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49

제천행사 두문자 : 부영(이와) 고동(이는) 동무(다) 제천행사 : 부영(이와) 고동(이는) 동무(다) 부 : 부여 영 : 영고(12월 : 수렵) 고 : 고구려 동 : 동맹(10월) 동 : 동예 무 : 무천(10월) 삼 : 삼한 계 : 5월 10월 계절제 1. 부 : 부여 부여(扶餘, 기원전 4세기 ~ 494년)는고려국의 동명왕이 건국한 예맥족 국가이며, 영토는 지금의 장춘시 이퉁강 유역을 중심으로 솽양과 남쪽으로는 랴오닝성, 북쪽으로는 헤이룽강에 이르렀을 것으로 여겨진다. 494년 고구려의 공격으로 부여는 멸망하였다. 기원전 4세기부터 여러 한민족 예맥 계열의 나라가 세워졌다. 동명왕이 세운 부여, 해모수가 세운 북부여와 해부루가 세운 동부여, 그리고 고주몽이 세운 고구려와 그 영향을 받은 백제가 한민족 예맥 계열의 나라이다. 이들은 일찍부터 정착하여 농경.. 2023. 8. 9.
단군신화 수록 역사서 두문자 : 유 제 세 응 동 단군신화 수록 역사서 : 유 제 세 응 동 유 : 삼국유사 제 : 제왕운기 세 : 세종실록지리지 응 : 응제시주 동 : 동국여지승람 1. 일연의 삼국유사 고려말의 승려 일연(一然)이 1281년(고려 충렬왕 7)에 지은 삼국시대의 역사서이다. 체재는 5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왕력(王歷)」, 「기이(紀異)」,「흥법(興法)」,「탑상(塔像)」,「의해(義解)」,「신주(神呪)」,「감통(感通)」,「피은(避隱)」,「효선(孝善)」등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왕력」은 삼국과 가락국·후고구려·후백제 등의 간략한 연표이고, 「기이」는 고조선으로부터 후삼국까지의 단편적인 역사를 서술한 것으로 첫 머리에 이 편을 설정하게 된 이유를 밝힌 서문이 있다. 또 「흥법」에는 삼국 불교의 수용 과정과 .. 2023. 8. 9.
고조선의 역사 두문자 : 관 제 연 진 준 세 위 박 위 왕 준 한 108 우 멸 고조선 : 관 제 연 진 준 세 위 박 위 왕 준 한 108 우 멸 BC 2333 고조선 건국 BC 700 에 중국 제나라와 교역 BC 400 고조선이 연을 공격하려도 그만 둠 BC 300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공격으로 서방 영토 2000리 상실, 부왕의 뒤를 이어 아들 준왕이 왕위세습 BC 195 위만이 고조선으로 망명하고 준왕이 신임하여 박사라는 관직 부여 BC 194 위만이 준왕을 몰아내고 왕으로 등극, 준왕은 물길로 남쪽으로 내려가 진국에서 한왕을 칭함 BC 193 철기문화 한반도 본격 보급 + 임둔 진번 복속 + 한과 진 사이의 중계무역 BC 108 한 무제가 고조선 침략하여 고조선 멸망(우거왕) BC 107 한4군 설치 + 이후 고조선의 법이 60여 조로 증가 AD 313 고구려 미천왕에 의해 .. 2023. 8. 9.
한국형 청동기 문화 두문자 : 세 잔 거 한국형 청동기 문화 : 세 잔 거 세 : 세형동검 잔 : 잔무늬 거울 거 : 거푸집 1. 세형동검 한국식 동검은 초기 철기시대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했던 조립식 구조의 청동단검이다. 검신 하단부가 각이 지며, 등대 마디와 칼허리를 지닌 모양을 띤다. 넓은 범위로는 불완전한 초기 단계의 동검들과 쇠퇴 단계의 직인화된 동검까지 포함된다. 서기전 4~1세기경에 주로 유행하였으나, 남한 지역에는 서기 2세기경까지 잔존한다. 한국식 동검은 요령식 동검을 계승하면서도 중원식 동검과 북방식동검의 일체형 구조와 구별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한반도가 독자적인 문화권을 이루면서 발전하였음을 잘 보여준다. 한국식 동검이 한반도에 출현하는 배경에는 여러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다. 과거에는 서기전 3세기 초 요동 지.. 2023. 8.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