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 송 사 영 은 순 일 우 말 주 모 선 문
송 : 송화강 유역(만주 길림시 일대)
사 : 사출도(마가, 우가, 구가, 저가 : 목축)
영 : 영고(12월 수렵사회의 전통)
은 : 은력(한나라 초기의 역법 사용)
순 : 순장
일 : 일책12법(도둑질한 자는 물건 값의 12배 배상)
우 : 우제점법
말 : 말
주 : 주옥
모 : 모피
선 : 3c말 선비족 침략으로 쇠퇴
문 : 고구려에 멸망(494 문자왕 : 광개토 동부여 정벌)
1. 송화강 유역(만주 길림성 일대)에서 건국
부여는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농경과 목축을 주로 하였고, 특산물로는 말, 주옥, 모피 등이 유명하였다. 부여는 이미 서기 1세기 초에 왕호를 사용하였고,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는 등 국가의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북쪽으로는 선비족, 남쪽으로는 고구려와 접하고 있어서, 3세기 말 선비족의 침략을 받아 크게 쇠퇴하였고, 결국은 고구려에 편입되었다(494).
부여에는 왕 아래에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와 대사자, 사자 등의 관리가 있었다. 이들 가(加)는 따로이 행정 구획인 사출도(四出道)를 다스리고 있어서, 왕이 직접 통치하는 중앙과 합쳐 5부를 이루었다. 또, 가들은 왕을 추대하기도 하였고, 수해나 한해를 입어 오곡이 잘 익지 않으면 왕에게 그 책임을 묻기도 하였다. 그러나 왕이 나온 대표 부족의 세력은 매우 강해서 궁궐, 성책, 감옥, 창고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으며,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들을 부장품과 함께 껴 묻는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부여의 법으로는 4조목이 전해지고 있다. 그 내용은,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하며,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에는 물건값의 12배를 배상하게 하고,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부인은 사형에 처한다는 것이었다. 부여의 풍속에는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이것은 농경 사회의 전통을 보여 주는 것으로, 12월에 열렸다. 이 때에는 하늘에 제사하고, 가무를 즐기며, 죄수를 풀어 주기도 하였다. 전쟁이 일어났을 때에도 제천 의식을 행하고, 소를 죽여 그 굽으로 길흉을 보는 점복을 행하기도 하였다.
부여는 연맹 왕국의 단계에서 멸망하였지만, 우리 역사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 고구려나 백제의 건국 세력은 부여의 한 계통임을 자처하였고, 또 이들의 건국 신화도 같은 원형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2. 사출도(마가, 우가, 구가, 저가 : 목축)
부여국은 각 지역에 산재하여 있는 부족을 지배하는 부족장들이 연합하여 형성되었다. 그 중 유명한 큰 부족으로는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馬加)·우가(牛加)·구가(狗加)·저가(猪加) 등이 있었다. 그 중 세력이 큰 부족장은 수천호, 작은 부족장은 수백호 정도로 구성된 집단을 다스렸다. 중앙정부는 사방으로 뻗어 있는 이 도로망을 통하여, 자치적인 여러 부족집단을 통할하였다. 이 사출도로 구성된 부여국의 지방지배구조를 ‘윷’판의 구도와 비교, 설명하는 견해도 있다.
3. 영 : 영고(12월 수렵사회의 전통)
『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 부여조(魏書 東夷傳 夫餘條)의 기록을 보면, “은력(殷曆) 정월에 하늘에 제사하고 나라 사람들이 크게 모여서 연일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니, 이름 하여 영고(迎鼓)라 한다. 이때에는 형벌과 옥사를 판결하고 죄수들을 풀어준다(以殷正月祭天 國中大會 連日飮食歌舞 名曰迎鼓 於是時 斷刑獄解囚徒)”고 하였다. 『후한서(後漢書)』에도 이와 비슷한 기록이 있다. 다만, 첫머리에, “12월에 하늘에 제사하고 크게 모인다. 연일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니, 이름 하여 영고라 한다(以臘月祭天大會 連日飮食歌舞 名曰迎鼓)” 라 하여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은력의 정월은 하력(夏曆)이나 오늘날의 음력으로 치면 12월이므로 같은 내용이다. 고대사회에서 사람들은 농경생활에 익숙해지면서 자연의 질서를 발견하게 되고, 나아가 그 질서에 순응함으로써 사람들의 생활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공동체적인 질서 속에서 집단적인 행동이 가능해져 그것은 종교적 제의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 것이 추수감사제였다. 고구려의 동맹(東盟), 동예(東濊)의 무천(舞天), 삼한의 시월제(十月祭), 부여의 영고가 그것이다. 이들은 모두 추수가 끝나는 10월에 행해졌으나, 영고만은 은력 정월, 곧 12월에 행해졌다.
이것은 아마도 원시시대 수렵사회의 전통을 계승했기 때문인 듯하다. 흉노족(匈奴族)의 경우 각 분지(分地) 내의 각각의 집단들을 누층적으로 편제하는 형태로 국가체제를 확립했기 때문에 부족적 차원의 제천행사를 국가적 차원의 행사로 승격시켜 흉노 전체의 결속력을 높이는 한편 각 집단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으며, 제천행사시 제장회의(諸長會議)를 개최하여 국가의 중대사를 의결하였다. 부여 역시 사출도(四出道)로 지방을 일정 단위로 나누어 통제하던 체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을 고려할 때 국중대회(國中大會)의 모습이 흉노와 비슷했을 것이다. 부여족 전체적인 행사이므로 ‘국중대회’라 하였다.
4. 은력(한나라 초기의 역법 사용)
중국 한(漢) 이전에 사용되었다는 6종류의 역법인 고육력(古六曆) 가운데 하나이다.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으로서 한(漢) 초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세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한(漢) 이전에 ‘고육력(古六曆)’이라 하여 황제력(皇帝曆), 전욱력(顓頊曆), 하력(夏曆), 은력(殷曆), 주력(周曆), 노력(魯曆) 등 여섯 가지의 역법(曆法)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 고육력(古六曆)은 모두 옛 제왕이나 왕조의 이름을 붙이고 있지만, 주(周)와 진(秦) 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은력(殷曆)도 고육력(古六曆) 가운데 하나로서 그 도읍지의 이름을 따서 은(殷)이라고도 불리는 상(商) 왕조의 명칭에서 비롯되었지만, 실제 상(商)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전국시대(戰國時代) 이후에 만들어져 한(漢) 초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육력(古六曆)은 모두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이며 365일과 1/4일을 1회귀년으로 정하고 있어 ‘사분력(四分曆)’이라고도 한다. 각기 한 해의 첫 달인 세수(歲首) 등을 달리 두고 있는데, 은력(殷曆)은 동지(冬至)가 있는 다음 달인 건축월(建丑月)을 세수(歲首)로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진(秦) 이후 한(漢) 초기까지 사용되었던 전욱력(顓頊曆)은 역서(曆書)의 발굴로 그 내용이 일부 밝혀지고 있지만, 은력(殷曆)을 포함한 나머지 고육력(古六曆)의 자세한 내용은 아직 정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편 상(商)의 유적지에서 발견된 갑골문(胛骨文)에는 당대의 문자와 의례만이 아니라 천문과 역법(曆法)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해석·복원하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갑골문은 상(商) 시대에 이미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에 기초해 간지표(干支表)를 완성하여 날짜를 산정하는 일력(日曆)으로 사용하고 있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상(商)의 사람들은 태양이 10개가 있어 그것이 교체되어 10일마다 한 번씩 돈다고 생각했다. 10개의 태양에는 각각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이름을 붙였으며, 하늘에 이들이 번갈아 떠오르는 주기인 10일을 순(旬)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십이지(十二支)를 사용하여 상(商) 시대에는 이미 하루, 10일, 한 달, 일 년을 단위로 날짜를 구분해 산정하는 역법(曆法)의 체계가 어느 정도 완성되어 사용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둥쭤빈(董作賓, 1895~1963)은 갑골문(胛骨文) 연구에 기초하여 《은력보(殷曆譜)》 상·하편을 1945년에 간행하여 상(商)의 역법(曆法)을 복원하려 했다. 그는 상(商) 시대에 이미 정연한 역법(曆法)을 사용하고 있다고 간주하여 사분력(四分曆)으로 갑골문의 역일(曆日)을 정리하였다. 둥쭤빈의 연구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비판과 보완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5. 순 : 순장
순장은 왕과 귀족 등 권력자가 사망하여 무덤에 매장될 때 그에 종속되어 있던 사람을 함께 죽여 매장하는 장례 풍습이다. 순장은 세계사적으로 권력이 집중되거나 국가가 발생하는 단계에 출현하였다. 고대 한반도에서는 3세기 후반 금관가야에서 처음 출현하였으며, 5세기에 아라가야, 대가야, 비화가야, 신라 중앙과 지방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성행하다가 6세기 중엽에 소멸되었다.
고대 한반도의 순장은 『삼국지(三國志)』 등에 부여의 순장,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신라의 순장에 관한 기록이 전한다. 이 중 부여의 순장은 『삼국지』 위서 동이전(魏書 東夷傳) 부여조(夫餘條)와 『후한서(後漢書)』 동이열전(東夷列傳) 부여국조(夫餘國條)에 기록되어 있으며, 부여에서는 귀인(貴人)이 죽으면, "사람을 죽여 순장을 하는데 많을 때는 백 명이나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진서(晉書)』 열전(列傳) 부여국전(夫餘國傳)에 부여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산 사람으로 순장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부여에 순장이 있었음은 분명해 보이나, 중국 길림성(中國 吉林省) 모아산고분군(帽兒山古墳群)을 비롯한 부여의 주요 고분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는 100여 명에 이르는 순장자가 확인된 사례는 아직 없다.
6. 일책12법(도둑질한 자 물건 값 12배 배상)
부여시대의 법. 2세기 후반에서 3세기 전반의 사실을 전하는 ≪삼국지≫ 부여전에 의하면, 당시 부여시대의 법이 엄하여서 사람을 죽인 자는 죽이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으며, 도둑질한 자는 12배를 배상하도록 하였다. 만약 배상할 수 없는 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으나, 고조선 사회의 경우로 미루어보아 노비로 삼았으리라고 여겨진다. 이 법은 감옥·군대·관료조직 등과 함께 당시 부여사회의 사유재산제를 보장하고 그 지배질서를 유지하는 주요한 권력장치의 하나였다. 살인자는 죽인다는 식의 형벌은 초기계급사회에서 보이는 응보주의적(應報主義的)인 면을 이은 것이다. 부여의 법은 아마도 성문법적(成文法的)인 형태는 아니고, 전대 이래의 관습법적인 것을 보완해 나갔던 형태로 보인다.
7. 우제점법
3세기 후반에 저작된 중국의 역사책인 『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東夷傳) 부여조에는 “전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하늘에 제사지내고, 그 길흉을 판단하는 방식으로 소를 죽여서 굽의 모양을 보아 합하는 것을 길하다고 여겼고, 벌어지는 것은 흉한 것으로 여겼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장초금(張楚金)이 지은 『한원(翰苑)』 권30 고려(高麗 : 여기에서는 고구려를 가리킴.)조에 인용된 『위략(魏略)』에 의하면 고구려에도 이와 같은 관습이 있었다고 하며, 한편 경상남도 창원시 웅천패총(熊川貝塚)에서 6점의 복골(卜骨)이 나온 것으로 미루어볼 때 삼한사회에서도 역시 이와 같은 관습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본디 점치는 방법은 민족에 따라서 각기 조금씩 그 방법을 달리하고 있으나, 동물의 희생을 이용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동물의 갑골(甲骨)을 작렬하여 길흉을 판단하는 방식과 그 내장의 변화를 가지고 판단하는 방식의 두가지가 있는데, 부여의 우제점법은 중국고대 은나라의 갑골점법과 마찬가지로 앞의 경우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한국과 중국 이외의 민족에도 퍼져 있는데, 학술용어로는 이를 ‘scapulimancy’ 혹은 ‘omoplatoscopy’라고 한다.
8. 말, 주옥, 모피 : 특산물
9. 3c말 선비족 침략으로 쇠퇴
국내 역사에는 고구려와 부여에 관련된 기사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3세기경 부여에 꽤 많은 피해를 입혔는데, 부여를 공격해서 무려 50,000명을 포로로 끌고 가기까지 했다. 특히 전연의 모용황은 고국원왕이 재위 중이던 고구려를 공격해서 수도 환도산성을 함락시키는 동시에 고국원왕의 아버지 미천왕의 능을 파헤쳐 시신을 도굴했다. 이후 계속 수세에 몰리던 고구려는 광개토대왕 시기에 이르러서야 전연의 후신인 후연을 몰아내고 요동을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북주의 무제와 배산 전투를 치러 온달이 활약하기도 했다. 이후 고구려는 선비족 출신의 국가인 수나라, 당나라와 나라의 존망을 건 대전쟁을 치르게 되었다.
'한국사 두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저 두문자 : 옥 민 골 (0) | 2023.08.09 |
---|---|
고구려 두문자 : 고 데 동 맥 부 국 (0) | 2023.08.09 |
제천행사 두문자 : 부영(이와) 고동(이는) 동무(다) (0) | 2023.08.09 |
단군신화 수록 역사서 두문자 : 유 제 세 응 동 (0) | 2023.08.09 |
고조선의 역사 두문자 : 관 제 연 진 준 세 위 박 위 왕 준 한 108 우 멸 (0) | 2023.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