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35 소지마립간 두문자 : 소 우 행 시 결 소지마립간 : 소 우 행 시 결 소 : 소지마립간(479 ~ 500) 우 : 우역설치(역로 개설) 행 : 행정적 6부 마련(수도정비) 시 : 시사설치(490 최초 시장) 결 : 결혼동맹(493) VS 동성왕 1. 소지마립간 소지마립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2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479~500년이고, 자비마립간의 장자로 왕위에 올랐다. 어려서부터 효행을 지녔으며 겸손하고 공손해 사람들이 모두 감복했다고 한다. 기간 도로를 수리하고 수도에 시장을 열어 물화를 유통하게 했으며 전국적 연락망을 갖추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잦은 고구려의 침략을 백제와 동맹을 맺거나 가야와 연합해 막아냈고, 병사 위문과 민심 수습을 위해 지방 순행에 나서기도 했다. 백제 동성왕과는 결혼동맹을 맺기도 했으며 변경지방 요충지의 성.. 2023. 8. 11. 눌지마립간 두문자 : 눌 부 나 묵 불 눌지마립간 : 눌 부나 묵 불 눌 : 눌지마립간(417 ~ 458) 부 : 부자상속 확립 나 : 나제동맹(비유왕) 묵 : 고구려 묵호자 불 : 불교 전래(457) 1. 눌지마립간(417 ~ 458) 눌지마립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19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417년~458년으로 내물마립간의 아들이다.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실성이 귀국해서 마립간에 즉위한 뒤 고구려를 이용해 내물마립간의 아들 눌지를 해치려 했으나 오히려 고구려의 지원을 받은 눌지가 정변을 일으켜 그를 살해하고 마립간이 되었다. 즉위 후에는 고구려의 평양천도 이후 남진정책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나제동맹을 맺었다. 왕실 내부의 분쟁을 막기 위해 왕위계승에서 부자상습제를 확립시켰고 저수지 축조, 우거 사용법 보급 등 민생안정에도 힘을 쏟았.. 2023. 8. 11. 장수왕 두문자 : 장 평 다 광 중 지 경 장수왕 : 장 평 다 광 중 지 경 장 : 장수왕(413~491) 평 : 평양천도(427 한강 점령) 다 : 다면외교 + 다물정책 광 : 광개토대왕비 중 : 중원고구려비 지 : 지두우(흥안령 점령) 경 : 경당(최초 지방 사학) 1. 장수왕(413~491) 장수왕은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20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413~490년이며 광개토왕의 장자이다. 재위 기간 동안 중국의 분열을 이용해 다각적인 외교를 적극 전개하여 서방의 안정을 기했다. 이를 토대로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체제 정비에 박차를 가했고 427년에는 평양성으로 천도를 단행했다. 이후 백제·신라 방면으로의 진출을 적극 추진하여, 475년에는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을 살해했다. 신라와는 평화관계를 유지하다가 백제와 군사동맹을 맺자.. 2023. 8. 10. 5c 백제 왕 두문자 : 비 나 개 북 위 문 웅 동 결 탐 5C 백제 왕 : 비 나 개 북 위 문 웅 동 결 탐 비 : 비유왕(427~455) 나 : 눌지마립간 나제 동맹(433:위례성) 개 : 개로왕(455~475) 북 : 북 위 : 위에 국서(472 고구려 공격해주세요) 문 : 문주왕(475~477) 웅 : 웅진 천도 후 귀족에게 피살 동 : 동성왕(479~501) 결 : 소지마립간과 결혼 동맹(493) 탐 : 탐라복속(498) 1. 비유왕(427~455) 재위 427∼455. 제19대 구이신왕의 맏아들이다(일설에는 제18대 전지왕의 서자라 한다.). 제21대 개로왕은 그의 맏아들이다. 풍채가 수려하고 말을 잘하여 사람들의 높임을 받았다. 429년에 중국 남조(南朝)의 송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였고, 다음해에는 송나라으로부터 선왕(先王)이 받았던 사지절 도독 백.. 2023. 8. 10. 이전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