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물마립간 : 내 기 형 고 전 왜 호
내 : 내물마립간(356 ~ 402)
기 : 고대국가 기틀 마련(낙동강 유역 진출, 진한 완전 장악)
형 : 형제상속 확립(김씨)
고 : 고구려 통해
전 : 전진과 수교(370 사신 위두)
왜 : 왜구침입(399)
호 : 호우명 그릇(광개토 왜구격퇴 400 + 내정간섭)
1. 내물마립간(356 ~ 402)
내물마립간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17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356년∼402년이며, 흘해이사금이 후계자 없이 죽자 왕위를 계승했다. 마립간은 이사금보다 더욱 강화된 왕권을 상징하는 왕호로, 내물마립간 이후부터 박·석·김 3성이 교대로 왕권을 계승하는 대신 김 씨에 의한 독점적 세습이 이루어졌다. 고구려 사신의 안내를 받아 전진과 외교관계를 수립했고, 잦은 백제의 침략을 고구려 광개토왕의 군사적 지원으로 물리쳤다. 국가체제가 정비되고 왕권이 강화되었지만 고구려의 원조를 받지 않을 수 없었고 고구려의 내정간섭도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2. 고대국가 기틀 마련(낙동강 유역 진출, 진한 완전 장악)
왕호는 『삼국사기』에는 '이사금(尼師今)'으로 기록되어 있고, 『삼국유사』에는 ‘마립간’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내물왕 때에 ‘마립간’의 왕호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삼국유사』의 설을 따르고 있다. 마립간은 수석장(首席長) 또는 후세의 군장(君長)에 대한 존칭어인 상감(上監)에 해당하는 왕호로 짐작된다. 왕호가 마립간이었다는 사실은 신라의 전신인 사로국(斯盧國)이 국가적 면모를 일신해 국가체제가 정비됨으로써 왕권이 보다 강화되어 더욱 존엄성이 있는 왕호가 필요했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로써 내물마립간은 신라의 육부 대표와 지배층들로 구성된 화백회의의 중앙정청(中央政廳)인 남당(南堂)에서 정사를 주재하는 명실상부한 최고 통치자로서 군림하게 되었다. 또한 내물마립간 이후부터는 박(朴) · 석(昔) · 김(金)의 삼성(三姓)이 왕위를 교대로 계승하는 대신 김씨에 의한 왕위의 독점적 세습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현상은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가능했을 것이다. 내물왕 때 고구려의 지원하에 사로국이 진한(辰韓) 여러 나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고, 백제와 가야 및 왜의 세력을 격파하면서 지배질서를 확립해 갔다는 점에서는 내물왕대설이 타당성을 지닌다.
3. 형제상속 확립(김 씨)
재위 356∼402. 성은 김 씨. 구도갈문왕의 손자이며, 각간(角干) 말구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휴례부인 김씨이고, 왕비는 미추이사금의 딸인 보반부인 김씨이다. <삼국사기>에는 미추이사금의 사위라고 했으나, <삼국유사> 왕력(王曆)에는 미추이사금의 아버지인 구도갈문왕의 아들, 또는 미추이사금의 동생인 각간 말구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미추이사금의 동생 또는 조카로도 알려져 있다. 이처럼 계보는 확실하지 않으나, 미추이사금과 근친관계가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이 때문에 흘해이사금이 후계자 없이 죽은 뒤에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것 같다.
4. 고구려 통해 전진과 수교(370 사신 위두)
신라가 고대국가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내물마립간의 이러한 체제 내적인 정비는 중국과의 국제관계에도 관심을 기울이게 해, 377년(내물마립간 22)과 382년 두 차례에 걸쳐서 고구려 사신의 안내를 받아 부견(苻堅)의 전진(前秦)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게 되었다. 특히 382년에 전진에 사신으로 파견된 위두와 전진의 왕 부견 사이의 대화는 당시 신라의 사정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태평어람(太平御覽)』주3에 인용되어 있는 『진서(秦書)』의 기사에 의하면 “그대가 말하는 해동(海東 : 新羅)의 일이 예와 같지 않으니 어찌 된 일인가.”라는 부견의 질문에 대해 위두는 “중국에서 시대가 달라지고 명호(名號)가 바뀌는 것과 같으니 지금 어찌 같을 수 있으리오.”라고 대답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사회에 변화가 있었으므로 신라사회의 변화도 당연하다는 것으로 신라의 고대국가 체제 정비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와 같은 신라와 전진의 외교관계는 곧바로 중국문물 수입의 계기로 작용한 듯하다. 내물마립간대에 와서 신라가 고대국가체제의 기틀을 다지게 된 계기는 백제 근초고왕의 마한 정복과 백제군의 낙동강 유역으로의 진출이 신라에 자극을 주었을 것이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5. 왜구침입(399)
당시 백제가 왜(倭)와 연합한 다음 왜병을 끌어들여 364년과 393년 등 여러 차례 신라를 침범하자 이들에 대항할 목적으로 신라 내부를 통합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고, 그 결과 체제정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단독으로는 백제와 왜의 연합세력을 물리칠 수 없었던 신라는 마침내 우호적 관계에 있던 고구려의 군사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399년에 내물마립간이 군사적 지원을 요청하자 고구려의 광개토왕은 이듬해 5만 명의 보병 · 기병 군사를 신라의 국경지대로 파견해 백제군과 연합한 왜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6. 호우명 그릇(광개토 왜구격퇴 400 + 내정간섭)
고구려의 신라에 대한 군사적 지원은 결과적으로 신라의 자주적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고구려와의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392년에는 내물왕이 고구려의 강성함을 두려워해 이찬 대서지의 아들 실성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내야 하였다. 401년에 고구려로부터 귀국한 실성이 내물마립간이 죽은 뒤에 여러 아들들을 배제시키고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것도 고구려의 압력이 배후에서 작용했을 것이다. 상황이 이런 만큼 신라가 내물마립간 때에 대내적으로는 비록 고대국가체제의 기틀을 다지고 있었지만 대외적으로는 고구려에 대하여 군사적 지원을 요청해야 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의 내정간섭으로 인해 자주적인 발전 기반을 확고히 마련하지 못하였다.
호우명 그릇은 경주 노서동 140호 신라 적석목곽묘(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되었다. 1946년 발굴조사 당시 무덤에서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崗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이라는 명문이 있는 청동 그릇이 출토되어 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다. 광개토왕이 죽은 지 3년이 지난 415년(을묘년)에 광개토왕을 기리며 만든 10번째 그릇으로, 광개왕릉비의 비문과 같은 서체이다. 광개토왕이 신라의 요청으로 400년에 5만의 병력을 내려 보내 가야와 왜를 격파하는 등 위기에 처한 신라를 구원하였던 만큼, 광개토왕을 위한 제기가 이후 신라로 유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이 청동 그릇의 제작 연대를 중요시 여겨 그릇이 출토된 무덤(호우총)의 주인공을 내물왕의 아들이었던 복호(卜好)로 추정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같이 부장된 신라 토기의 연대로 볼 때 무덤은 청동 그릇이 제작된 지 100여 년이 지난 6세기 초에 조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호우명 청동 그릇은 고구려와 신라 양국의 관계를 보여주는 실물 자료로 매우 의미있는 유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1945년 9월 초대 국립박물관장에 임명된 김재원의 소원은 우리 힘으로 직접 학술 발굴을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당시 한국에는 발굴 전문가라고 할만한 사람이 없었다. 이에 김재원은 일본으로 돌아가려던 조선 총독부 박물관(해방 후 국립박물관)의 아리미쓰 주임에게 자문하여 1946년 경주 노서리의 묘를 발굴하였다.
(1946년) 5월 14일...... 청동제 용기를 채취하다. 용기 밑면에 명문(銘文)이 나타나 큰 '센세이션'을 일으키게 하였다. 명(銘)은 양각으로 4자 4행 합 16자로서 16자 외에도 무슨 기호 같은 것이 있다.
-「호우총 발굴 보고서 」(1948)
해방 후 처음 우리 손으로 이뤄진 발굴에서 큰 성과를 거뒀다. 발굴한 청동 용기(호우) 밑면에 "을묘년 국강상 광개토지 호태왕 호우십(乙卯年國昰上廣開土地好太王 壺杆十)" 이라는 명문(銘文), 즉 새겨 놓은 글이 있었다. 게다가 만주에 있는 광개토 대왕릉비에 적힌 "국강상 광개토경 평안 호태왕"과 내용이나 글씨체가 아주 흡사하여 고구려에서 동일 집단이 제작한 것으로 보였다. 신라 수도 경주에서 고구려 왕의 이름이 적힌 유물이 나왔으니‘센세이션'을 일으킬 만했다.
그런데 왜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이름이 적힌 그릇이 신라 땅 경주에서 나왔을까?
그 단서는 광개토 대왕릉비에 적혀 있다. 비문에 따르면 400년에 광개토 대왕이 신라의 요청을 받고 5만 명의 군사를 보내 신라를 침범한 가야와 왜 연합군을 몰아냈다. 이 일로 신라는 가야보다 우위에 서게 되었고, 고구려는 신라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뒷받침하는 것이 ‘광개토 대왕'명 호우다. 그릇에 적힌 ‘을묘년'은 광개토 대왕이 죽고 3년 뒤인 415년이다. 따라서 이 그릇은 광개토 대왕을 추모하는 일종의 ‘기념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기념품이 고구려의 영향력 아래 있던 신라로 오게 되었고, 다시 어느 왕족의 무덤에 묻혔다가 1,500여 년 만에 세상에 나온것이다.
고작 16글자밖에 적혀 있지 않은 그릇이지만, 사료적 가치는 어느 역사 기록 못지 않은 소중한 유물이다. 그런데 아직 못 푼 문제가 몇 가지 있다. 하나는 명문 끝의 ‘十'자 이다. 여백을 메운 장식으로 이해하거나, 숫자 10으로 보고 열 번째 만든 그릇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렇게 되면 이 호우는 한정판 기념품이 된다. 더 어려운 문제는 날자 맨 위 가운데에 있는 ‘#' 부호다. 학자들은 "귀신을 쫓는 주술 표시다.", "제작자 표시다." 등 여러 해석을 한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이다. 고대의 해시태그는 아닐까? 각자의 상상력을 발휘해 보자
'한국사 두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c 백제 왕 두문자 : 비 나 개 북 위 문 웅 동 결 탐 (1) | 2023.08.10 |
---|---|
광개토대왕 두문자 : 광 영 후 비 아 숙 왜 동 정 (0) | 2023.08.10 |
침류왕 두문자 : 침 동 불 수 (0) | 2023.08.10 |
근초고왕 두문자 : 근 마 원 안 부 서 동 칠 아 서 (0) | 2023.08.10 |
소수림왕 두문자 : 소 불 태 율 전 (0) | 2023.08.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