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3

조선 초기 명과의 관계 두문자 : 종 표 여 조 조선 초기 명과의 관계 : 종 표 여 조 종 : 종계변무(이성계 아버지 이름 수정) 표 : 표전문제(정도전 외교문서 문제) 여 : 여진쇄환 조 : 조공횟수(1년 3공 VS 3년 1공) 1. 종계변무 고려 말 1390년(공양왕 2) 이성계의 정적이던 윤이(尹彛)·이초(李初)가 명나라로 도망가서 이성계를 타도하려는 목적으로, 공양왕이 고려 왕실의 후손이 아니고 이성계의 인척이라 한 적이 있다. 이 때 윤이 등은 이들이 공모해 명나라를 치려고 한다면서, 이성계의 가계에 관해 고려의 권신 이인임(李仁任)의 후손이라고 한 일이 있었다. 그 뒤 명나라는 이 이야기를 믿고, 그 내용을 명나라의 《태조실록》과 《대명회전 大明會典》에 그대로 기록하였다. 조선에서 이러한 종계(宗系)의 기록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 2023. 8. 14.
조선건국과정 두문자 : 우 철 위 폐 과 역 조 한 경 조선건국과정 : 우 철 위 폐 과 역 조 한 경 우 : 우왕집권(1374) 철 : 철령위 통보 위 : 위화도 회군(1388) 폐 : 폐가입진(1389) 과 : 과전법(1391) 역 : 역성혁명(1392) 조 : 조선 국호 사용(1393) 한 : 한양 천도(1394) 경 : 경복궁 건립(1395) 1. 우왕집권(1374) 우왕은 고려후기 제32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74~1388년이다. 1374년 공민왕이 시해되자, 이인임 등에 의해 옹립되어 10세에 즉위했다. 즉위 초부터 북원 및 명나라 사이에 복잡한 외교문제가 계속 발생했고 왜구의 침탈이 심각했으나 정사를 돌보지 않고 유희를 일삼았다. 명이 철령위 설치를 일방적으로 통고해오자 최영의 주장에 따라 요동정벌을 단행했으나 이성계 세력의 위화도회군으로 .. 2023. 8. 14.
공양왕 두문자 : 양 폐 과 원 저 무 조 공양왕 : 양 폐 과 원 저 무 조 양 : 공양왕(1389~1392) 폐 : 폐가입진 과 : 과전법(1391 일전일주제 확립) 원 : 서적원(금속활자 인쇄소) 저 : 저화발행(1391) 무 : 무과실시 조 : 조선건국(1392) 1. 공양왕(1389~1392) 공양왕은 고려후기 제34대 왕이자 고려의 마지막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89년∼1392년이다. 신종의 7대손으로 이성계 일파가 창왕을 폐위하고 왕으로 옹립했다. 재위하는 3년 동안 관제 개편, 유학 진흥, 사원의 재산 몰수, 한양 천도 시도, 과전법 실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개혁이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신진사대부들이 자기 세력 부식을 위해 주도한 것이었다. 고려 왕실의 존속을 둘러싼 대립에서 존속을 주장하던 정몽주가 살해된 후 정세는 이성계의 .. 2023. 8. 14.
창왕 두문자 : 창 급 쓰 박 창왕 : 창 급 쓰 박 창 : 창왕(1388~1389) 급 : 급전도감(양전조사) 쓰 : 쓰시마 정벌(1389) 박 : 박위 1. 창왕(1388~1389) 창왕은 고려후기 제33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388~1389년이며, 위화도회군 후 이성계에 의해 부왕인 우왕이 강화로 추방되자 조민수와 이색의 추천으로 정비의 교를 받아 9세에 즉위했다. 최영을 충주로 귀양 보냈다가 죽였다. 전제 개혁, 행형제도 개선, 대마도 정벌, 유구국과의 교류 등이 재위 기간에 이루어졌다. 우왕 복위운동이 있자 우왕을 강릉으로 옮겼다. 1389년 이성계 등이 우왕과 창왕이 왕씨가 아니고 신씨라 하여 두 왕을 모두 폐위했다가 12월에 우왕은 강릉에서, 창왕은 강화에서 각각 살해했다. 위화도회군 후 이성계에 의해 부왕인 우왕이 .. 2023.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