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1 가야 정벌 두문자 : 금 법 대 진 가야 정벌 : 금 법 대 진 금 : 금관가야 법 : 법흥왕 정벌(532) 대 : 대가야 진 : 진흥왕 정벌(562) 1. 금관가야 금관가야는 서기 전후부터 서기 532년까지 존속하던 전기 가야의 대표적인 나라인 김해의 가락국을 일반적으로 부르던 호칭이다. 김해의 가야 세력을 가리키는 ‘금관가야’라는 명칭은 고려시대에 비롯된 조어이고 가야시대에는 ‘대가락(大駕洛)’이나, ‘가락(駕洛)’으로 불리었다. 현재 ‘금관가야’라는 호칭이 널리 통용되고 있는데, 특히 고고학계에서는 변한 소국 단계의 '구야국'에서 한층 더 발전한 소국연맹 단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일반인들이 김해의 가락국을 지칭할 때, 일반적으로 금관가야라고 한다. 그러나 이 명칭 그대로가 사서에서 확인되는 용례는 아니다. 『삼국유.. 2023. 8. 11. 진흥왕 순수비 두문자 : 단 북 창 마 황 진흥왕 순수비 : 단 북 창 마 황 단 : 단양 적성비(551 적성지역 회복 + 지역민 위로) 북 : 북한산비(555 김정희 고증 한강 하류 진출 국보 3호 추사 김정희 금석과 안록 고증) 창 : 창녕비(561 비화가야 점령 + 대가야 정벌의지 밝힘 + 지방관 파견) 마 : 마운령비(568 함경도 진출 + 비열홀주 + 고구려와 밀약설 + 최남선 고증) 황 : 황초령비(568) 1. 단양 적성비(551 적성 회복) 단양 신라 적성비는 신라가 고구려 영토인 적성을 점령한 후 세웠다. 비석에 새겨진 기록과 『삼국사기』의 내용에 비추어 보면 진흥왕 6~11년(545~550) 사이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록에는 민심을 안정시키고 신라의 새 영토를 확인하며, 새로 복속된 고구려인들을 신라 국민으로 흡수하려는.. 2023. 8. 11. 신라 비석 두문자 : 중 냉 봉 청 신라 비석 : 중 냉 봉 청 중 : 포항 중성리비(501 모단벌 재물소송) 냉 : 영일 냉수리비(지도로 갈문왕 화백회의 주도) 봉 : 울진 봉평비(모즉지매금왕 율령반포) 청 : 영천 청제비(532 저수지 축조 노역 동원) 단 : 단양 적성비(551 적성지역 회복 + 지역민 위로) 북 : 북한산비(555 김정희 고증 한강 하류 진출 국보 3호 추사 김정희 금석과 안록 고증) 창 : 창녕비(561 비화가야 점령 + 대가야 정벌의지 밝힘 + 지방관 파견) 마 : 마운령비(568 함경도 진출 + 비열홀주 + 고구려와 밀약설 + 최남선 고증) 황 : 황초령비(568) 1. 포항 중성리비 포항 중성리비는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현존 가장 오래된 비이다. 2015년 국보로 지정되었.. 2023. 8. 11. 진흥왕 두문자 : 진 품 화 대 거 흥 황 혜 전 개 태 홍 진흥왕 : 진 품 화 대 거 흥 황 혜 전 개 태 홍 진 : 진흥왕(540~576) 품 : 품주(최고정치기구) 화 : 화랑도 공인 대 : 대가야 정복(562) 거 : 거칠부의 국사(545) 흥 : 흥륜사 완공 황 : 황룡사 조성 혜 : 국통 혜량(고구려 출신) 전 : 전륜성왕 개 : 개국 태 : 태창 홍 : 홍제 1. 진흥왕 진흥왕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24대(재위: 540~576) 왕이다. 재위 기간에 불교를 진흥하는 한편, 화랑도를 창설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하여 신라의 삼국 통일 기틀을 마련하였다. 진흥왕은 정복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이전보다 3배나 넓은 영토를 개척하였다.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의 성은 김 씨, 이름은 삼맥종(彡麥宗) 또는 심맥부(深麥夫)이다. 아버지는 지증왕의 둘째.. 2023. 8. 11. 이전 1 ···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