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3

충렬왕 두문자 : 열 제 둔 정 문 동 탐 경 섬 성 유 제 평 충렬왕 : 열 제 둔 정 문 동 탐 경 섬 성 유 제 평 열 : 충렬왕(1274~1308) 제 : 쿠빌라이칸의 딸 제국대장공주와 결혼 둔 : 둔전경략사 폐지 정 : 정동행성(일본원정 기구) 문 : 이문소(감찰기구) 동 : 동녕부 탐 : 탐라총관부 회복 경 : 경사교수도감 섬 : 섬학전(장학기금) 성 : 성리학 수용(안향) 유 : 일연의 삼국유사(1281) 제 : 이승휴의 제왕운기(1287) 평 : 도평의사사 설치 1. 충렬왕 충렬왕은 고려후기 제2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274~1308년이다. 원의 부마국이 된 첫 왕으로, 볼모로 가 있다가 원의 제국대장공주와 결혼하고 원종이 죽자 돌아와 즉위했다. 고려에 원의 풍속이 퍼졌고, 원 세조의 강요로 일본 정벌을 두 차례나 감행하면서 국력을 소진시켰다. 왕.. 2023. 8. 14.
충선왕 두문자 : 선 사 만 각 수 충선왕 : 선 사 만 각 수 정 식 교 선 : 충선왕(1298~1313) 사 : 사림원 설치 만 : 만권당(연경 조맹부체 이제현) 각 : 각염법(소금전매 국가재정확보) 수 : 수시력 정 : 정방 폐지 식 : 식목도감 설치 교 : 교지정치 1.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후기 제26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08~1313년이다. 부왕 충렬왕의 선위로 1298년 즉위하여 과감한 개혁정치를 시도했으나 무고로 원에 소환되면서 8개월 만에 끝났다. 원 무종 즉위에 공을 세우면서 고려 국정의 실권을 되찾았고 1308년에 즉위하여 재차 혁신정치를 천명했으나 복위 두 달 만에 왕권을 대행시키고 원나라로 되돌아가 혁신은 무산됐다. 재위기간 내내 연경에 머물면서 배후 정치를 하다가 1313년 선위하고 물러났다. 그 뒤 연경에 .. 2023. 8. 14.
몽고와의 첫만남 연표 : 취 강 저 1차 강 3차 황 팔 5차 충 6차 철 개 몽고와의 첫만남 연표 : 취 강 저 1차 강 3차 황 팔 5차 충 6차 철 개 1217 김취려 거란(대요수국) 격퇴 1219 강동의 역(여몽연합 : 형제관계) 1225 저고여 피살 1231 몽고 1차 침입(박서 귀주성 전투 다루가치 파견) 1232 최우의 강화천도(2차 침입 김윤후 처인부곡(용인) 살리타 사살) 초조대장경 소실, 속장경소실, 부인사대장경소실 1235 3차 침입 :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팔만대장경 조판 시작 1253 5차 침입 : 충주성 전투(김윤후 방호별감) 1254 6차 침입 : 충주 다인철소 전투 1258 태자 원종 몽골 입조 1270 개경환도(원종 삼별초 항쟁 1270~1273) 1. 1217 김취려 거란(대요수국) 격퇴 김취려(金就礪, 1172~1234)는 12세기 말~13세기.. 2023. 8. 14.
무신집권기 반란사 두문자 : 보 조 교 망 전 사 만 최 연 무신집권기 반란사 : 보조교 망전사 만최연 보 : 김보당의 난(1173 의종 복위 문신의 난) 조 : 조위총의 난(1174 서경유수의 난) 교 : 교종승려의 난(귀법사 흥왕사) 망 : 망이 망소이의 난 전 : 전주 관노의 난(1182) 사 : 김사미 효심의 난(1193 농민 신라 부흥) 만 : 만적의 난(1198 신분해방) 최 : 최광수의 난(1217 고구려 부흥) 연 : 이연년의 난(1237 백제 부흥) 1. 김보당의 난 김보당의 난은 계사년(1173)에 일어났으므로 계사난이라고도 한다. 김보당은 정중부(鄭仲夫)의 무신란이 일어난 지 3년 후인 1173년(명종 3) 8월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동북면병마사로 있으면서 앞서 군사를 일으켜 정권을 잡은 정중부·이의방(李義方) 등을 토벌하고 전왕(前王) 의종.. 2023.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