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35

소수림왕 두문자 : 소 불 태 율 전 소수림왕 : 소 불 태 율 전 소 : 소수림왕(371 ~ 384) 불 : 불교공인(전진 순도 372) 태 : 태학 설립(유학 한학 교육) 율 : 율령반포(고대국가 완성) 전 : 전진과 수교 1. 소수림왕(371 ~ 384) 소수림왕은 삼국시대 고구려 제17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371~384년이며, 부왕인 고국원왕이 백제군을 맞아 싸우다 전사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 부왕의 팽창정책 실패로 인한 사회의 동요를 극복하기 위해 일련의 체제 정비에 나섰다. 불교를 수용하고 보급하기 위해 전진의 승려 순도와 아도를 맞아들였고, 유교 교육기관인 태학을 설립해 유교이념의 확대를 꾀했다. 국가 통치의 기본법인 율령을 반포하여 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에 나섰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은 4세기말∼5세기.. 2023. 8. 10.
고국원왕 두문자 : 원 전 근 침 평 함 고국원왕 : 원 전 근 침 평 함 원 : 고국원왕(331~371) 전 : 전연의 침입(342) 근 : 백제 근초고왕 침 : 침입 평 : 평양성 함 : 함락 전사(371 : 빗나간 화살맞고 시유(고국천왕)가 죽었다.) 1. 고국원왕(331~371) 고국원왕은 삼국시대 고구려 제16대(재위: 331~371) 왕이다. 국원왕, 국강상왕이라고도 한다. 314년(미천왕 15) 태자로 책봉된 후, 331년 2월 미천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영토 확장 과정에서 요동(遼東)과 부여(夫餘) 지역을 둘러싸고 전연(前燕)과 대립하였고, 남쪽으로는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과 경쟁하였다. 371년 10월 평양성에서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 고국원왕이 즉위한 시기는 고구려가 선비(鮮卑) 모용부(慕容部)가 세운 전연(前燕)과 크게 .. 2023. 8. 10.
미천왕 두문자 : 미 서 점 낙 대 출 미천왕 : 미 서 점 낙 대 출 미 : 미천왕(300~331) 서 : 서안평(311) 점 : 점령 낙 : 낙랑(313) 대 : 대방(314) 출 : 축출 점 : 점제현 신사비 1. 미천왕(300~331) 미천왕은 삼국시대 고구려 제1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300~331년이다. 서천왕의 손자로 아버지가 봉상왕에 의해 반역혐의로 죽임을 당하자 피신해 소금장수를 하며 살다가 봉상왕 폐위 후 국상 창조리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다. 재위 중에 중국 진나라가 와해되는 국제적 격동기를 맞아 대외팽창정책을 적극 추진했다. 낙랑군과 대방군을 병합했고 현도성을 공격하는 등 남방으로 급속한 팽창을 도모했다. 선비족 일파인 모용부와 요동지방을 두고 오랫동안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기도 했다. 재위 32년 만에 죽자 미천 .. 2023. 8. 10.
한반도 연표정리1 한반도 1~3세기 연표정리 : 옥 동 복 진 서 공 관 체 3법 56 옥저 복속, 동예 복속 : 고구려 태조왕 194 진대법 실시 : 고구려 고국천왕 242 서안평 공격 : 동천왕(위 견제) 244 관구검 침입(국내성 함락, 밀우 유유 활약) 260 고이왕의 체제정비(6좌평, 16관등, 3색 공복제) 262 백제 고이왕 관리범죄 3배(관인수재죄 : 일책3법) 4c 연표정리 311 고구려 미천왕 서안평 점령 313 낙랑 복속 314 대방 복속 342 전연침입(선비족 모용황 고구려 침입) 369 근초고왕 마한 병합 369 근초고왕 일에 칠지도 하사 371 고국원왕 평양성에서 전사 372 고구려 소수림왕 불교수용 372 고구려 소수림왕 태학설립 373 고구려 소수림왕 율령반포 374 백제 근초고왕 고흥의 서기.. 2023.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