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1 백제 무령왕 두문자 : 무 담 양 박 무령왕 : 무 담 양 박 무 : 무령왕(501 ~ 523) 담 : 22담로에 왕족 파견 양 : 양나라와 교류(양직공도) 박 : 일본에 박사 파견(단양이 고안무 : 왜에 유교 경전 전래) 대 : 대가야 압박(대사진 탈취 : 대가야 VS 신라 결혼동맹) 1. 무령왕(501~523) 무령왕은 삼국시대 백제의 제2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501∼523년이며, 위사좌평 백가가 보낸 자객에 의해 동성왕이 시해되자(백가의 난) 그를 이어 즉위했다. 북방정책에 몰두하여 고구려·말갈 등의 침략을 무찌르고 대비책을 강화했으며, 중국 남조의 양과 관계를 강화하는 외교정책을 폈다. 지배귀족들의 전횡을 막고자 좌평제를 폐지하고 22부사제로 행정체제를 바꾸었고, 백성들의 진휼에 힘쓰는 한편 수리시설 정비·확충과 호적체계 정비로.. 2023. 8. 11. 고구려 문자왕 두문자 : 문 부 복 최 영 문자왕 : 문 부 복 최 영 문 : 문자왕(491 ~ 519) 부 : 부여(494 선비족의 공격으로 쇠퇴) 복 : 복속 최 : 고구려 최대 영 : 영토 1. 고구려 문자왕 일명 명치호왕(明治好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나운(羅雲)이다. 장수왕(長壽王)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고추대가(古鄒大加) 조다(助多: 高助多)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할아버지에게 양육되다가 장수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문자명왕(文咨明王)은 선대 왕에 이어 중국 남·북조(南北朝)와 등거리 외교를 맺어 국제관계를 안정시켰고, 고구려 남쪽 영토를 확장하는가 하면 금강사(金剛寺)를 창건하여 불교를 진흥시키는 등 고구려의 최대 전성기를 이룩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등 관련 사료가 소략하여 문자명왕이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는지는 잘.. 2023. 8. 11. 소지마립간 두문자 : 소 우 행 시 결 소지마립간 : 소 우 행 시 결 소 : 소지마립간(479 ~ 500) 우 : 우역설치(역로 개설) 행 : 행정적 6부 마련(수도정비) 시 : 시사설치(490 최초 시장) 결 : 결혼동맹(493) VS 동성왕 1. 소지마립간 소지마립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2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479~500년이고, 자비마립간의 장자로 왕위에 올랐다. 어려서부터 효행을 지녔으며 겸손하고 공손해 사람들이 모두 감복했다고 한다. 기간 도로를 수리하고 수도에 시장을 열어 물화를 유통하게 했으며 전국적 연락망을 갖추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잦은 고구려의 침략을 백제와 동맹을 맺거나 가야와 연합해 막아냈고, 병사 위문과 민심 수습을 위해 지방 순행에 나서기도 했다. 백제 동성왕과는 결혼동맹을 맺기도 했으며 변경지방 요충지의 성.. 2023. 8. 11. 눌지마립간 두문자 : 눌 부 나 묵 불 눌지마립간 : 눌 부나 묵 불 눌 : 눌지마립간(417 ~ 458) 부 : 부자상속 확립 나 : 나제동맹(비유왕) 묵 : 고구려 묵호자 불 : 불교 전래(457) 1. 눌지마립간(417 ~ 458) 눌지마립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19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417년~458년으로 내물마립간의 아들이다.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실성이 귀국해서 마립간에 즉위한 뒤 고구려를 이용해 내물마립간의 아들 눌지를 해치려 했으나 오히려 고구려의 지원을 받은 눌지가 정변을 일으켜 그를 살해하고 마립간이 되었다. 즉위 후에는 고구려의 평양천도 이후 남진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나제동맹을 맺었다. 왕실 내부의 분쟁을 막기 위해 왕위계승에서 부자상습제를 확립시켰고 저수지 축조, 우거 사용법 보급 등 민생안정에도 힘을 쏟았.. 2023. 8. 11. 이전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