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1 덕종 두문자 : 덕 천 압 도 덕종 : 덕 천 압 도 덕 : 덕종(1031~1034) 천 : 천리장성 축조 압 : 압록강 도 : 도련포 1. 덕종(1031~1034) 고려의 9대 국왕 덕종은 1016년(현종 7)에 태어나 1034년(덕종 3)에 사망하였다. 재위 기간은 1031년(덕종 즉위년)부터 1034년(덕종 3년)까지였다. 이름은 흠(欽)이고 자는 원량(元良)이다. 현종(顯宗)과 원성태후 김씨(元成太后 金氏)사이의 장남이다. 후비로는 현종의 딸 경성왕후(敬成王后)와 효사왕후(孝思王后), 그리고 왕가도(王可道)의 딸 경목현비(敬穆賢妃) 등이 있었다. 덕종은 1020년(현종 11)에 연경군(延慶君)에 봉해지고 1022년(현종 13)에 태자에 책봉되었다. 당시 그의 나이는 불과 7세였다. 몇 년 뒤인 1031년(현종 22) 5월에 현.. 2023. 8. 13. 현종 두문자 : 현 지 2 3 초 칠 부 주 면 주 감 향 현종 : 현 지 이 삼 초 칠 부 주 면 주 감 향 현 : 현종(1009~1018) 지 : 지방 관제 완성(5도 양계 4도호부 8목 안찰사 경기설치) 2 : 거란 2차 침입(1010 양규의 흥화진 전투) 3 : 거란 3차 침입(1018 강감찬의 귀주대첩) 초 : 초조대장경 칠 : 칠대실록 소실(태조~목종) 부 : 팔관회 연등회 부활 주 : 주현공거법 면 : 면군급고법 주 : 주창수렴법 감 : 감목양마법 향 : 향리정원제 1. 현종(1009~1018) 현종은 고려전기 제8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009~1031년이며, 처음에는 승려가 되어 숭교사와 신혈사에 있다가 강조의 정변으로 목종이 폐위되자 왕위에 올랐다. 5도양계체제라는 군현제의 기본 골격을 완성하여, 호족세력에 의해 형성된 정치체제를 청산하고 왕.. 2023. 8. 13. 목종 두문자 정리 : 목 개 강 목종 : 목 개 강 목 : 목종(997~1009) 개 : 개정전시과(998) 강 : 강조의 정변(1009) 1. 목종(997~1009) 목종은 고려 전기 고려의 제7대 왕이다. 17세에 즉위하여 전시과(田柴科)를 개정하였다. 또한 과거시행법을 정비하였으며, 서경(西京)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천추태후(天秋太后)와 김치양(金致陽)의 영향력을 제어하지 못하였다. 김치양의 난으로 대량원군(大良院君)을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 강조(康兆)에게 입위를 명령하였지만, 오히려 강조에게 시해되었다. 이름은 왕송(王誦),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효신(孝伸)이다. 경종의 큰아들이며, 어머니는 헌애왕후(獻哀王后)〔천추전에서 머물러서 천추태후(千秋太后)라고 불린다〕 황보 씨(皇甫氏)이다. 목종은 고려 제5대 국왕인 경종(景宗).. 2023. 8. 13. 고려 성종 두문자 : 성중국 십이요일 팔연폐 의상재건환 성종 : 성중국 십이요일 팔연폐 의상재건환 성 : 성종(981~997) 중 : 중앙제도 완비 국 : 국자감 설치(992) 12목 : 12목 지방관 파견 요 : 요나라(거란) 일 : 일차 침입 서희의 강동6주 팔 : 팔관회 연 : 연등회 폐 : 폐지 의 : 의창 상 : 상평창 재 : 재면법 건 : 건원중보(996) 환 : 노비환천법 1. 성종(981~997) 성종은 고려전기 제6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981~997년이며, 경종의 왕위 선양으로 즉위했다. 즉위년에 5품 이상의 경관에게 시정에 관한 건의문을 바치게 했고, 최승로의 시무책 28조를 받아들였다. 3성6부제 도입, 12목 설치 등 중앙관제와 지방제도를 정비했고, 새로운 사회를 이끌기 위한 정치이념으로 유교를 받아들였다. 고려의 기틀은 이때 마련되.. 2023. 8. 13. 이전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