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 : 숙 주 별 천 남 서 기
숙 : 숙종(1095~1105)
주 : 주전도감
별 : 별무반(윤관 건의)
천 : 천태종
남 : 남경 개창도감
서 : 서적포(관학진흥책)
기 : 서경(평양)에 기자사당
1. 숙종(1095~1105)
숙종은 고려전기 제1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095∼1105년이며, 친조카인 헌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1년 만에 왕위를 찬탈하여 즉위했다. 1097년에 주화를 만들어 통용시켰고, 1101년에는 은병을 만들었으며, 1102년에는 해동통보 1만 5천관을 만들어 문·무 양반과 군인들에게 분배했다. 양주에 남경을 두어 궁궐을 지었으며, 서경에 기자사당을 만들었다. 별무반을 처음 설치하고 여진정벌을 단행하여 일시 함흥평야 일대를 장악했다. 서경에 순행하여 동명왕묘에 제사하고, 병이 들어 개경으로 돌아오다가 수레 안에서 사망했다.
고려 숙종은 부지런하고 검소하며 과단성이 있고, 오경(五經) · 제자서(諸子書) · 사서(史書) 등에 해박하였다. 문종의 큰 기대를 받아 “뒷날에 왕실을 부흥시킬 자는 너다.”라는 평을 받았다. 1065년(문종 19) 2월에 계림공(鷄林公)에 봉해졌다. 친조카인 헌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1년 만에 왕위를 찬탈, 1095년에 즉위하였다.
1096년(숙종 1)에 6촌 이내의 혼인을 금하였다. 1097년(숙종 2) 12월에 주전관(鑄錢官: 화폐를 주조하는 관청)을 두고 주화를 만들어 통용하게 하였는데, 백성들이 화폐 사용을 편리하다고 여겼다. 1101년(숙종 6) 4월에는 우리나라의 지형을 본떠서 은병을 주조하였는데, 민간에서는 이를 활구(闊口)라 불렀다. 이듬해인 1102년(숙종 7)에는 고주법(鼓鑄法: 돈 만드는 법)을 제정해 해동통보 1만 5천관(貫)을 만들어 문 · 무 양반과 군인들에게 분배하였으며, 거리 양쪽에 점포(店鋪)를 두어 돈을 사용하는 이익을 알도록 하였다. 1099년(숙종 4)에는 김위제의 주장에 따라 남경을 중시하여 친히 터를 잡고 남경개창도감을 두어 궁궐을 조영하게 하였으며, 5년 만에 공사가 끝났다. 1102년 예부에서 “우리나라가 예의로 교화하기는 기자(箕子)로부터 비롯되었으니, 원컨대 그 분묘를 찾고, 사당을 세워 제사하십시오.”라고 하자, 이에 서경에 기자사당를 세웠다.
1104년(숙종 9)에 동여진(東女眞)의 오아속(烏雅束)이 기병을 정주(定州) 관문 밖에 주둔시켰다. 이에 임간을 판동북면행영병마사(判東北面行營兵馬事)로 임명하여 대비케 하였는데, 2월에 정주성(定州城) 밖에서 여진과 싸우다가 패하였다. 3월 윤관이 여진정벌을 꾀했으나, 역시 이기지 못하고 화약(和約)을 체결하고 돌아왔다. 이에 윤관이 “여진에게 패한 것은 저들은 기병이고, 우리는 보병이므로 대적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자, 기병인 신기군, 보병인 신보군, 승도(僧徒)들로 구성된 항마군 등 별무반을 처음 설치하고 여진정벌을 단행하여 여진족을 축출하고 잠시나마 함흥평야 일대를 장악하였다. 1105년(숙종 10) 서경(西京)에 순행하여 동명왕묘에 제사하고, 병이 들어 개경으로 돌아오다가 10월에 수레 안에서 죽으니 향년 52세였다. 태자 왕우(王俁: 예종)가 유조(遺詔)를 받들어 즉위하였다.
2. 주전도감
고려에서는 이미 996년(성종 15)에 철전(鐵錢)을 만들어 사용하게 하였는데, 이전에 미(米)·포(布) 등을 교환수단으로 사용해오던 가난한 일반백성들은 명목가치가 큰 철전을 사용할 수 없어 큰 불편을 겪게 되었다.
그리하여 6년 뒤인 1002년(목종 5) 다점(茶店)·주점(酒店)·식미점(食味店) 등의 점포에서만 철전을 사용하고 일반백성은 이전대로 물품화폐를 사용하게 하였다. 그런데 그 뒤 농업·공업의 생산력이 발전하여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고 기준이 명확한 금속화폐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하고, 한편으로는 송나라에 갔다온 의천(義天)이 금속화폐의 사용을 강력히 주장하자 1097년(숙종 2) 화폐주조의 업무를 담당할 관청으로서 주전도감이 설치되었다. 여기에서 만들어진 화폐는 주로 동전(銅錢)으로서, 1102년 12월 해동통보(海東通寶) 1만 5000관(貫)이 처음으로 만들어져 재추(宰樞)·문무양반(文武兩班)·군인에게 분배되었으며, 이어 삼한중보(三韓重寶)·동국통보(東國通寶)·동국중보(東國重寶)·해동중보(海東重寶) 등이 만들어졌다.
3. 별무반(윤관 건의)
1104년(숙종 9) 동북면행영병마도통(東北面行營兵馬都統)으로 여진정벌에 나섰다가 패하고 돌아온 윤관(尹瓘)의 건의에 따라 강력한 기병대의 편제를 갖춘 여진족에 대항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설치동기는 당시 이군육위(二軍六衛)를 기간으로 하는 기존의 군사체제가 붕괴되어 대규모의 군사동원이 불가능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조처라 하겠다.
조직은 기병과 보병으로 나뉘어 문무산관(文武散官)과 이서(吏胥)로부터 장사꾼과 노복에 이르기까지 모든 백성을 징발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가운데 말을 가진 자는 기병인 신기군(神騎軍)에 속했고, 말이 없는 자는 보병으로서 신보(神步)·도탕(跳盪)·경궁(梗弓)·정노(精弩)·발화(發火) 등의 군에 편입시켰는데, 나이 스물 이상이면서도 과거응시자가 아니면 모두 신보군에 속하게 하였다. 그 밖에 승도(僧徒)들로 구성된 항마군(降魔軍)이 있었다. 이와 같이 여러 계층에서 동원된 별무반을 서반과 모든 진(鎭)·부(府)의 군인과 함께 4계절 훈련시켜 대규모의 여진정벌 계획을 추진하였다. 계획이 실천에 옮겨지기 전에 숙종이 승하했으나 그 뒤를 이은 예종도 적극적으로 밀어붙였다. 특히, 예종은 즉위하자마자 곧 동계(東界)를 순시하게 하고 동계가발병마사(東界加發兵馬使)·동계행영병마사(東界行營兵馬使) 등을 두어 동계 방면에 대한 군사체제를 강화하였다. 그리고 1106년(예종 1) 7월 조정에서 동여진정벌에 대한 의론이 있었는데, 이 때 도병마사는 앞서 동여진과의 싸움에서 패한 것은 군령이 엄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하였다. 그래서 일찍이 현종 때 거란 침입시에 시행했던 군율을 따를 것을 청해 시행하게 하였다. 그 해 윤관과 오연총(吳延寵)이 숭인문 밖에서 신기군과 신보군을 사열한 것으로 보아 별무반의 편성이 신속하게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여진정벌의 주력부대가 별무반이었음을 볼 때, 도병마사가 제청한 군령은 바로 별무반을 중심으로 한 군율이라 하겠다. 이러한 엄격한 군율에 병기와 병술을 개량한 대병력의 별무반을 이끌고 1107년에 윤관은 여진족을 정벌하고 9성을 쌓는 공적을 세웠다. 별무반은 여진정벌이 끝남으로써 해체된 것으로 보이나, 임시적인 군사조직이었으나마 종전과 같은 직업군인이 아닌 전국적인 규모의 농민 중심의 군사조직이 생겨 고려의 군사제도에 새로운 변화를 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크다.
4. 천태종
천태종은 1097년(숙종 2)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에 의하여 창종(創宗)되었다. 천태종은 원래 중국불교 13종 중 가장 대표적인 종파의 하나로, 수나라의 지의(智顗)가 『법화경(法華經)』을 중심으로 천태교학(天台敎學)을 완성시킴으로써 창종되었다. 그는 천태종의 종조(宗祖)를 인도의 용수(龍樹)로 삼았고, 중국 제1조(祖)는 북제(北齊)의 혜문(慧文)을, 제2조는 그의 스승 혜사(慧思)로 삼았으며, 그 자신은 제3조가 되었다.
중국에서 이루어진 천태교학이 우리나라에 전하여진 것은 고려의 대각국사가 천태종을 창종하기 훨씬 이전인 삼국시대부터였다. 백제의 현광(玄光)은 중국으로 건너가서 천태 제2조인 혜사의 지도를 받아 법화삼매(法華三昧)를 증득(證得)하고 스승의 인증(印證)을 얻어 귀국한 뒤, 고향인 웅주옹산(翁山)에서 자신이 증득한 법화삼매와 스승으로부터 배운 『법화경』의 진리를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전하였다. 신라의 연광(緣光)도 수나라로 들어가서 지의의 지도를 받아 큰 깨달음을 얻었으며, 그 역시 본국인 신라로 돌아와서 천태교학과 『법화경』의 진리를 전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또, 신라의 법융(法融)·이응(理應)·순영(純英)은 당나라에 건너가서 천태종의 제8조 좌계현랑(左溪玄朗)으로부터 천태교법(天台敎法)을 얻고, 730년(성덕왕 29) 귀국하여 교법을 전하는 데 힘썼다.
고려 초 광종 때에는 중국 오월(吳越)의 왕이 사신을 보내어서 천태관계의 전적(典籍)을 얻고자 하였으므로, 제관(諦觀)으로 하여금 고려에 있던 천태종 관계서적들을 전하게 하여 침체되었던 중국의 천태종 부흥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제관과 같은 때의 인물로 『화엄경』과 『기신론(起信論)』을 공부하고 중국으로 건너가 천태종의 제16조가 된 의통(義通)도 고려의 고승이었다. 그는 제관과 더불어 송나라의 천태종을 중흥시켰고, 그 법맥(法脈)은 지례(知禮)―범진(梵臻)―종간(從諫)의 순으로 이어졌으며, 고려의 대각국사는 종간으로부터 천태교법을 전수받고 귀국하여 천태종을 창종한 것이다. 대각국사는 본래 화엄종(華嚴宗)의 승려였으나 이 땅에 천태종이 성립되지 않았음을 개탄하다가 송나라에 들어가서 당시 중국의 모든 교파와 학종(學宗)을 두루 살피고 섭렵하면서 천태교학에 몰두하였다. 그는 종간으로부터 천태교학을 배운 뒤 천태종의 완성자인 지의의 탑(塔)을 참배하면서, 귀국하면 고려에 꼭 천태교학을 펼칠 것을 서원한 바 있었다. 귀국한 지 12년 뒤인 1097년 그를 위하여 세워진 국청사(國淸寺)의 주지로 취임하여 천태종을 창종하고 천태교학을 강의하였는데, 이 때 1,000명이 넘는 학승(學僧)들이 모여 들어 배움을 구하였다. 2년 후인 1099년 천태종 자체에서 행한 첫 승선(僧選)을 행하였고, 1101년 국가의 주관 아래 천태종의 대선(大選)인 천태선(天台選)이 시행됨에 따라 국가의 공인을 받은 한 종파로 성립되었다.
대각국사는 선교(禪敎)의 대립을 융화하고 통화종단(統和宗團)을 구현하고자 『법화경』의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에 근거한 교관겸수(敎觀兼修)의 사상을 높이 제창하고, 천태종을 창종한 것이다. 그 당시의 천태종은 개성의 국청사를 중심으로 오대산(五臺山)·수암산(水巖山)·조연산(槽淵山)·안락산(安樂山)·마리산(瑪璃山)·남숭산(南崇山) 등 전국에 6대 본산(本山)을 두어 천태교학을 널리 전파하였다. 대각국사의 뒤를 이어 천태종을 이끈 승려는 160여 명에 달하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승려는 교웅(敎雄)이다. 구산문(九山門)의 선종 승려였던 그는 대각국사가 국청사에서 천태교학을 설할 때 가르침을 받고 천태종 승려가 되었으며, 최초의 천태종 대선에서 상상품(上上品)에 합격하여 그의 제자 덕소(德素)와 함께 대각국사 이후 천태종을 크게 발전시켰다. 또한, 덕소의 문하에서 승지(承智)와 재사(再思) 등 1,200여 명의 제자가 배출되어 천태종을 크게 떨치게 하였으나, 그 뒤에는 다소 침체되었다. 한때 침체된 천태종을 다시 중흥시킨 인물은 요세(了世)이다. 그는 1208년(희종 4) 월생산(月生山) 약사사(藥師寺)에서 천태교학을 익혀 크게 깨달은 바가 있었다. 그 때부터 강의와 설법을 하며 매일 53존불(尊佛)에 각각 12번씩의 절을 하면서 참회하였다. 1216년(고종 3) 만덕산(萬德山) 백련사(白蓮社)로 자리를 옮겨 천태종 중흥에 힘썼으며, 1232년 보현도량(普賢道場)을 열어 전통적인 법화삼매의 수행을 지도하였다. 그때 이 결사(結社)에 참석한 자들은 매일 『법화경』을 한 번 독송하고, 준제신주(准提神呪)를 1,000번, 아미타불(阿彌陀佛)을 1만 번 부르는 것을 일과로 삼았다. 또, 그는 천태종의 가장 중요한 천태삼대부(天台三大部:지의의 法華文句·法華玄義·摩訶止觀)를 요긴하게 간추려서 삼대부 절요(節要)를 만들어 천태교학을 널리 전파하였다. 요세의 뒤를 이은 천인(天因)과 천책(天頙) 등의 제자들과 그의 법손(法孫)들은 백련사를 중심으로 하여 천태종풍을 널리 선양하였다. 개성의 국청사에 중심을 두었던 천태종이 요세 이후에는 전라남도 강진(康津) 백련사로 중심이 옮겨져 새롭게 확장을 본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그의 건국을 기념하기 위하여 1392년 큰 법회를 베풀었을 때 현견(玄見) 등 천태종의 대덕(大德) 330여 명을 참석하게 하였고, 1394년(태조 3) 천태종의 고승 조구(祖丘)를 국사(國師)로 삼았다. 태조의 보호 아래 천태종은 다시 활기를 되찾았고, 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다. 그런데 1406년(태종 6) 3월 의정부계청(議政府啓請)에는 11개 종파 이름이 보이는데, 거기에 천태소자종(天台疏字宗)과 천태법사종(天台法事宗)의 이름이 들어 있어 천태종이 둘로 나누어졌음을 알 수 있으나 언제 두 종파로 갈라졌는지는 알 수 없다. 이 두 종파는 1407년 초 다시 조정에 의하여 하나의 천태종으로 합쳐지게 되었다. 그러나 천태종은 1424년(세종 6) 또다시 조계종(曹溪宗)·총남종(摠南宗)과 함께 선종이라는 이름으로 합쳐졌다. 당시 천태종 마지막 고승인 판천태종사(判天台宗事) 행호(行乎)는 황폐해진 백련사를 중창하여 천태종의 중흥을 도모하였으나, 그 뒤 천태종은 다시 중흥을 보지 못하였다.
5. 남경 개창도감
남경 개창도감은 고려시대 남경(南京 : 지금의 서울)의 창건을 관장하였던 임시관서를 일컫는다. 1101년(숙종 6)『도선비기(道詵祕記)』에 의거, 도읍을 남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한 위위승동정(衛尉丞同正) 김위제(金謂磾)의 ‘남경건도의(南京建都議)’를 계기로 설치된 관청이다. 그런데 당시 김위제가 이러한 주장을 하게 된 배경은 숙종이 권신 이자의(李資義) 일족의 세력을 제거하고 조카인 현종의 왕위를 찬탈하였는데, 마침 이 해에 남경 부근에 심한 서리와 우박이 내리자 이는 정변에 따른 찬탈과 살육에 대한 하늘의 응징이라는 생각에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남경창건을 주장하게 되었다.
예로부터 남경은 그 지리적·역사적인 중요성으로 주목을 받아온 곳이며, 이미 문종 때 『송악명당기(松岳明堂記)』라는 지리도참서에 의하여 남경에 장원정(長源亭)을 지어 서경의 좌우궐(左右闕)과 함께 순어지소(巡御之所)로 삼았다가 별다른 반응이 없자 중지한 일도 있었다. 그러나 남경개창도감의 설치와 함께 활발해진 남경사업을 위하여 왕은 최사추(崔思諏)·윤관(尹瓘)·문상(文象)·음덕전(陰德全) 등을 양주에 파견하여 궁궐터로 적당한 장소를 찾아보게 하였다. 이리하여 1104년 5월에 지금의 서울과 비슷한 지역에 남경궁(南京宮)을 낙성하였다. 그 규모는 동은 대봉(大峰 : 지금의 駱山), 서는 기봉(岐峰 : 지금의 鞍山), 북은 북악(北岳), 남은 지금의 신용산(新龍山)의 남쪽 끝까지 걸쳐 있었다. 그리고 궁성도 쌓은 것은 확실하나 도성(都城)의 존재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6. 서적포(관학진흥책)
서적포는 고려 숙종 때 국자감(國子監)에 두었던 출판부로 관학 진흥책의 일환으로 설치된 부서이다. 축문(祝文)과 경적(經籍)을 맡아보던 비서성(秘書省)에 보관되어 있던 책판(冊板)이 쌓이고 훼손된 것이 많아지자, 1101년(숙종 5) 3월 서적포를 설치하여 모든 책판을 이 곳에 옮겨 인쇄, 보급하게 하였다. 그 서적간행은 비서성의 관장하에 이루어졌고, 관학(官學)을 진작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7. 서경(평양)에 기자사당
평양성 밖 기림리(箕林里) 기자묘 옆에 있었다. 광해군 때 사액(賜額)된 뒤로는 숭인전(崇仁殿)으로 불렀으나 기자전(箕子殿)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1102년(숙종 7) 정당문학 정문(鄭文)의 건의로 1107년에 처음 건립되었다. 이후 고려의 잡사(雜祀)에 포함되어 명종 때는 제사를 위한 토지 50결이 지급되었고, 공민왕 때는 두 차례에 걸쳐 수리되었다. 그 뒤 조선시대에는 숭유정책으로 기자가 존숭되면서 기자사도 더욱 중시되었는데, 세종 때에는 묘정비(廟庭碑)를 세우고 참봉 2인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다. 1412년(태종 12)부터는 기자사에 단군을 함께 배향했는데, 1429년(세종 11) 인근에 단군사당을 별도로 지어 독립시켰다. 1612년(광해군 4) 기자사를 숭인전으로 고쳐 사액하고, 선우식(鮮于寔)을 기자의 후손이라 하여 숭인감(崇仁監, 정6품)에 임명해 그 직을 세습하게 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이후에는 평안감사가 선우씨 가운데서 추천해 임명하게 하였다. 그 뒤 1637년에는 없어진 묘정비를 다시 세우고 숙종·영조 때는 여러 차례 조신을 보내어 제사하였다. 이 건물은 정전(正殿)이 3가(架)로 이루어진 세칸, 동·서로 행랑이 각각 세개이며, 신문(神門)이 세개, 동·서로 좁은 문이 각각 하나이고 대문이 셋이었으며, 비각(碑閣)이 세칸으로 소문(小門)이 두 개 있었다. 평양의 기자사 외에도 평안도 용강현 황룡산성과 성천부 백령산(白嶺山)의 영전(影殿) 및 평양의 인현서원(仁賢書院)에서도 기자의 초상화를 봉안하고 제사하였다.
'한국사 두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종 두문자 : 인 자 유 묘 사 경 향 (0) | 2023.08.14 |
---|---|
예종 두문자 : 예 동 감 구 혜 복 무 청 보 양 대 (0) | 2023.08.14 |
문종 두문자 : 문 경 사 천 흥 남 동 선 (0) | 2023.08.13 |
정종 두문자 : 정 팔 모 천 완 (0) | 2023.08.13 |
덕종 두문자 : 덕 천 압 도 (0) | 2023.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