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35 조선후기 군사제도 5군영 두문자 : 훈 어 총 수 금 5군영 : 훈 어 총 수 금 훈 : 훈련도감(선조 1593, 용병제) 어 : 어영청(인조 1623 서울 도성숙위) 총 : 총융청(인조 1624 북한산성) 수 : 수어청(인조 1627 남한산성) 금 : 금위영(숙종 1682 수도경비 국왕숙위) 1. 훈련도감(선조 1593, 용병제) 훈련도감이라 함은 임진왜란 이후 서울을 수비하기 위해 창설한 군영을 말한다. 훈련도감은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 재위 1567~1608)가 몽진(蒙塵)을 갔다가 서울로 다시 돌아온 1593년(선조 26) 10월 설립되었다. 임진왜란 초반에 패전으로 국가의 존립이 위험한 상황에서 왜군의 조총에 대항하는 군사력을 키우고 국왕의 시위, 서울의 경비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나타난 논의가 훈련도감의 창설로 이어졌다. 훈련도감의 설립은 포수의.. 2023. 8. 23. 훈민정음 창제한 임금에게 왜 '세종'이라 명명한 것일까? 한글 글자를 창제한 사람은 세종대왕이고, 그 글자에 이름을 부여한 사람은 최세진이고, 이를 오늘날에 맞게 새롭게 편집한 사람은 주시경 선생입니다. 우선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397년(태조 6년) 5월 15일(음력 4월 10일), 한성 준수방(서울 종로구 통인동)에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당시 정안군이던 아버지 태종과 어머니 민씨(원경왕후)의 여섯번째 자녀이자,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날 당시 형 양녕대군 이제, 효령대군 이보와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등 동복 친누나 세 명이 있었다. 아명은 막동(莫同)이고, 이름은 도(祹)이다. 이름은 이도이고 묘호가 세종이다. 여기서 묘호(廟號, Temple name)란 임금이 죽은 뒤에 생전의 공덕을 기리어 사관(.. 2023. 8. 22. 독도는 외로운 섬이 아니라 돌로 된 섬 김춘수의 꽃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지명 연구의 오묘한 진리 온갖 삼라만상 모든 것에는 이름이 다 있다. 그렇기에 땅에도 이름이 있다. 땅이름(地名지명)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사람의 이름을 짓는 데에도 일정한 규칙과 방법, 그리고 근거가 있는데 그 근거를 따라가다 보면 제법 재미있는 여러 가지 사실들을 만나게 된다. 특정 지명의 유래 정도는 쉽게 찾아지지.. 2023. 8. 22. 간도 두문자 : 서 토 간 파 협 간도 : 서 토 간 파 협 서 : 서북경락사(1883 어윤중) 파견 토 : 토문감계사(1885 이중하) 국경선 확정 회담 간 : 간도시찰원(1902 이범윤) 간도를 함경도에 편입 출 : 간도파출소(1907 통감부) 협 : 간도협약(1909 청일간의 체결) 1. 서북경락사(1883 어윤중) 파견 경략사는 1882년에 어윤중(魚允中)이 청나라와의 통상조약에 따른 후속조치 문제를 처리하고 서북지역의 각종 폐단 시정과 재정 절감을 위한 개혁조치 실시라는 임무와 함께 임시로 부여받은 관직이다. 어윤중은 약 9개월 동안 평안도와 함경도를 돌며 어명을 수행하였는데, 결과는 상당히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와 더불어 조선과 중국 간 국경의 감계(勘界)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는 향후 간.. 2023. 8. 21. 이전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