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639 토지이름 두문자 : 내 해 음 별 군 / 내 늠 신 별 군 토지이름 : 내 해 음 별 군 / 내 늠 신 별 군 내 : 내장전(고려 왕실경비) 해 : 공해전(고려 관청경비) 음 : 공음전(고려 공신) 별 : 별사전(승려, 제술업자) 군 : 군인전(중앙군) 내 : 내수사전(왕실경비) 늠 : 늠전(지방관청) 신 : 공신전(조선 공신) 별 : 별사전(조선 준 공신 3대까지만 세습) 군 : 군전(유향품관 한량) 1. 내장전(고려 왕실경비) 내장전은 고려 왕실의 재정 기반으로 왕실에서 소유하고 직접 경영하던 토지이다. 사료에 전장, 장전(庄田), 내장(內莊)등의 용례가 확인되는데, 이것이 왕실 소유지인 내장전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지방 행정 조직인 군현 제도의 하부 단위로 장 · 처라고 불리는 특수한 형태의 촌락이 있었다. 명칭이나 해당 촌락의 성격을 검토하는.. 2023. 9. 27. 토지제도 두문자 : 역 시 개 경 녹 과 직 관 폐 토지제도 : 역 시 개 경 녹 과 직 관 폐 역 : 역분전(고려 태조 공로 + 인품) 시 : 시정전시과(고려 경종 전직 + 현직) 개 : 개정전시과(고려 목종 무산계 전부 포함) 경 : 경정전시과(고려 문종 현직만) 녹 : 녹과전(원종 경기도 현직만) 과 : 과전법(1391 일전일주) 직 : 직전법(조선 세조 현직에게만) 관 : 관수관급제(조선 성종 수조권상 사전폐지) 폐 : 직전법 폐지(명종 수조권 완전 폐지) 1. 역분전(고려 태조 공로 + 인품) 역분전은 고려 시대 국가에서 문무 관료와 직역을 부여받은 계층에게 토지의 조세를 받을 수 있는 수조권(收租權)을 분급한 토지 제도를 말한다. 전시과는 문무 관료 및 직역을 부여한 계층에게 곡물을 재배하는 토지인 전지(田地)와 땔감을 채취할 수 있는 토지인 .. 2023. 9. 26. 감찰기구 변천사 : 사 중 어 헌 도 감 감찰기구 : 사 중 어 헌 도 감 사 : 사정부(무열왕 설치) 중 : 중정대(발해) 어 : 어사대(고려) 헌 : 사헌부(조선) 도 : 도찰원(갑오개혁) 감 : 감사원(현재) 1. 사정부(무열왕 설치) 사정부라 함은 관리를 감찰하는 업무를 담당한 신라의 관부(官府)를 말한다. 관리를 감찰하는 직무를 수행한 관직은 544년(신라 진흥왕 5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나, 정확한 명칭은 현재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후 삼국 통일을 전후한 시점에 강력한 왕권 중심의 권력 구조가 확립되었고, 왕의 명령을 수행하여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관청과 관직이 크게 늘어났다. 그에 따라 관리들을 감찰하는 업무 역시 증대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659년(신라 태종 무열왕 6년) 감찰 업무를 담당하는 관청인 사정부(司正府)를 설치하.. 2023. 9. 19. 고구려 중앙관제 두문자 : 고 십 형 사 내 외 주 제 국 대 막 고구려 중앙관제 : 고 십 형 사 내 외 주 제 국 대 막 고 : 고구려 십 : 10여 관등 형 : 형 사 : 사자 내 : 내평(내무) 외 : 외평(외무) 주 : 주부(재정) 제 : 제가회의 국 : 국상 대 : 대대로 막 : 대막리지 1. 고구려 10여 관등 고대 초기의 관등조직은 연맹체를 구성하는 각 단위집단의 수장층을 왕권 아래로 편제하는 기능을 하였다. 관등조직이 마련되기 이전에는 고구려의 경우 封王이나 賜姓 등을 통하여 각 집단의 수장층을 편제하였다. 내항한 비류국의 松壤이나 부여왕 從弟를 多勿都主나 王으로 봉한 것이나, 毛屯谷의 3인에게 사성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 大武神王대에 비류부의 대가 3인을 단순히 ‘沸流部長’이라 칭한 기사도 아직 那部의 諸加세력을 편제하는 중앙 관등조직이 마련되지.. 2023. 8. 29. 이전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60 다음 반응형