)·박술희(朴述熙) 등 정적을 제거하고 정권을 잡았다. 이러한 사실은 혜종 사후에 전개된 일련의 호족들의 발호를 제압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개경의 호족들은 여전히 반발하여 왕권이 확고한 지위에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도참설의 영향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서경 천도를 서두르게 되었다. 그러나 오히려 개경의 호족과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하였던 것으로, 결국 이 계획은 좌절되고, 왕권은 여전히 불안한 상태에 있었다. 불교를 깊이 믿었다고.. 2023. 8. 13. 혜종 두문자 : 혜 규 고려 혜종 : 혜 규 혜 : 혜종(943~945) 규 : 왕규의 난 1. 혜종(943~945) 혜종은 재위 943∼945. 이름은 왕무(王武). 자는 승건(承乾). 태조 왕건(王建)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장화왕후 오씨(莊和王后 吳氏)이다. 젊어서부터 도량이 넓고 지용(智勇)이 뛰어났으며, 936년(태조 19) 태조가 후백제를 칠 때 종군해 큰 공을 세웠다. 921년에 박술희(朴述熙)를 후견인으로 하여 태자에 책봉되고, 943년 왕위에 올랐으나 왕위를 노리는 적대세력 때문에 고전하였다. 특히, 강력한 호족출신이며 왕실의 외척으로서 권력을 쥐고 있던 왕규(王規)의 노골적인 암살음모를 가까스로 모면한 뒤에는 늘 신변의 위협을 느끼며 정치에 뜻을 두지 못하였다. 한편, 이복동생인 왕요(王堯: 뒤의 定宗)는 서.. 2023. 8. 13. 이전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