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5

비변사 변천과정 두문자 : 비 중 삼 임 을 상 임 총 흥 혁 비변사 : 비 중 삼 임 을 상 임 총 흥 혁 비 : 비변사 중 : 중종 여진족 왜구 대비 임시 군사기구 삼 : 삼포왜란(1510) 임 : 임시기구 지변사 재상 을 : 을묘왜변(1555 명종) 상 : 상설화 임 : 임진왜란 구성원 확대 총 : 국정 전반 총괄(3정승 + 5조(공조 제외) 판서, 참판, 각 군영의 대장, 대제학, 강화 유수) 흥 : 흥선대원군 혁 : 혁파 1. 비변사 비변사라 함은 국방과 관련한 임시 기구로 설립되었다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국정 전반을 실질적으로 총괄했던 관서를 말한다.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외적의 침입에 보다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을 포함하는 원로 재상들과 병조, 국경 지방의 주요 관직을 역임했던 인물들을 불러 군사 대책에 대해 협의했다. 성종(成宗,.. 2023. 8. 21.
남인집권 두문자 : 인 기 남 남인집권 : 인 기 남 인 : 갑인예송(기년설) 기 : 기사환국 남 : 남인집권 1. 갑인예송(기년설 : 1년복) 갑인예송은 1674년(현종 15) 효종 왕비 인선왕후의 국상에 자의대비가 입을 상복을 두고 일어난 예송 사건이다. 인선왕후가 장자의 부인인가 차자의 부인인가에 따라 자의대비는 기년복 혹은 대공복을 입어야 했는데, 이는 효종이 장자인가 차자인가 하는 효종의 종통과도 연관된 문제였다. 현종은 효종의 종통을 문란하게 만든 서인의 대공복 논리에 분노하여 복제를 기년복으로 개정하고 서인을 처벌하였다. 복제 개정 후 한 달여 만에 현종이 승하하자 14세의 나이에 즉위한 숙종은 장례 후 과감히 서인들을 조정에서 축출하고 남인을 등용하여 정국을 개편했다. 갑인예송(甲寅禮訟)은 1674년(현종 15) 2월 .. 2023. 8. 19.
대장암 예방을 위한 건강 식습관 대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이 관건 대장은 위와 소장 다음으로 음식물이 소화되어 내려가는 소화 기관의 마지막 부위이다. 대장은 소화된 이후 수분과 전해질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통해 배변 횟수, 대변의 성질과 상태를 조절하는 대표적인 소화기관이다. 대장은 맹장, 결장, 직장으로 분류되고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암의 명칭도 각각 다르다. 이렇듯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뤄진 악성 종양을 통칭해 대장암이라 부른다. 대장암은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실제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보다는 대개 환경적인 요인이 문제다. 대장암 "왜" 발생할까? 1. 환경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은 식습관과 가장 관련이 있으며 대표적인 발생 원인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동물성.. 2023. 8. 18.
천주교 박해 두문자 : 해 유 기 오 인 천주교 박해 : 해 유 기 오 인 해 : 신해박해(윤지충) 유 : 신유박해(정약용) 해 : 기해박해(정하상) 오 : 병오박해(김대건) 인 : 병인박해 1. 신해박해(윤지충) 신해박해는 신해진산사건(辛亥珍山事件)이라고도 한다. 1784년 한국천주교회가 창설된 이후 천주교는 경기와 내포(內浦)지방, 그리고 전주를 중심으로 유포되었다. 1791년전라도 진산의 양반 교인이던 윤지충(尹持忠) 집안에서 폐제분주(廢祭焚主)의 문제가 일어났다. 동양사회의 전통적인 조상제사 금지는 1742년, 교의적(敎義的)인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기율적(紀律的)인 잠정적 변법(暫定的辨法)에 의하여 교황청에서 금지조치가 취해진 바 있었다(이 조치는 1939년에 교의적 결정에 의하여 조상제사가 지니는 사회적 의의를 천주교회가 인정하게 .. 2023.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